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ll vascular bundle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18초

Characteristics of Spikelets and Vascular Bundles in Panicle of Japonica Rice Cultivar, 'Iksan 435'

  • Park, Hong-Kyu;Kang, Si-Yong;Choi, Weon-Young;Kim, Sang-Su;Cho, Soo-Yeon;Choi, Won-Yul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17-121
    • /
    • 1999
  • Spikelet and vascular bundle development in rice panicles is considered to be the important elements in determining the genotype's yield capacity and translocation ability of assimilates into grains, respectivel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varietal differences of the spikelet and vascular bundle formations among three rice cultivars; Iksan 435 (japonica), Dongjinbyeo (japonica) and Namcheonbyeo (Tongl-type). Iksan 435 had more primary rachis branches (PRBs), secondary rachis branches (SRBs) and spikelets per panicle than Dongjinbyeo, but less than Namcheonbyeo. Among three cultivars, Namcheonbyeo showed the highest spikelet number per panicle which were differentiated SRBs mainly on PRBs of lower rachis nodes. And Namchenbyeo showed the highest number of large vascular bundle (LVB) as well as small vascular bundle (SVB) and it displayed the largest diameter of LVB. Between the two japonica cultivars, the numbers of LVBs end SVB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Iksan 435 than those in Dongjinbyeo. The PRBs to LVBs ratio of Namcheonbyeo was twice as large as those of Dongjinbyeo and Iksan 435.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newly bred cultivar, Iksan 435, has improved yield capacity by increasing the number of especially rachis branches and spikelets formation as well as 1,000 grain weight, compared to other former japonicas.

  • PDF

질소시용수준이 수도 분얼경의 소유관속 발육에 미치는 영향 (Development of Small Vascular Bundles at Different Tillers as Affected by Nitrogen Levels in Rice Plants)

  • 이동진;베니토 에스 벨가라;오스카 비 자모라;심이성;김봉구;채제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66-372
    • /
    • 1994
  • 본 실험은 질소시용 수준이 수도의 이삭줄기, 엽신 및 엽초의 소유관속 발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 하여 수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89∼'90년에 국제벼연구소 (IRRI)에서 인도형인 IR 58과 일본형인 운봉 7을 공시하여 수행하였다. 1. 분얼경의 수수절간에 발달된 소유관속수는 질소시용 수준이 증가할수록 유의하게 증가되는 경향이었으며, 주간의 경우 질소 무시용구에 비하여 질소시용구에서 IR 58은 39% 및 운봉 7은 24% 증가하였다. 2. 주간 및 일찍 출현된 1, 2차 분얼경의 발육 순서로 소유관속수가 많이 발육되어 있었으며, 분얼경의 출현이 늦을수록 유관속의 발육이 저하 되었다. 3. 주간의 수수절간, 엽신 및 엽초의 소유관속발육은 질소 무비구 및 소비구에 비하여 질소 증시구에서 다소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4. 수수절간의 소유관속수는 이삭당 영화수 및 입중과 밀접한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이는 줄기에 발달된 소유관속이 영화수의 분화와 깊은 연관성을 가지고 있으며, 발달된 유관속을 통해 양수분 전류가 원할히 이루어져서 결국 이삭당 입중도 증가되는 결과를 보였다.

  • PDF

벼 이삭줄기의 유관속발육과 이삭특성과의 관계 (Development of Vascular Bundles in the Peduncle of Different Tillers and its Relationship to Panicle Characteristics in Rice)

  • Lee, Dong-Jin;Benito S. Vergara;Oscar B. Zamora;Kim, Bong-Ku;Chae, Je-Cheo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55-165
    • /
    • 1992
  • 본 실험은 수도이삭줄기의 유관속 발육을 증진시켜 수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위하여 1989-1990년에 국제벼연구소(IRRI)에서 인도형인 IR58과 인본형인 Unbong 7을 공시하여 실시하였다. 1. 주간의 절간위치별 유관속수는 상위로부터 제1절간(수수절간)은 제 2,3,4,5절간에 비해 현저하게 적었으며, 품종별로는 IR58이 Unbong 7보다 많이 발육되었다. 2. 수수절간의 유관속수 및 횡단면적은 주간이 1,2차 분얼경보다 많이 컸으며, 분얼의 발육순서에 따라 저하되는 경향이었고, IR58은 Unbong 7보다 대유관속의 수와 횡단면적이 많이 컸으나 소유관속은 적고 작았다. 3. 양분의 이동통로인 사부와 수분의 이동통로인 본부의 횡단면적도 분얼의 출현이 빠른 것이 늦은것보다 크게 발육되어 있어서 출현이 빠르게 분얼경이 양수분흡수 및 동화물질의 전류에 유리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을 사료되었다. 4. 이삭당 수중 및 수량은 주간에서 가장 높았고, 1차분얼 2차분얼의 순서로 낮아지는 경향으로 분얼경의 출현순서와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었다. 5. 수수절간의 대유관속수는 이삭형질인 1,2차 지경수와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이는 대유관속이 지경수 및 영화수 분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해석되었다. 6. 일찍 출현된 분얼경은 늦게 출현된 분얼경에 비해 비교적 긴 생육기간을 가지고 있었으며, 양호한 유관속의 발육, 굵은 수수직경, 영화수 분화 및 등숙율을 향상시키고 나아가서 수량이 많아지는 특성을 나타냈다.

  • PDF

MORPHOLOGICAL STUDY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OF RUMEN DEGRADATION OF WHEAT STRAW TREATED WITH AMMONIA AND SULPHUR DIOXIDE

  • Song, Y.H.;Shimojo, M.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6권2호
    • /
    • pp.265-270
    • /
    • 1993
  • Ammonia and/or sulphur dioxide treated and untreated wheat leaf sheaths were compared for cell wall digestion by incubation with rumen liquor for 24 and 48 hours.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was used to study the relative rate and extent of cell wall digestion. Treated wheat straw leaf sheaths were distorted, with more distortion observed in ammonia and sulphur dioxide combined treatment than any other treatment. Rumen liquor digestion for 24 hours of untreated leaf sheath showed disrupted phloem, partially ruptured parenchyma and vascular tissues and further partially distorted inner bundle sheaths and vascular bundle after 48 hours incubation. Sulphurated leaf sheaths showed extensive degraded parenchyma and sclerenchyma material in 24 hours incubation, however, all tissues were irregulary shaped in 48 hours incubation. In ammoniation, epidermal cell walls and small vascular bundles began to disintegrate by 24 hours incubation, extensively changed structure and degraded epidermal tissue by 48 hours incubation. Combination treatment of leaf sheaths degraded all cell walls of parenchyma, phloem and vascular bundle by 24 hours incubation, however, structures only of inner bundles sheath with extended land, sclerenchyma and cutinized epidermal cell walls remained.

Populus alba×glandulosa와 그의 양친(兩親)의 엽병(葉柄)의 유관속배열상태(維管束配列狀態)에 관(關)하여 (Vascular bundle system of petiole in the hybrid Populus alba×glandulosa and parents)

  • 김정석;김삼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1-5
    • /
    • 1979
  • Poulusp alba P. glandulosa와 그의 양친종(兩親種)에 대(對)하여 엽병(葉柄)의 중간부위(中間部位)의 유관속(維管束)의 수(數)와 배열상태(配列狀態)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유관속(維管束)의 수(數)와 배열상태(配列狀態)의 변이(變異)는 엽병(葉炳)의 중간부위(中間部位)가 엽신측부위(葉身側部位)보다 변화(變化)가 적었다. 2) 유관속(維管束)의 배열(配列)과 수(數)의 변이(變異)는 한 개체(個體)에서, 또는 동일(同一) clone의 개체(個體)에 따라서, 그리고 동일(同一) 수종(樹種)의 개체(個體)에 따라서 다소(多少)의 변이(變異)가 있다. 3) P. alba${\times}$P. glandulosa의 $F_1$의 유관속형(維管束型)은 5 type이 있다. 그중(中) 26.7%는 P. alba와과 동일형(同一型)이고, 13.3%는 P. glandulosa와 동일형(同一型)이고, 그리고 53.3%은 유전(遺傳)에 의(依)하여 연유(緣由)된 $F_1$형(型)이다. 4) P. alba형(型)을 가진 clone number는 66-20-1, 66-6-8, 65-22-11, 64-6-44, P.이고, 그 중(中)에는 P. tomentiglandulosa와 유사(類似)한 clone도 있었다. P. glandulosa형(型)의 clone number는 65-95, 66-14-93,이다. $F_1$형(型)의 clone은 66-15-3, 67-6-3, 65-22-4, 66-26-55, 68-1-54, 66-14-99, 65-29-19, 66-25-5이다.

  • PDF

우슬(牛膝)의 형태(形態) 감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 Morphological Identification of Achyranthes and Cyathula Root)

  • 박재상;이영종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77-82
    • /
    • 2005
  • Objectives : A morphological classification among Achyranthes japonica Nakai (produced in Korea), A. bidentata Blume (imported from China), and Cyathula officinalis Kuan (used in China exclusively) was made through microscopic observation. Method : The slice of the tested material made by paraffin section technique was colored with Safranine Malachite Green contrast methods, and then observed and photographed by olymphus-BHT. Result : 1. Korean A. japonica Nakai has slim roots, whose diameter is $1{\sim}5\;mm$. 1) Most of its intersection is stele, which includes a lot of vascular bundles. The inside of vascular bundles shows the arrangement of $2{\sim}4$ cycles, the innermost wheel of which is divided into two parts. 2) Parts of parenchymatous cell include Crystal sand of calcium oxalate. 2. The diameter of the roots of Chinese A. bidentata Blume is $0.4{\sim}1\;cm$. 1) The xylem in the vascular bundle in the middle of its intersection is rather big, around which the inner parts of the vascular bundles are arranged in the shape of $2{\sim}4$ cycles around. The most outside part of it is small, and the middle part is gathered into $2{\sim}3$ groups. 2) Parts of parenchymatous cells include Crystal sand of calcium oxalate. 3. The roots of Chinese C. officinalis Kuan is thick, whose diameter is $0.5{\sim}3\;cm$. 1) Vascular bundle of its intersection is spotted, arranged in the shape of $4{\sim}11$ concentric circles, whose center is divided into $2{\sim}9$ groups. 2) Parenchymatous cells include crystal sand and square crystal of calcium oxalate. Conclusion : It is concluded that Achyranthes japonica Nakai, A. bidentata Blume, and C. officinalis Kuan have different shapes in both external forms and internal intersections, so that they can be easily distinguished from one another through microscopic observation.

  • PDF

석창포(石菖蒲)의 내외부형태(內外部形態) 연구(硏究) (Study on Internal-External Morphological Analysis in Acori Graminei Rhizoma)

  • 최고야;김홍준;주영승
    •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 /
    • 제12권3호통권18호
    • /
    • pp.91-100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roduce the differential standard of the types of Acori Graminei Rhizoma. We established the classificatory standard according to the external and internal morphology for the several types of Acori Graminei Rhizoma. 1. External shape: Acorus gramineus has smaller size and fibroidal section. A. calamus has bigger size and cancellate section. A. tatarinowii has middle size and fibroidal section. Anemone altaica has very small long-spindle shape and flat section that has 6-12 row of vascular bundle. 2. Internal shape: Acorus gramineus has some bundle sheath fiber, but A. calamus has not. A. tatarinowii has many calcium oxalate crystalloid around bundle sheath. Anemone altaica has obscure cambium. All sample except A. altaica, in the mass, has scattered bundle, thin cell wall, broad cortex and well-developed endodermis. For the future, such results will be used as the basic source of additional research, and a far-reaching comparative study is needed to distinguish between many kinds of same genus-degree of relatedness.

  • PDF

Salsola속 Kranz구조내 광합성조직의 구조분화 (Structural Differentiation of Photosynthetic Tissue in Kranz Anatomy of Salsola Species)

  • 김인선
    • Applied Microscopy
    • /
    • 제31권4호
    • /
    • pp.367-374
    • /
    • 2001
  • Salsoloid Kranz구조를 지닌 다육질성의 Salsola komaravii의 두 단계 잎의 광합성 엽육조직에 대하여 LM 및 TEM에 의한 구조적 분화발달 양상을 연구하였다. 수분저장조직을 둘러싸는 내부 유관속세포층 및 외부 엽육세포층으로 구성된 두 층의 광합성조직은 어린 잎에서는 연결되어 발달하나 성숙한 잎에서는 불연속적으로 발달하였다. 중앙의 유관속 외 다수의 미세맥들은 대개 내부 유관속세포층과 접하여 형성되며 발달초기에는 이 두 세포층의 구조적 차이는 뚜렷하지 많았다. 이들 엽육조직이 신장 발달하면 franz구조 내 내부 유관속 세포층과 외부 엽육세포층은 세포형태, 세포소기관의 분포, 엽록체의 내부 특성, 세포벽의 비후, 원형질연락사의 발달양상 등에서 현저한 차이를 보이며 구조적으로 분화하였다. 특히 이들이 지닌 엽록체의 미세구조 및 원형질 연락사 등의 특성은 생화학적으로 알려진 NADP-ME 유형과 거의 일치하였다. 이들은 세포특이성을 나타내는 C-4 광합성 효소의 발현양상을 조사하는 세포 면역화학법과 접목되어 연구될 것이다.

  • PDF

담양지방(潭陽地方) 왕대속(屬) 4종(種)의 조직(組織) 및 간내(稈內) 변이성(變異性) (Characteristics of Culm Anatomy and Dimensional Variation in Genus Phyllostachys Grown Damyang District, Korea)

  • 이재기;박상진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5권3호
    • /
    • pp.14-23
    • /
    • 198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natomical characteristics, the radial and axial variation of the cell dimension and bulk density for four bamboo species used as the major material of bamboo products in Korea; Phyllostachys(P.bambusoides, P.edulis, P.nigra var.henonis, and Pnigra).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In the outer part of culm, the mophological difference of cell diameter and distribution were not acknowledged. However, gum-like substance was occurred In the epidermis, hypodermis, cortex and metaxylem vessel of P.nigra, while it was occured only in the metaxylem vessel of P.edulis. 2) The protoxylem vessel in the central zone of culm-wall could be in the two types; the first type consisted of 4-5 small cell pieces occurred in P.edulis and P.nigra var. henonis, the second type of 1-2 large cell pieces in P.bambusoides and P.nigra. And transition of cell diameter from the vascular bundle sheath to the ground tissue was gradually enlarged in P.nigra and P.edulis but abruptly in P.bambusoides and P.nigra var. henonis. 3) Thin-wall tyloses were well developed in the outer and central zone of culm-wall in four species. 4) Compared with the central part of culm-wall, the number of parenchyma cells and the amount of the vascular bundle sheaths per unit area were a few in the inner part. The inner part nearest to the pith cavity was consisted of thick-well parenchyma cell. 5) The dimensional variations of metaxylem vessel and parenchyma cell in the radial direction were decreased from the inner part to the epidermis in all species observed. 6) The fiber length was the maximum in the central zone and its diameter was increased from the inner part to the outer part. In the axial variation. fiber length was slightly increased from the base and then decresed slowly toward the top, and its diameter was reverse. 7) The axial variation of the bulk density was continuously increased from the base toward the top and its radial variation was rapidly increased from the inner part to the epidermis.

  • PDF

온천수가 벼종자의 발아, 유묘생장 및 유관속발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eothermal Water on Germination, Seedling Growth and Development of Vascular Bundle in Rice)

  • 이동진;;채제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53-61
    • /
    • 1996
  • 필리핀은 화산지대에 위치해 있으며 44개 화산중 13개가 활화산으로 되어있는 상태이다. 전기발전을 위해 지하에 있는 고온의 온천수를 이용하고 있으며 그 후 시냇가에 방류한다. 이 온천수에는 독성이 강한 물질들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관개수로 이용하였을 경우 농작물에 지대한 악영향을 주고 있는 실정이다. 본 실험에서는 온천수를 이용하여 벼품종의 발아, 유묘생장유관속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여 작물 재배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해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온천수내에는 황, 칼리, 나트륨, 및 붕소 함량이 관개수에 비해 현저하게 높았다. 2. 최종발아율, 발아소요일수 및 발아속도는 온천수의 처리에 의해 크게 감소하였으며, 필리핀재래종인 Binato품종은 IR58 및 운봉7호보다 높은 발아율을 보였다. 3. 초장, 근장, 엽수 및 총건물중은 온천수의 농도가 증가될수록 뚜렷하게 감소하였다. Binato와 IR58품종은 처리 후 15일, 25% 온천수 농도에서 운봉 7호보다 건물중이 다소 높았다. 4. 유묘기 엽신의 유관속발달은 무처리에 비하여 온천수는 50%까지 농도를 높일수록 유관속수 및 크기 등 발달을 저하시켰다. 5. 온천수 처리에 따른 엽의 손상도는 농도가 높아질수수록 크게 나타났으며, Bitano와 IR58호는 운봉 7호보다 온천수에 대한 손상도가 작아서 다소 강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