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ll Airway Dysfunction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1초

Oscillometry-Defined Small Airway Dysfunc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 Amit K. Rath;Dibakar Sahu;Sajal De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87권2호
    • /
    • pp.165-175
    • /
    • 2024
  • Background: The prevalence of small airway dysfunction (SAD)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across different ethnicities is poorly understood. This study aimed to estimate the prevalence of SAD in stable COPD patients. Methods: We conducted a cross-sectional study of 196 consecutive stable COPD patients. We measured pre- and post-bronchodilator (BD) lung function and respiratory impedance. The severity of COPD and lung function abnormalities was graded in accordance with the Global Initiative for Chronic Obstructive Lung Disease (GOLD) guidelines. SAD was defined as either difference in whole-breath resistance at 5 and 19 Hz > upper limit of normal or respiratory system reactance at 5 Hz < lower limit of normal. Results: The cohort consisted of 95.9% men, with an average age of 66.3 years. The mean forced expiratory volume 1 second (FEV1) % predicted was 56.4%. The median COPD assessment test (CAT) scores were 14. The prevalence of post-BD SAD across the GOLD grades 1 to 4 was 14.3%, 51.1%, 91%, and 100%, respectively. The post-BD SAD and expiratory flow limitation at tidal breath (EFLT) were present in 62.8% (95% confidence interval [CI], 56.1 to 69.9) and 28.1% (95% CI, 21.9 to 34.2), respectively. COPD patients with SAD had higher CAT scores (15.5 vs. 12.8, p<0.01); poor lung function (FEV1% predicted 46.6% vs. 72.8%, p<0.01); lower diffusion capacity for CO (4.8 mmol/min/kPa vs. 5.6 mmol/min/kPa, p<0.01); hyperinflation (ratio of residual volume to total lung capacity % predicted: 159.7% vs. 129%, p<0.01), and shorter 6-minute walk distance (367.5 m vs. 390 m, p=0.02). Conclusion: SAD is present across all severities of COPD. The prevalence of SAD increases with disease severity. SAD is associated with poor lung function and higher symptom burden. Severe SAD is indicated by the presence of EFLT.

소음영 진폐증 환자에서의 등기류용량(Volume of Isoflow)의 변화 (Change of Volume of Isoflow in Pneumoconiosis Patients with Small Opacity)

  • 오상용;김지원;정장영;김경아;윤임중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0권5호
    • /
    • pp.540-547
    • /
    • 1993
  • 연구배경 : 통상적인 폐기능 검사에 이상이 없는 초기단계의 단순 진폐증 환자들에서 세소기관지의 기능장애를 조기발견하는데 유용한 방법으로 알려진 등기류용량을 측정하여 분진작업에 기인한 세소기도 장해 여부를 알아보고 진폐증 환자들을 조기 관리하는데 등기류용량 측정의 적용에 대한 타당성 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FEV1 80% 이상, FEV1/FVC 75% 이상인 분진폭로군 67명과 분진폭로력이 없는 20명을 대상으로 실내 공기 흡입 및 80% Helium과 20% 산소의 혼합가스 흡입 후 측정한 각각의 최대호출기류량곡선(maximal expiratory flow volume cuve)에서 ${\Delta}V_{max50},\;{\Delta}V_{max75},\;V_{iso}V/VC$을 구하여 진폐증 category 별로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결과: 1) 대조군에 비하여 전체 분진폭로군에서 ${\Delta}V_{max50}$${\Delta}V_{max75}$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V_{iso}V/VC$은 현저하게 (p<0.01)증가되어 $V_{iso}V/VC$이 세소기도의 기능장해를 조기발견하는데 가장 유용한 지수임을 알 수 있었다. 2) 비흡연자를 포함한 분진폭로군과 흡연자만으로 이루어진 분진폭로군에서 $V_{iso}V/VC$의 분석결과가 매우 상이한 것으로 보아 흡연이 세소기관지병변을 초래하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4) 분진폭로군에서 흉부방사선사진상 진폐음의 조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V_{iso}V/VC$이 증가되었으나 각각의 categry에서는 서로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어 진폐음영의 조밀도와 세소기도 장해와는 유의한 연관성이 없었다. 4) 분진작업에 종사한 근무 기간과 $V_{iso}V/VC$의 증가와는 유의한 연관성이 없었다. 결론 : 단순진폐중 환자들에서 통상적인 폐기능검사에 이상소견이 없는 경우 등기류용량($V_{iso}V/VC$)을 측정하여 세소기도의 기능장애를 파악함으로써 진폐증의 조기관리에 도움이 될것으로 생각된다.

  • PDF

CPAP(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치료 프로그램이 취학 전 구순.구개열 아동의 과대비성 개선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CPAP Therapy Program on Hypernasality in Preschool Children with Cleft Lips and Palates)

  • 조성미;정옥란;한기환
    • 음성과학
    • /
    • 제14권4호
    • /
    • pp.261-271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CPAP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therapy on the treatment of hypernasality in patients with cleft lips and palates. 7 preschool children with severe hypernasality participated in the study. Acoustic measurements of nasality were done by using the NasalView (version 1.31). Results showed that the nasalance values were reduced linearly in both vowels according to the treatment period. The sharp treatment effect was observed at the beginning stage. The nasality values of the vowel /i/ showed a sharp decrease at the Evaluation Phase 1 and 2 and a small increase at the Phase 4 followed by a drop in the end. Further studies would be desirable for various patients with different disorder types.

  • PDF

기관지 탄분 섬유화증에서 동반된 기관지 협착에 따른 환기역학 (Ventilatory Dynamics According to Bronchial Stenosis in Bronchial Anthracofibrosis)

  • 정승욱;김연재;김건현;김민선;손혁수;김준철;류현욱;이수옥;정치영;이병기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9권4호
    • /
    • pp.368-373
    • /
    • 2005
  • 연구배경 : 기관지 탄분 섬유화증은 주로 만성기관지염, 만성폐쇄성폐질환, 또는 천식 등과 같은 만성 기도 질환의 형태로 발현되며, 질환의 경과 중에 폐렴, 폐결핵과 같은 실질성 병변들이 동반될 수 있다. 저자들은 기관지 탄분 섬유화증에서 환기장애의 병형별 빈도 및 동반된 기관지 협착에 따른 기도의 환기기능 및 역학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기관지내시경검사 상 기관지 탄분 섬유화증으로 진단받은 환자 가운데 폐기능 검사를 실시한 113례의 환자를 대상으로 폐기능 검사에서 구한 여러 계측치들과 협착을 보인 기관지의 수와의 상관관계를 구하였다. 결 과 : 폐쇄성 환기장애가 56례(49.6%), 제한성 환기장애가 8례(7.1%), 혼합성 환기장애가 2례(1.8%), 그리고 정상환기가 47례(41.6%)였다. 노력성 호기곡선에서 구한 계측치 가운데 $FEV_1/FVC$$FEF_{25{\sim}75%}$은 상관계수가 각각 -0.208, -0.310으로 협착을 보인 기관지의 수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p<0.005). 기류-용량 곡선에서 구한 PEF, $FEF_{25%}$, $FEF_{50%}$ 및 FEF75%는 모두 낮게 관찰되었으며, 상관계수가 각각 -0.309, -0.303, -0.416, 그리고 -0.318로 협착을 보인 기관지의 수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Raw도 0.477로 협착을 보인 기관지의 수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1). 결 론 : 기관지 탄분 섬유화증은 협착을 보인 기관지의 수가 많을수록 세소기도 병변과 함께 주로 폐쇄성 환기장애를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된다.

굴곡성기관지경으로 진단된 기관지결핵에 대한 고찰 (Flexible Bronchoscopic Observation on Endobronchial Tuberculosis)

  • 최재성;이영현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2권1호
    • /
    • pp.161-166
    • /
    • 1985
  • 기관지결핵은 폐결핵 환자의 상당수에서 관찰되며, 폐침윤이 없는 경우에도 기관지폐쇄로 인한 무기폐, 임파선 종대로 인한 종괴의 형성으로 타폐질환과 감별을 요하게 된다. 저자들은 1983년 5월부터 1985년 7월까지 영남대학병원에서 굴곡성 기관지경을 사용하여 기관지결핵으로 진단하였던 25예를 대상으로 그 임상상을 관찰 조사 하였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1) 25명의 기관지결핵 환자 모두 항결핵제 투약을 받았으며, 이중 호흡곤란이 심하거나 주 기도내에 광범위한 육아종 병변이 있었던 6명에서는, corticosteroid의 투여로 호전을 보였다. 2) 기관지결핵의 진단에 굴곡성 기관지경을 통한 조식검사나 항산균의 도말 및 배양검사가 필수적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