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ll and Medium -Sized Cities

검색결과 126건 처리시간 0.021초

지방 중소도시 아파트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Apartment Prices in Local Small and Medium Cities)

  • 최지우;이영수;정상철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5권2_2호
    • /
    • pp.315-322
    • /
    • 2022
  • Apartments are being established as a universal housing type because of the perception that they are excellent in preservation of asset values and convenience. In this study,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t is a thesis that explores whether it affects the housing market in Gimhae, a small and medium-sized city in the province, and how the price flow in neighboring cities has an effect. It is possible to examine how macroeconomic variables such as the balloon effect and the lowest interest rate caused by the government's tweezers regulation bring about changes in the housing market of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in local regions.

지방 중소도시 근린공원의 축제공간적 활용에 관한 연구 (The Study for the Usage of Neighborhood Parks as a Festival Space in Small and Medium Sized Cities)

  • 박경민;정욱주
    • 농촌계획
    • /
    • 제19권3호
    • /
    • pp.183-193
    • /
    • 2013
  • In 2011, neighborhood parks occupied a total area of $280,135,257m^2$ in small and medium sized city areas and this excluded the metropolitan regions. In the rural area, the park area per person($22.64m^2$) is larger than the urban area($9.50m^2$). It is a questionable why there is a higher park ratio in the rural area compared to the cities, where the function of the neighborhood parks is not being utilized well. But, there are already a lot of parks that has been constructed in the rural areas and a lot of money is being spent in maintaining them. Hence, rather than reducing the number of "country parks", it can be suggested that these "country parks" ought to be utilized in a different manner than the parks in the city. In that point of view, this study examined the issues of the country park usage along with the utilization of the local festivals within the parks. Firstly in this context, this study compared the amount of neighborhood parks between small and medium sized cities and metropolitan areas, and analyzed those results. Secondly, daily newspaper articles were collected and categorized to find the usage of the rural park which were then analyzed. Then, the extraction of the essential points in composing the festival space was carried out. Also, the general design guides of making the neighborhood parks were drawn. Last but not least, using these two resources, this study suggested design guidelines for using neighborhood parks as a Festival Space in small and medium sized cities.

지방 중소도시 철도역 연계교통 실태조사와 정비 방향: 중앙선을 중심으로 (Suggestions for Improvement of Connectivity between Railway Stations i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Based on a Survey Focused on the Joongang Line)

  • 최창호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52-58
    • /
    • 2013
  • 본 연구는 지역 간 철도인 중앙선 일부 철도역의 실태조사를 토대로 우리나라 지방 중소도시 철도역의 환승교통체계 정비방향을 논하였다. 현재의 환승체계에 무엇이 문제인지를 알아보고 이를 개선하여 보다 많은 통행자가 공로에서 철도로 수단전환을 하도록 하는데 일조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 지방 중소도시의 철도 이용자는 시내버스 등 대중교통 중심의 연계교통을 희망하고 있으나 현실은 그러하지 못하며, 따라서 앞으로 시내버스를 위주로 하는 연계교통체계 구축이 강조되었다. 또한 환승거리를 최소화하고 다양한 연계교통수단을 수용하기 위해 역 광장 등 시설정비 방안의 도출과 이를 시행하는 정부지원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우리나라 중소도시 비오톱 공간의 조성방안 (The Potential Assessment and Creation Programming of Biotopes in Small and Medium City in Korea)

  • 정문선;이명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75-90
    • /
    • 2000
  • This study suggests the methods of the assessment and creation of biotopes in small and medium sized cities, in Korea. For this purpose, Chonju city was selected to classify and asses the biotope types. Moreover, relevant legislations to conserve and enhance urban biotopes were examin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re were two approaches to asses the potential of urban biotopes in medium-sized cities. One was the urban scale evaluation for urban green spaces and the other was the biotope scale evaluation for the classification and evaluation of biotopes. 2) The urban scale evaluation was developed through overlaping analysis of landuse and vegetation factors. This study also included the conception of watershed. In this conception, three watersheds in Chonju city were characterized. According to these characteristics, individual programs for conservation and enhancement of urban green space were suggested. 3) For the biotope scale evaluation, Selected site was inclusively mapped and field investigation actually was carried. There were total 9 types of bitopes. Especially landuse was appeared in various evaluation items were vegetation structure, area of green space, condition of vegetation and vegetation profile. Mt, Gonji and Dukjin park, Chonbuk national University and fields were evaluated highly I the potential. 4) The biotope programs were based on the results of assessment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biotopes. The uniform and simple levels on vegetation must be modified with various levels of vegetation structure and vernacular plants. And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like Points, Corridors and Patches can be organized by the conception of biotope networking theory. 5) The proper legislative environment was the clue elements for the biotope programs. Until now, only five types of parks and two types of green space are defined and the minimum size of green space has been proposed by the law. So, it is necessary to enlarge the conception of green space in legislation and improve the quality of green space by amending the related regulations. This study has limitation because it was selected only in Chonju. Through the continuous studies, we need to apply this other small and medium sized cities, South Korea. Also the data collection and management of theme maps such as actual vegetation, landuse and a soil must be done preliminary.

  • PDF

지역주민들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도시특성요소 분석 -한국의 중소도시를 대상으로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City's Built Environment and Residents' Health -A Case study of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in korea)

  • 이경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3237-3243
    • /
    • 2012
  • 본 연구는 한국의 40개 중소도시를 대상으로 도시의 물리적환경과 주민건강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사회경제적 속성과 함께 도시환경을 토지이용, 도시형태, 시설접근성으로 구분하고 다수준분석을 이용하여 지역주민들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인구밀도가 높을수록 지역주민들의 비만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토지이용혼합도가 높을수록 지역주민들의 건강수준이 높고 고혈압 유병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도로의 연결성이 높고 대중교통접근성이 낮을수록 지역주민들의 비만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오픈스페이스에 대한 접근성은 지역주민들의 건강수준(EQ-5D)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주민건강 증진을 위한 계획을 수립하는데 있어 토지이용혼합, 대중교통시설 및 오픈스페이스에 대한 접근성 등을 중요한 계획요소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압축도시 개발이 대중교통을 이용한 통근 통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 54개 중소도시를 대상으로- (The effects of compact city development on public transportation commuting -The cases of 54 medium and small-sized cities in korea)

  • 이경환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10권2호
    • /
    • pp.55-60
    • /
    • 2010
  • 본 연구는 한국의 54개 중소도시를 대상으로 압축도시 이론에서 주장하는 고밀개발, 혼합적인 토지이용과 같은 계획 요소들이 실제 대중교통을 이용한 통근 통행에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토지이용 변수들 중에서는 인구밀도와 직주균형비가 높을수록 대중교통 통근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와 같은 결과는 압축도시 계획 이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이 밀도 수준이 높아질 경우 대중교통 서비스를 유지하는데 있어 유리하고 또한 토지를 복합적으로 이용함으로써 직장을 포함한 다양한 활동들에 대한 접근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자동차 이용이 줄어들고 대중교통 이용이 많아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대중교통을 이용한 통근 통행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고밀개발과 함께 직주균형과 같은 복합적인 토지이용을 유도하는 도시 정책이 요구된다. 또한 교통서비스 시설들 중에서는 도로 밀도와 지하철 유무가 대중교통 통근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대중교통 이용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먼저 효율적인 대중교통 서비스의 확충이 전제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따라서 대중교통 통근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고밀 복합적인 토지이용 정책의 추진과 함께 지하철과 같은 대중교통 서비스시설에 대한 투자가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스마트시티 개념을 이용한 중소도시재생계획에 대한 연구 - 2015 미국 스마트시티챌린지 공모전을 중심으로 - (Urban Regeneration Plan for Mid-sized Cities Deploying the Concept of Smart City - Focused on the US Smart City Challenge in 2015 -)

  • 유승호;김용승;김소연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5권9호
    • /
    • pp.29-40
    • /
    • 2019
  • The concept of smart city is understood as an indispensable component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small cities in terms of providing a better urban environment and efficient living systems with a limited budget. Recently, the Korean government revised the law that related to the construction of the smart city and started to implement the smart city concept not only to new-large urban development but also to small-existed regeneration projects. However, it is difficult for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that are suffering from the insufficient professional workforce; knowledge supports for high-tech and lack of professional networks to proceed smart city planning and project that containing regional characteristics.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effective way of urban regeneration for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through smart city planning and strategy. As an important case, this paper looks at the 'Smart City Challenge' competition that was hosted by the U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in 2015. It examines the background and operation process of the smart city challenge competition, and then analyses each city's strategy and characteristics of seven finalists. This paper highlights the several key lessons to Korean cities: 1) the importance of national government's support in financial and professional resources; 2) the cooperation with local governments and IT corporations which provides realistic and detailed technical solutions; 3) the holistic and integrated approach to urban regeneration starting from transportation issues; 4) the necessity of the government's clear visions and guidelines toward the smart city.

중·소블록 기반 집합주택 보급을 통한 도시성과 근린성 제고(提高) 방안의 고찰 (An Examination on the Improvement of Urbanity and Neighborship through the Provision of Collective Housing based on Small and Medium-sized Blocks)

  • 임재헌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4호
    • /
    • pp.495-502
    • /
    • 2023
  • 우리나라의 전통적 주거지들이 자연과 공존하며 공동체를 형성한 바탕 위에 마을의 풍경이 만들어져 왔다면 유럽의 도시들은 성채를 토대로 길과 블록이 형성되는 가운데 공동의 주거를 위한 거주지를 만들어 온 경우도 상당하다는 서로 다른 역사적 전개과정이 존재한다. 대규모의 주택공급이라는 근현대화의 과정과 함께 우리의 보편적 도시구조는 아파트 단지가 연속된 도시적 풍경이 일반화되었고 이러한 주거유형과 거주방식의 획일화라는 현상을 주거유형의 다변화라는 관점에서 유럽 등의 도시구조에 더 보편화 되어있는 중·소블록 기반 집합주택이 도시성과 근린환경의 향상에 연관되어질 수 있다는 관점을 고찰해본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대가구에 기반한 단지형 아파트 이외에 대체적인 방안으로서 중·소블록에 기반한 집합주거의 보급을 확대할 수 있는 가능성과 우리 삶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공동주택의 유형적 변화가 생활양식과의 근원적인 상호간의 관계지음을 어떠한 방식으로 변천시켜 나갈 수 있을지에 대해 의미를 부여해 보고자 한다.

중소도시 지역 거주 고령자의 경로당 프로그램 이용 실태 및 활용 전망 (Status and Prospect of the Elderly Living i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Using the Senior Citizens' Center)

  • 박다솔;신가인;우예신;이혜식;박혜연
    • 재활치료과학
    • /
    • 제10권1호
    • /
    • pp.95-104
    • /
    • 2021
  • 목적 : 본 연구는 중소도시 지역 특성에 맞는 경로당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국내 경로당 프로그램의 현황과 경로당 프로그램의 이용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고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을 위해 2019년 7월에서 9월까지 전국 5개 지역(경기, 경상, 충청, 전라, 강원)의 읍, 면, 리에 개설된 소규모의 경로당을 연구자가 방문하여 대인면접 설문조사 형태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결과 : 경로당 이용자가 경로당을 이용하는 주요 이유는 '친구들이 있어서'이며 55.0%의 이용자가 일주일에 4-5회 경로당을 이용한다고 응답하였다. 이용자들의 45.9%가 경로당 이용에 만족하고 있으며, 경로당 활성화 방안으로 20.2%의 응답자가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발'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경로당 비이용자의 43.5%가 '마땅히 즐길만한 활동이 없어서' 경로당을 이용하지 않는다고 응답하였으며 경로당 활성화 방안으로 46.5%의 응답자가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되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경로당 이용자와 비이용자 모두 선호하는 프로그램은 운동, 취미와 오락, 건강 프로그램 순이었다. 결론 :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국내 중소도시 지역 거주 노인들의 경로당 이용 여부, 이용 목적, 프로그램 만족도, 프로그램 개선점과 제한점 등에 대한 전반적인 사항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기존의 경로당 프로그램의 제한점을 파악하고 추후 방향성을 제시함으로써 경로당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성인여성의 정보화와 개인 및 가족생활변화 - 광역시 및 중소도시 거주자를 중심으로 - (Adult Women's Informationized Conditions and Individual, Family Life Change - Focused on Women Living in Large and Small-Medium Sized Cities -)

  • 김경신;김오남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0권12호
    • /
    • pp.171-187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s6 to find out women's informationized conditions and their life changes.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482 women living in large and small-medium sized cities. The data analysis used average, pearson's correlation,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by SAS/PC.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Women's level of informationized conditions is under median in computer using and information technology. The effect of informatization is over median about improving the ability, recognizing from family and neighbor, achieving the occupation. The change of individual and family is under median except educational stimulus, life vitality and educational effect on the family. 2. The effect of informatization was influenced by ability of using computer, necessity and purpose of informatization. The change of individual was influenced by ability of using computer, purpose and effect of informatization and also the change of family was influenced by handicapped reason in information education and the effect of informatiz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