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leep apnea, obstructive

검색결과 323건 처리시간 0.029초

렘수면 행동장애 유사 수면장애에 대한 고찰 (A Review on Sleep Disorders Similar to REM Sleep Behavior Disorder)

  • 이은영;송지혜;배희원;최하연
    • 수면정신생리
    • /
    • 제29권2호
    • /
    • pp.35-39
    • /
    • 2022
  • 렘수면 행동장애는 렘수면에서 과도한 근전도 활동과 관련된 불쾌한 꿈과 격렬한 행동이 특징인 사건수면이다. 이는 특발성으로 나타날 수 있고, 다른 신경학적 또는 의학적 상태에 이차적으로 나타날 수 있는 등 여러 이질적인 기저 질환이 있을 수 있다. 특발성으로 나타나는 렘수면 행동장애는 대부분 시누클레인 병증으로 인한 신경퇴행성 질환이 나타날 가능성을 의미하므로, 정확한 진단이 예후를 예측하는데 중요하다. 렘수면 행동장애의 진단을 위해서는 수면다원검사에서 나타나는 무긴장증이 없는 렘수면이 필수적이다. 노인 환자에서 수면 중 꿈을 꾸면서 행동을 보이는 질환으로는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외상 관련 수면 장애, 수면 중 격렬한 주기적인 다리 운동 등이 알려져 있다. 렘수면 행동장애를 모방할 수 있는 다른 수면장애가 동반되어 나타날 수 있음을 고려하여 신중한 병력 청취와 수면다원검사 등을 이용하여 수면장애의 감별 진단 및 치료가 중요하겠다.

Comparison of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Modified Jaw Thrust Maneuver During Drug-Induced Sleep Endoscopy (DISE) between Positional and Non-Positional Obstructive Sleep Apnea Patients

  • ;구수권
    • 임상이비인후과
    • /
    • 제29권2호
    • /
    • pp.190-197
    • /
    • 2018
  • Background and Objectives : Positional OSAS is characterized by an apnea-hypopnea index (AHI) score >5, which, while sleeping in the supine position, is double that in non-supine positio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ositional OSAS and non-positional OSAS patients, and the effects of the modified jaw thrust maneuver during drug-induced sleep endoscopy (DISE) between positional OSAS and non-positional OSAS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 68 positional OSAS patients and 19 non-positional OSAS patients were included. They all underwent full-night polysomnography and DISE. The modified jaw thrust maneuver was introduced during DISE. Airway structural changes induced by the modified jaw thrust maneuver were evaluated and documented. Results :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Friedman stage or tonsil grade, body mass index, Epworth sleepiness scale (ESS) score, blood pressure, AHI, or obstructive pattern between the positional and non-positional OSAS patients. However, mean arterial oxygen saturation (SaO2), lowest SaO2, and total arousal index values were more severe in the non-positional OSAS patients. After introduction of the modified jaw thrust maneuver, retrolingual level obstruction showed a tendency toward a higher rate of airway opening in positional OSAS patients than in non-positional OSAS patients. Conclusions : The effects of a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MAD) can be estimated by carrying out a modified jaw thrust maneuver during DISE. The tendency toward a higher rate of airway opening in positional OSAS patients than non-positional OSAS patients in retrolingual level obstruction after jaw thrust maneuver introduced during DISE may be clinically important for MAD.

코골이 및 폐쇄성 수면무호흡환자의 치료를 위한 기도확장 유도장치의 연구 (Research on airway expansion guidance devices for the treatment of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 patients)

  • 임중재;한만소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5호
    • /
    • pp.453-458
    • /
    • 2024
  • 건강을 유지하고 회복하기 위해서 편안한 수면을 하지 못하면 일상생활에 많은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편안한 숙면을 방해하는 원인으로 코골이와 폐쇄성 수면무호흡증과 이갈이, 이 악물기, 구호흡 등으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구강내 장치중에 하악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안정화 시키는 장치는 수술적 요법과 양압기를 대체하는 요법으로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장치의 사용중에는 하악이 원래의 자리로 가려는 힘의 발생 때문에 스크류, 고무줄 등으로 고정시키는 장치가 이용되고 있으며, 장치의 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윗니와 아랫니를 물고 있어야 한다. 수면하는 동안 계속 다물로 있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장치는 상악에만 제작하면서 key & key way의 구조의 형상으로 하악 설측 embarasure에 수직적인 유도로를 만들어 접번운동은 허용하고 전방운동과 측방운동을 차단하는 기능으로 장치를 착용중에도 입을 벌릴 수 있고 수면중에 기도확장을 유도하여 수면무호흡을 해결하는 기능은 발휘하는 장치의 개발에 관한 것이다.

압전센서를 이용한 코골이와 심박 검출을 위한 자동 알고리즘 (Automatic Detection Algorithm for Snoring and Heart beat Using a Single Piezoelectric Sensor)

  • 에르덴바야르;박종욱;정필수;이경중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143-149
    • /
    • 2015
  • In this paper, we proposed a novel method for automatic detection for snoring and heart beat using a single piezoelectric sensor. For this study multi-rate signal processing technique was applied to detect snoring and heart beat from the single source signal. The sound event duration and intensity features were used to snore detection and heart beat was found by autocorrelation.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was evaluated on clinical database, which is the nocturnal piezoelectric snoring data of 30 patients that suffered obstructive sleep apnea. The method achieved sensitivity of 88.6%, specificity of 96.1% with accuracy of 95.6% for snoring and sensitivity of 94.1% and positive predictive value of 87.6% for heart beat,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be a useful tool in sleep monitoring and sleep disordered breathing diagnosis.

폐쇄성 수면 무호흡 환자의 측모 두부방사선계측사진 및 치아모형 연구 (A cephalometric and dental cast study of obstructive sleep apnea patients)

  • 정미라;남기영;김종배;권오원;황상희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28-236
    • /
    • 2006
  •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이란 수면도중 주기적으로 호흡이 멈추는 증상을 말한다. 상악과 하악이 후퇴되어 있거나 하악이 작으며 수평적으로 기도 폭경이 좁고 혀가 후방에 위치하는 등 폐쇄성 수면 무호흡 환자의 전후방적인 악골 및 연조직 특성에 대한 평가는 많았으나 치열 및 악궁에 대한 평가가 부족하여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환자의 골격적 특징과 악궁의 폭경과 구개깊이와 수면무호흡지수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동산의료원 수면클리닉에 수면장애를 주소로 내원한 환자 중 수면다원검사와 측모 두부방사선계측사진과 치아모형이 갖추어진 38명의 남자를 대상으로 하여 치아모형과 측모 두부방사선계측사진, 수면무호흡지수와 체질량지수를 비교하였다. 수면무호흡지수와 악궁의 횡폭경, 구개깊이, 수직피개량 및 수평피개량과는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수면무호흡군에서 상기도 폭경은 좁고, 하기도 폭경은 넓은 경향이 있었다. 수면무호흡지수와 상기도 폭경은 미약한 음의 상관관계를 가졌으나 하기도 폭경은 미약한 양의 상관관계를 가졌고, 수면무호흡지수가 클수록 하악 하연으로터 설골까지의 거리도 멀었다.

Gastroesophageal Reflux Affects Sleep Quality in Snoring Obese Children

  • Machado, Rodrigo Strehl;Woodley, Frederick W;Skaggs, Beth;Lorenzo, Carlo Di;Eneli, Ihuoma;Splaingard, Mark;Mousa, Hayat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9권1호
    • /
    • pp.12-19
    • /
    • 2016
  •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quality of sleep in snoring obese children without obstructive sleep apnea (OSA); and to study the possible relationship between sleep interruption and gastroesophageal reflux (GER) in snoring obese children. Methods: Study subjects included 13 snoring obese children who were referred to our sleep lab for possible sleep-disordered breathing. Patients underwent multichannel intraluminal impedance and esophageal pH monitoring with simultaneous polysomnography. Exclusion criteria included history of fundoplication, cystic fibrosis, and infants under the age of 2 years.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arousals and awakenings with previous reflux were defined by symptom-association probability using 2-minute intervals. Results: Sleep efficiency ranged from 67-97% (median 81%). A total of 111 reflux episodes (90% acidic) were detected during sleep, but there were more episodes per hour during awake periods after sleep onset than during sleep (median 2.3 vs. 0.6, p=0.04). There were 279 total awakenings during the sleep study; 56 (20.1%) of them in 9 patients (69.2%) were preceded by reflux episodes (55 acid, 1 non-acid). In 5 patients (38.5%), awakening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reflux. Conclusion: The data suggest that acid GER causes sleep interruptions in obese children who have symptoms of snoring or restless sleep and without evidence of OS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