• 제목/요약/키워드: Smart Education Environment

검색결과 298건 처리시간 0.021초

스마트교육의 속성과 구현 실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fined and Realized Attributes of SMART Education)

  • 윤가영;이효진;박인우
    • 한국교육학연구
    • /
    • 제23권1호
    • /
    • pp.183-204
    • /
    • 2017
  • 스마트 기술의 발달과 다양한 스마트 매체의 등장은 개인의 학습 환경과 학교교육 현장에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이에 정부는 학습 환경의 변화에 발맞추어, 2011년 스마트교육 추진 전략을 발표했고, 스마트교육이라는 용어를 공식적으로 등장시켰다. 이후 정부를 중심으로 스마트교육을 학교 현장에 도입하고자 다양한 정책이 실행되어 왔으며, 스마트교육에 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스마트교육이라는 개념이 등장한지 6여 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스마트교육은 정체성에 대한 혼란을 안고 있으며, 스마트교육에 대한 명확한 이해가 부재한 상황에서 기술적 측면을 중심으로 정책이 추진되면서 일선현장의 교사들은 스마트교육을 단순히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수업으로 이해하고 있는 경우가 많으며, 이로 인해 스마트교육은 단순히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수업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스마트교육의 이론적 기틀 마련을 위해 선행연구 분석을 토대로 스마트교육의 속성을 정의하였으며, 스마트교육 연구 가운데 실증 및 사례 연구를 검토 분석하여 실제 교육현장에서 스마트교육이 어떤 속성들을 중심으로 구현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선행연구 분석 결과 도출된 스마트교육의 속성은 정보통신기술(T), 열린 학습 환경(E), 자기주도 학습(S), 맞춤형 학습(C), 소셜 러닝(SL)의 5가지로 나타났다. 실증 및 사례연구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실제 교육현장에서 구현되고 있는 스마트교육의 속성은 정보통신기술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기기 및 매체의 활용을 중심으로 나타났으며, 자기주도 학습, 맞춤형 학습은 스마트교육 환경에서 적절히 활용되지 못하고 있었다. 추후 연구를 통해 스마트교육이 가지고 있는 특성을 교육 현장에서 제대로 활용하여 교육적 효과를 제고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e Role of Smart Technologies in Training Future Specialists

  • Oksana, Popovych;Rostislav, Motsyk;Iryna, Mozul;Karina, Fedchenko;Andrii, Zhbanchyk;Olena, Terenko;Oleksandr, Kuchai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12호
    • /
    • pp.153-159
    • /
    • 2022
  • The article discusses the use of smart technologies in the training of future specialists. Today, learning using smart technologies is becoming a new educational standard, where information is presented in a logical sequence, computer training systems have powerful functions for the educational process. The functions of smart technologies are highlighted. It is noted that smart technologies are successfully used in the field of education and professional training. The concept of "smart education" is characterized. Smart education is an educational paradigm that underlies a new type of education system. The implementation of the smart education paradigm is aimed at the process of obtaining competencies and competencies for flexible and adapted interaction with the social, economic and technological environment. Smart education should ensure that the benefits of the global information society can be used to meet educational needs and interests. A special place is occupied by computer-based educational multimedia systems that allow you to deepen your knowledge, reduce the duration of training, and increase the number of students per teacher. The main principles of smart education are highlighted.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raining in a moder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 is impossible without the introduction of smart technologies in the organization of the educational process.

A Study on the Direction of Smart Furniture by Changes in Ubiquitous Technology-Based Residential Environment

  • Han, Jung-Yeob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83-293
    • /
    • 2008
  • This study is intended to forecast changes in Ubiquitous technology-based residential environment since the digital revolution so a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furniture design in the near future. Among Ubiquitous technologies, the intelligent digital technology applied to a residential environment is defined as "Smart Digital Technology." Ministry of Commerce, Industry and Energy named the residential environment where such technology is applied "Smart Home." Smart Home is strategically creating intelligent residential environment where interactivity is made between human, furniture and residential environment, based on home automation, home network and intelligent sensor technology. Smart furniture is based on strategic characteristics of smart home. Its convergence with IT equipments is being made. Largely, smart furniture has three characteristics as below: First, smart furniture provides users with information on home management, health management, education and fashion. not just functioning as storage space. Second, smart furniture that is a new lifestyle pattern will suggest a new aesthetic standard based on unsettled shapes and innovative structure. Finally, it gives convenience to users intelligently. Namely, smart furniture, "intelligent informative furniture", will be suggested as a new paradigm.

  • PDF

교수-학습 활동과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한 스마트교육 개념모델 (A Conceptual Model of Smart Education Considering Teaching-Learning Activities and Learner's Characteristics)

  • 조재춘;임희석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41-49
    • /
    • 2012
  •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스마트 디바이스의 대중화로 인한 관심과 열풍은 문화적인 이슈를 넘어 교육에까지 확산되고 있다. 이에 스마트교육의 학습 효과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스마트교육에 대한 개념이 확립되지 않아 스마트 디바이스를 도구적으로 적용한 연구에만 머물러 있다. 본 논문은 효과적인 스마트교육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교육환경, 학습자 특성, 스마트 교육 특징, 그리고 스마트교육 활동을 고려한 CTLA(Creation, Teaching, Learning and Assessment) 모델과 이를 적용한 스마트교육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CTLA 모델은 스마트교육을 위해 고려되어야 하는 핵심적인 요소들을 반영하고 있으며 효과적인 스마트교육 시스템을 설계하는 기본 모델로 사용될 수 있다. 향후에는 제안된 모델을 기본으로 한 다양한 스마트교육 시스템을 개발하고, 개발된 스마트교육 시스템의 효과성과 효율성에 대한 과학적인 검증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 PDF

효과적인 스마트 교육을 위한 인터랙티브 콘텐츠 적용에 관한 연구 (Study on Application of Interactive Contents for Effective Smart Education)

  • 손준호;오문석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207-221
    • /
    • 2014
  • Education environment of modern society is rapidly changing along the usage of various device and development of contents. Learners of diverse age groups and genders are exposed in smart education environment. Thus in order to investigate effective smart education contents production, this study classified interactive types that affect learning satisfaction into CAI (Computer Assisted Instruction) based , NCS (Network Communication System) based , and NTS (New Technology System) based . Then we investigated how each interactive types affect immersion, utility, self-efficacy, practicality, and stimulation. The effects were measured according to the learner's gender and age. As the result, interactive types do affect smart education, where male had higher learning satisfaction for CAI based, game type, and wiki type while female had higher satisfaction for relationship establishment type and experience type. Also, for age group, the 10s preferred NTS based, 20~30s NCS based, and 40s and over CAI based interactive type. Thus, if satisfaction levels according to gender and age are considered when producing smart education contents, it may be possible to create educative contents that meet the dispositions of the learners.

스마트러닝 서비스 모델에 대한 연구 (A Study on Smart Learning Service Model)

  • 오승환;권오영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 /
    • 제5권1호
    • /
    • pp.28-33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기기의 출현으로 급변하는 정보통신환경을 반영한 스마트러닝 모델을 제시한다. 스마트 기기들은 화면크기와 성능이 다양하지만 크게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개인용 컴퓨터(PC), 스마트 TV로 구분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각 기기 유형별로 서비스에 적합한 교육 콘텐츠와 상호작용 방법들에 대하여 살펴보고, 각 기기 특성에 맞는 스마트러닝 서비스 모델과 향후 정보통신환경을 반영한 스마트 러닝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스마트교육 환경에서 글로벌 학습을 위한 수업 모형 설계 (Design of an Instructional Model for Global Learning in Smart Education Environments)

  • 최숙영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83-94
    • /
    • 2013
  • 최근의 국가간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인 측면에서의 교류와 협력이 활발해지면서 글로벌 세계에 대한 인식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글로벌 시대에 맞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그동안의 국가 중심의 교육에서 벗어나 글로벌 시대에 적합한 교육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최근의 스마트기기의 폭팔적인 보급의 영향으로 스마트교육이라는 새로운 교육의 패러다임이 등장하였다. 스마트교육 환경의 특징인 고도로 연결된 사회에서 활발한 상호작용과 적극적인 참여와 협력 등은 보다 효과적으로 글로벌 학습을 지원할 수 있게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교육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글로벌 학습을 지원하기 위한 교수 학습 모형을 제안한다.

  • PDF

교육기관에서의 스마트단말기 보안위협에 대한 대응방안 (Countermeasures against Security Threats on Smart Device in Educational Institutions)

  • 이인호;김태성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3-29
    • /
    • 2024
  • Recently, with the rapid spread of mobile terminals such as smartphones and tablet PCs, social demand for mobile information security is increasing as new security issues that are difficult to predict as well as service evolution and lifestyle changes are raised. Smart terminals include smartphones, smart pads, chromebooks, laptops, etc. that provide various functions such as phone calls, text messages, Internet browsing, social media apps, games, and education. Along with the explosive spread of these smart terminals, they are naturally being used in our daily life and educational environment. In the mobile environment, behind the convenience of portability, there are more various security threats and vulnerabilities than in the general PC environment, and threats such as device loss, information leakage, and malicious codes exist, so it is necessary to take fundamental security measures at a higher level. In this study, we suggest ways to improve security by identifying trends in mobile smart information security and effectively responding to security threats to the mobile environment. In addition, it presents implications for various measures for effective class utilization along with correct security management methods and security measures related to the supply of smart devices that the Office of Education is promoting for schools at each level.

초.중.고에서의 스마트교육 교수.학습 유형 분석 (Analysis for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K-12 Smart Education)

  • 한해숙;임희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2호
    • /
    • pp.51-58
    • /
    • 2013
  • 최근 스마트 기기 보급과 함께 스마트교육 환경의 등장에 따른 새로운 교수 학습 방법에 대한 논의가 증가하고 있다. 이 같은 추세 속에서 본 연구는 스마트교육 체제를 이해하기 위해 교육내용, 교육환경, 교육방식, 교육과정 측면에 대한 총체적인 접근을 통해 스마트교육의 통합적 특성을 고려한 CTLA(Creation Teaching Learning Assessment) 모델을 바탕으로 한 초 중 고(K-12)의 국내 외 실제 스마트교육 사례를 분석하였다. 스마트교육의 교수 학습 유형은 국외사례, 국내사례, 교수 학습 모형 별로 분석하여 각 유형별 현 스마트교육의 긍정적인 부분과 보완 및 추가연구가 필요한 부분을 제시함으로써 스마트교육을 체계적으로 정립 및 구현하여 성공적이고 내실있는 스마트교육이 실현될 수 있도록 기여하고자 한다.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effectiveness and computational thinking in smart learning environment

  • 한옥영;김재현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57-67
    • /
    • 2018
  •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has brought innovation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smart learning environment especially with the computational thinking. A big data analysis was performed to confirm that computational thinking is the one to prepare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o teach computational thinking at university, educational design should be careful. This study ver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improvement of computational thinking ability and major of students with coding education. There was difference in effectiveness of the coding education depending on the major of students, it means students must be guaranteed to be educated by the differentiated coding education for different major. This study extracted factors of computational thinking through literature review. Thirteen research hypotheses were appli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in R language. It was proved that expectation of class and improvement of abstraction ability and algorithmic thinking ability had mediation effect to th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acquisition and problem-solving abilities. Based on this study, effectiveness of education can be improved, and it will lead to produce a lot of distinguished students who are ready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