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lope maintenance

검색결과 195건 처리시간 0.027초

염화물이 철근콘크리트의 부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hloride on the Corrosion of Reinforced Concrete)

  • 김정섭;신용석;이설;김광석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9권2호
    • /
    • pp.147-154
    • /
    • 2005
  • 부식면적에 기준으로 살펴보면, 염화물이온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재령이 증가할수록 부식면적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염화물이온 함유량이 $3kg/m^3$에서 $7kg/m^3$로 증가할때, 재령일이 730일에서 1035일로 증가할때 부식면적 증가 기울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방청 시험체에 비해 무방청 시험체에서 약 8~35배정도 많은 부식면적을 나타내어 방청제 도포에 의한 부식방지에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염화물이온을 함유하지 않은 경우 피복두께 증가에 따른 철근의 부식제어효과를 나타내었으나 염화물 이온을 함유한 시험체에서는 염화물 역확산, 시험오차 등의 복합적인 문제로 피복두께와 부식의 일정한 경향을 볼 수 없었다.

철도교량의 탄성받침 적용방안 (Application of Elastomeric Bearing for Railway Bridge)

  • 강태우;어성욱;김동식;강영식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697-1702
    • /
    • 2010
  • It has been recognized for decades that the spherical bearing which is sliding on curved surface in the intrinsic behavior is optimized for the railway bridge requiring a large slope deflection. However, the spherical bearing is easily corrosived at the PSC girder bridge which is exposed to the outside so the normal function of bridge bearing is not fulfilled fully. It is common that the corrosion is happened at the operating plate of steel bridge bearing and generally it is necessary to replace the bridge bearing after 20~25 years. Accordingly, It costs multi billion dollars for maintenance each year and the necessity of improvement become a issue. Korea Rail Network Authority(KR) suggested to apply the Elastomeric bearing instead of Spherical bearing through the task of construction site of 2006. But the normal Elastomeric bearing is optimized for the Highway bridge so it needs the special consideration to satisfy each design condition required by railway bridge. As the result of examination of Elastomeric bearing at the railway bridge construction site, the stress is decreased by effective dispersion of earthquakes and the maintenance fee is also decreased.

  • PDF

망개나무林의 分布, 構造 및 維持機作 (Ecological Studies on the Distribution, Structure and Maintenance Mechanism of Berchemia berchemiaefolia Forest)

  • Kang, Sang-Joon;Hong-Eun Kim;Chang-Seok Lee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4권1호
    • /
    • pp.25-38
    • /
    • 1991
  • Berchemia berchemiaefolia is a native a native rare plant which has been designating as the Natural Monument, No. 266, since 1980. The floristic composition, population structure and maintenance mechanism of the Berchemia berchemiaefolia forest were investigated in conjunction with the habitat consisted of the block field or screes. Through the present study, the authors found a new habitat of Berchemia berchemiaefolia in the northeastern slope on Mt. Kumdansan located at Hajeok-ri, Cheongcheon-myeon, Koesan-gun, chungbuk province. Gravels consisted of the block field belonged to granule, pebble and cobble as the range of grain size, $\Phi$=-1.5~6.6 values. The tree layer of Berchemia berchemiaefolia community was mainly composed of Quercus variabilis, Pinus densiflora and Q. serrata including Berchemia berchemiaefolia and of this community were similar to that of Q. variabilis. By the age distribution, it was considered that the community was a discontinued one as the pattern of distribution was a normal distribution type(N type). Phenological cycle including leafing, blooming and seed-bearing period between both sites of block field and valley or close canopy showed some differences. The seed production of Berchemia berchemiaefolia was 8, 655, 000 seeds/ha/year, but only 406, 000 seeds/ha/year of them were developed as saplings, and only 4 saplings were developed to mature trees.

  • PDF

시간효과를 고려한 절개사면 화강토의 전단특성 연구 (The Characteristics of Shear for Decomposed Granite Soils on Cutting Slope Related to Time Effects)

  • 정상국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5권1호
    • /
    • pp.206-217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at the relations of weathering speed and shear strength of granite soil by tracing the weathering depth of granite soil from the very moment of its cutting. The results obtained this follows ; 1) The relationships among Nc, Li and CEC, Li>6%, CEC>14 corresponds to Nc=2~30, and 4%${\phi}$)increases at a standard pressure. 3) And Nc=0~50 corresponds to $27{\sim}50^{\circ}$ of internal fiction angle and to 12~49kPa of cohesion. That is to say, internal friction angle(${\phi}$)corresponds better than cohesion(c).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in simplified dynamic cone penetration test a penetration boundary line of 5 centimeters is decided at around Li=4%, CEC=3(meq/100g) which is classified as a completely weathering soil. It also appears that CEC increases as Li increases while Nc decreases.

  • PDF

도로배수 취약구간의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A study of Improvement on the Road Drainage Poor Site)

  • 이만석;김흥래;이경하;강민수;송민태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125-131
    • /
    • 2011
  • 본 연구는 도로 운영시 강우로 인하여 발생하는 배수 취약구간에 대하여 현장 조사를 통하여 도로 배수 취약구간의 발생 원인을 과학적이고 구체적으로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로 배수 취약구간의 발생 원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배수취약구간에 대한 기존 연구결과 및 현황 자료를 검토하였으며, 도로 노면 배수시설과 도로 인접지 배수시설에 대한 취약구간을 조사 및 분석한 결과, 시공 및 기타의 원인으로 발생한 배수 취약구간이 45.7%, 도로의 기하구조가 원인이 된 배수 취약구간은 32.3%, 도로의 수리 수문의 원인은 22.0%로 분석되었으며, 분석된 원인 별 개선 방안으로서 i)시공 및 기타 부분에서는 토사측구의 재료 변경, 단면의 크기 상향 및 수리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한 용량의 산정을, ii)도로의 기하구조 측면에서는 편경사 및 종단선형을 고려한 합성경사의 도출 및 범위 산정과 종단 오목부 구간의 배수구조물 적정 간격의 제시를, iii)도로의 수리 수문 측면에서는 1분단위 강우강도식의 사용과 노면 강우의 부등류 흐름 해석 기법의 적용과 선형 배수방식에 따른 도로 노면 강우의 신속배제를 개선 방안으로 제안하였다.

도로(道路)비탈면의 경관안정(景觀安定)을 위한 기본(基本)모델 설정(設定)에 관한 연구(硏究) (Fundamental Model Development for Rehabilitation of the Roadside Slopes)

  • 우보명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1권1호
    • /
    • pp.69-79
    • /
    • 1983
  • 도로(道路)비탈면 처리효과(處理效果)를 증진확보(增進確保)하기 위하여 도로(道路)비탈면의 안정(安定)과 경관조성(景觀造成)에 관(關)한 기본(基本)모델을 설정(設定)하고자 수도권지역(首都圈地域)에 위치(位置)한 100개소(個所)의 도로(道路)비탈면 시공지(施工地)에 대(對)한 조사(調査)를 수행(遂行)한 결과(結果), 일반적(一般的)으로 도로(道路)비탈면 본래의 물리적(物理的) 특성(特性)에 적합(適合)한 시공처리(施工處理)가 실행(實行)되지 못하여 훼손(毁損)비탈면의 경관안정(景觀安定) 목표(目標)가 달성(達成)되지 못하고, 또 유지관리기술(維持管理技術)의 미비(未備) 등으로 조기(早期)에 식생(植生)의 쇠퇴고사현상(衰退枯死現象) 및 경관재손상현상(景觀再損傷現象) 등이 많이 발생(發生)되고 있다. 이 연구(硏究)의 수행(遂行) 결과(結果)로 설정(設定)된 도로(道路)비탈면 처리(處理)에 관(關)한 6가지 기본(基本)모델은 삼림경관조화형(森林景觀調和型), 도로경관조성형(道路景觀造成型), 훼손지녹화형(毁損地綠化型), 암벽면녹화형(岩壁面綠化型), 절대안정형(絶對安定型) 그리고 환경식수대조성형(環境植樹帶造成型) 등이다. 이 기본(基本)모델은 장차 우리나라에서 도로(道路)비탈면 처리(處理)에 관(關)한 기본(基本)모델 제정(制定)에 기초자료(基礎資料)가 될 것이다.

  • PDF

IoT 센서와 AI 카메라를 융합한 급경사지 상태 분석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 Slope Condition Analysis System using IoT Sensors and AI Camera)

  • 이승주;정기연;이태훈;김영석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23권2호
    • /
    • pp.43-52
    • /
    • 2024
  • 최근 이상기후로 인한 급경사지 붕괴 위험이 증가되고 있으며, 급경사지 붕괴 위험의 사전 예측 및 경보 전파가 이루어지지 않아 인명과 재산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급경사지의 상태를 평가하기 위해 IoT 센서와 AI 기반 카메라를 융합한 급경사지 분석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하여 급경사지 지반조건을 고려한 계측센서 하드웨어 및 펌웨어 설계, AI 기반 영상 분석 알고리즘 설계, 그리고 예·경보 솔루션 및 시스템 제작을 수행하였다. IoT 센서의 데이터와 AI 카메라 영상 분석을 통해 센서 데이터의 오차를 최소화하고, 데이터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또한 실제 급경사지에 적용하여 정확도(신뢰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센서 계측 오류는 0.1° 이내로 유지되었으며 계측 데이터의 전송률은 95%이상이었다. AI 기반의 영상 분석 시스템은 야간에도 부분 인식률 99%의 높은 성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는 다양한 사회간접자본(SOC) 시설의 급경사지 상태 분석 및 스마트 유지관리 분야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가드레일에 차량 충돌 시 성토사면의 거동분석 (Behavior Analysis of Fill Slope by Vehicle Collision on Guardrail)

  • 박현섭;안광국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5권2호
    • /
    • pp.67-74
    • /
    • 2014
  • 최근 산업의 발달로 증가하는 도로와 이를 이용하는 차량의 증가로 인한 교통사고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교통사고는 운전자과실, 차량결함, 주행도로상태, 자연환경 등의 다양한 불안정 인자들로 인하여 발생한다. 방호울타리의 한 종류인 가드레일은 교통사고 및 이탈을 방지하여 탑승자의 상해와 차량의 파손을 최소로 줄여 차량을 정상주행 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가드레일은 8 tonf 차량이 $15^{\circ}$로 80 km/h의 속도로 가드레일에 충돌하는 시험으로 가드레일의 안정성을 평가하며, 지반은 상대적으로 지지력이 큰 무한평지에서 평가된다. 하지만 국내의 경우 성토사면에 설치된 가드레일은 보호길어깨에 설치되며, 이로 인해 가드레일의 지지력 저하 및 성능저하로 가드레일의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가드레일에 대한 기존 연구는 무한평지에 설치된 가드레일 및 차량의 안정성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하지만 차량 충돌 시 가드레일이 설치된 성토사면의 거동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차량 충돌 시 성토사면의 거동을 확인하기 위해 유한요소프로그램인 LS-DYNA를 이용하여 성토사면에 설치된 가드레일의 지주 매입깊이를 변화시켜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수치해석은 NCAN(National Crash Analysis Center)에서 제공하는 8 tonf 트럭을 이용하여 성토사면에서 가드레일 지주의 매입깊이를 변화시키면서 충돌 해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가드레일 지주의 매입깊이가 증가함에 따라 성토사면의 변위와 응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450 mm 깊이에서 지반지지력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물찌꺼기 적치장 유지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방안 연구 (Study of Monitoring Methods for Maintenance Management of Tailings Dams)

  • 오삼주;김기준;송재용;최의규
    • 지질공학
    • /
    • 제26권4호
    • /
    • pp.473-484
    • /
    • 2016
  • 본 연구는 환경유해시설인 광물찌꺼기 적치장의 효과적 유지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방안을 수립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광물찌꺼기 적치장 유지관리를 위한 모니터링은 세분된 점검항목 및 평가항목의 선정을 통해 상세한 조사가 필요하며, 조사결과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불량정도 및 그 진행성 여부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 따라서 모니터링 항목을 옹벽구조물(콘크리트 옹벽, 석축, 돌망태) 및 일반시설물(차수층, 복토층, 사면, 광물찌꺼기, 우수배제시설, 침출수, 식생)로 점검항목을 세분하고, 각 항목별 모니터링 결과에 대한 상태평가를 수행하여 등급 및 점수화를 통해 체계적인 유지관리가 될 수 있도록 모니터링 개선안을 제안하였다. 개선안에 따른 현장 적용성 평가 결과, 기존 모니터링에 비해 최대 16건(우수배제시설)의 하자 발생 건수가 추가로 확인되는 등 기존 모니터링에 비해 세부적인 평가가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등급에 따른 광물찌꺼기 적치장별 종합점수는 금장광산이 89.3점으로 가장 양호하고 거풍광산이 22.2점, 화천광산이 27.8점으로 가장 불량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이 개선안을 적용할 경우, 보다 상세한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고 각각의 항목에 대한 정량적인 평가가 가능하다. 이러한 정량적 평가는 향후 광물찌꺼기 적치장의 보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중점관리항목 선정, 유지보수 계획수립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농촌지역 소하천의 생태환경 평가 연구 - 한강유역 지류를 중심으로 - (The Study on Ecological Function Assessment at Streams in Rural Area - The Focus of Han-River Basin -)

  • 강방훈;김남춘;손진관;김미희;조승진;이상영
    • 농촌계획
    • /
    • 제17권2호
    • /
    • pp.23-32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duce basic planning criteria required in ecological restoration and improvement works of streams in rural area through the application of stream assessment methods (water quality, soil environment, and ecological function assessment) at 6 study sites of Han River basin. The investigation results were as followings; 1) There were the evaluation items like a manure use, salt degree, river peripheral tree, which did not fitted to apply to domestic streams, in the SVAP (Stream Visual Assessment Protocol) and NRCS Riparian Assessment that were evaluation models developed in USDA. The area inhabitants with a little knowledge and education personally seems to utilize the evaluation methods through improvement partly with an aspect that evaluation is slightly easy. 2) From the stream assessment results, the construction of diverse pools, large woody debris and isolated backwater pool are needed to improve a few of problems observed at the mostly study sites. The result of NRCS Riparian Assessment showed that the improvement of stream bank vegetative communities is needed by planting tree with deep-binding root masses, and managing of noxious weeds and exotic undesirable plants. 3) Summing up, the assessment results showed that the assessment scores were higher at upstream than downstream, the stream with totally maintenance than that with partly maintenance, the stream with slope bank than that with vertical bank, and the stream with a flood plain than that without a flood plain. So, the direction of stream maintenance projects must be set by consideration of those resul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