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lP

검색결과 271건 처리시간 0.032초

레이저 변위계를 이용한 암석 절리면의 3차원 거칠기 측정기 개발 (Development of a 3D Roughness Measurement System of Rock Joint Using Laser Type Displacement Meter)

  • 배기윤;이정인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2권4호
    • /
    • pp.268-276
    • /
    • 2002
  • In this study, a 3D coordinate measurement system equipped with a laser displacement meter for digitizing rock joint surface was established and the digitized data were used to calculate several roughness parameters. The parameters used in this study were micro avenge inclination $angle(i_{ave})$, average slope of joint $asperity(SL_{ ave})$, root mean square of $i-angle(i_{rms})$, standard deviation of height(SDH), standard deviation of $i-angle(SD_i)$, roughness profile $index(R_P)$, and fractal dimensio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roughness parameters based on the digitzation of the surface profile were analyzed. Since the measured value vari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reflection and the variation of colors at the measuring point, rock joint surface was painted in white to minimize the influence of the surface conditions. The comparison of the measured values and roughness parameters before and after painting revealed the better consequence from measurement on the painted surfaces. Also, effect of measuring interval was studied. As measured interval was increased, roughness parameters were exponentially decreased. The incremental sequence of degree of decrease was $SDH\; i_{ave},\; i_{rms},\; SD_i,\;and\; R_ p-1$. As a result of comparison of parameters from pin-type measurement system and laser type measurement system, all value of parameters were higher when laser-type measurement system was used, except SDH.

서울 지역 종합병원 직원 급식서비스의 질 향상 사례 연구 -잔식량 분석에 의한 원가 관리 중심으로 - (A Case Study on Quality Improvement of Employee Foodservice in Hospital, Seoul - Focused on Cost Control by the Quantity of Non-Offered Meal -)

  • 이승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411-418
    • /
    • 2010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non-offered meal on waste reduction in foodservice. To this end, the quantity of non-offered meal before and after Quality Improvement(QI) activity was analyzed, and employee satisfaction with foodservice was investigated. Statistical data analyse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daily quantity of non-offered meal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QI(p<0.001)($27.80{\pm}3.14\;kg$ before QI and $7.22{\pm}4.17\;kg$ after QI). Among 7 items related to employee satisfaction, kindness of meal service staffs improved significantly after QI(p<0.05)($4.05{\pm}0.74$ before QI and $4.21{\pm}0.17$ after QI).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variety of menus, or cooking/seasoning of food, and there seemed to be greater satisfaction with taste of food after QI.

광중합형 복합레진 충전 건강보험 급여화에 대한 보호자의 인식과 만족도 (Awareness & satisfaction of caregivers on the health insurance coverage of light-curable composite resin restoration)

  • 유슬아;이수영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89-98
    • /
    • 2021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caregivers and parents after being covered by health insurance for light-curing composite resin fillings, and to contribute to the settlement of the expansion and coverage of health insurance.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on caregivers who visited two dental institutions in the Gyeonggi-do area, and parents who joined internet cafes (online communities) in the Gyeonggi-do area from June 2 to September 2, 2020. 225 responses were collected eventually, and 212 valid responses were used as analysis data. Results: 67.0% of the study subjects were aware of the permanent teeth resin fillings being covered by health insurance and the satisfaction was relatively high (91.5%).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permanent tooth resin filling benefits according to the child's oral condition (p=0.025) and the parents' own interest in oral health (p=0.039).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accessibility to the initial treatment for dental care of children through active promotion of detailed items of permanent teeth resin fillings.

Effect of dietary pumpkin (Cucurbita moschata) seed meal on layer performance and egg quality characteristics

  • Vlaicu, Petru Alexandru;Panaite, Tatiana Dumitra
    • Animal Bioscience
    • /
    • 제35권2호
    • /
    • pp.236-246
    • /
    • 2022
  •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etary pumpkin (Cucurbita moschata) seed meal (PSM) on laying hens' performance, quality, fatty acids, cholesterol, antioxidant compounds and shelf life of eggs. Methods: Eighty Tetra SL laying hens, 50-week-old,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equal groups, having 10 replicates with 4 birds in each. The control (CON) treatment was fed with basal diet, while experimental treatment was fed a diet with 9% PSM, for a 6 week period. Results: Dietary PSM significantly decreased average daily feed intake (p<0.05), with no significant effect on other performance parameters. The PSM, enriched the eggs with polyunsaturated fatty acids, especially α linolenic acid (0.33 vs 0.21 g/100 g) and linoleic acid (20.65 vs 18.37 g/100 g), whereas it reduced the amount of arachidonic acid with 3.91% and n-6/n-3 ratio in PSM eggs compared with CON. The inclusion of 9% PSM significantly (p<0.05) diminished the cholesterol concentration in yolk with 11.31% and in egg with 10.38%, in respect to the CON samples. The significantly (p<0.05) higher concentration of polyphenols and antioxidant compounds, determined in PSM eggs, proved to be effective on shelf life of eggs preserved at refrigerator (5℃) and room temperature (21℃) for 28 days, by delaying the lipid oxidation and protein denaturation. This effect was reflected in significantly (p<0.05) higher Haugh unit in eggs stored 28 days at 21℃ and lower albumen pH values for the overall storage time, both at 5℃ and 21℃, proving the antioxidant effect of pumpkin. Conclusion: Dietary PSM supplementation was significantly effective on average daily feed intake and egg quality by increasing some fatty acids while lowering the cholesterol concentration. Also, PSM proved to be effective improving shelf life of eggs for 28 days storage time.

배추 유래 저온 저항성 관련 유전자, BrCSR의 특성 분석 (Characterization of a Cold Tolerance-related Gene, BrCSR, Derived from Brassica rapa)

  • 유재경;박영두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2권1호
    • /
    • pp.91-99
    • /
    • 2014
  • 본 연구는 배추에서의 저온 저항성 유전자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 먼저 저온($4^{\circ}C$) 스트레스가 처리된 내혼계배추를 대상으로 한 KBGP-24K oligo chip의 결과 [BrEMD(Brassica rapa EST and Microarray Database)]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23,929개의 배추 unigene 중 저온 처리시 대조군 대비 5배 이상 발현이 증가하는 417개(1.7%)의 저온 반응 유전자를 1차 선발하고, 이들 중 기능이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으나 완전장을 갖추고 있는 BrCSR로 명명한 유전자를 선발하였다. 이 유전자의 저온 저항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형질전환용 과발현 vector인 pSL101 binary vector를 제작하여 담배에 형질전환시켰다. BrCSR이 과발현된 $T_1$ 세대 담배 형질전환체들은 PCR과 Southern hybridization 분석에 의해 선발하였고, BrCSR의 기능은 저온 처리 시 유전자의 발현 수준 분석과 표현형 검정을 통해 확인하였다. Quantitative real-time RT-PCR과 Northern blot hybridization 분석 결과, 형질전환 담배에서 BrCSR의 발현이 대조군보다 약 2배 정도 높게 발현되었으며 실제로 $4^{\circ}C$ 처리 후 표현형 분석에서 BrCSR이 과발현된 형질전환체들이 대조군보다 우수한 저온 저항성을 보여 주었다. 위 결과들에 근거하여 BrCSR 유전자가 저온 환경 하에서 식물의 생장과 저항성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Salmonella typhimurium에서 SPI2의 ssaK와 ssaJ의 발현조절 (Expression control of ssaJ and ssaK of SPI2 in Salmonella typhimurium)

  • 최혁진;엄준호;이인수;박경량;박용근
    • 미생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08-114
    • /
    • 1998
  • Salmonella typhimurium에서 병독성 발현, 특히 숙주세포내로의 침입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유전자들의 집단(gene cluster)인 Salmonella Pathogenicity Island 2(SPI2)의 발현에 대한 다양한 환경요인들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SPI2의 주요 유전자인 ssaJ와 ssaK의 promoter를 포함하는 regulatory region을 promoterless lac operon과 융합시켜 reporter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산소농도, 삼투압, pH, 탄소원 결핍 및 glycerol 참가 등 여러 환경요인들의 변화가 이 reporter 유전자의 발현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한 결과 저산소, 낮은 삼투압, 약 알칼리 등이 ssaJ와 ssaK의 발현을 증가시켰으며 위의 세조건이 함께 존재할 때 그 발현이 가장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탄소원 결핍이나 glycerol 첨가는 이 두 유전자들의 발현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또한 이상과 같은 환경인자들의 효과는 S. typhimurium의 세 가지 야생형인 LT2, UK1과 SL1344 모두에서 동일한 양상을 보였다. 다른 한편 SPI1의 transcriptional activator를 암호화하는 조절유전자인 hilA의 돌연변이는 ssaJ와 ssaK의 발현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도 밝혀냈다. 따라서 이상의 결과는 SPI1과 SPI2가 서로 별개의 조절계에 의해 그 발현이 조절됨을 보여준다.

  • PDF

곰솔(Pinus thunbergii)에서 소나무재선충(Bersaphelenchus xylophilus) 나무주사 약제의 효율적인 평가법 개발 (Development of Effective Screening Method for Efficacy Test of Trunk Injection Agents Against Pine Wood Nematode, Bersaphelenchus xylophilus in Japanese Black Pine, Pinus thunbergii)

  • 신원식;정영학;이상명;이채민;이창준;김동수;문일성;이동운
    • 농약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440-449
    • /
    • 2015
  • 소나무재선충(Bursaphelenchus xylophilus) 소나무류의 가장 치명적인 해충의 하나로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중국, 일본, 스페인, 포르투갈 등지에서 발생하고 있다. 살선충제 나무주사는 효과적인 방제법의 하나이나 야외나 실내실험의 많은 제약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한 대체 효과 평가법을 제시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곰솔의 가지에서 소나무재선충의 증식은 수분 손실이 적은 가지에서 증식이 많이 되었으며 파라핀 도포는 수분손실을 78.6% 감소시켰다. 소나무재선충 접종 한 달 후 자른 가지에서 소나무재선충의 증식은 접종 부위로부터 상하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5cm구간과 10cm 구간 사이에도 차이가 없었다. 접종 나무의 굵기가 작을수록 재선충의 증식량이 많았으며 접종 동일 면의 증식량이 많았다. 곰솔과 소나무에서 재선충의 증식은 수종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접종밀도가 높을수록, 증식기간이 길수록 증식이 많이 되었다. Emamectin benzoate 2.15% EC와 morantel tartrate 8% SL을 곰솔에 수간주입 후 가지를 절단하여 소나무재선충을 접종하여 증식량을 조사한 결과 60일 후에 두 약제 모두 재선충의 증식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따라서 수간주사 한 소나무재선충의 효과를 검정하기 위하여 수간주사 한 나무의 가지에 소나무재선충을 접종하여 효과를 검정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발광유전자 재조합 균주 활성 촉진 조건이 석유계 탄화수소 오염지하수 모니터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ioluminescence Stimulating Agent of the Genetically Engineered Strain KG1206 on the Monitoring of the Petroleum Hydrocarbon Contaminated Groundwater Samples)

  • 고경석;공인철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79-84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유전자 재조합 발광균주, Pseudomonas putida mt-2 KG1206,의 발광 촉진조건을 석유계 탄화수소 오염 지하수에 적용 가능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일반적으로 순수 유도제 오염원에 대한 발광 강도는 m-methyl benzyl alchohol > m-toluate > toluene > m-xylene > benzoate > p-xylene > o-xylene의 순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지하수에 오염된 유도제 오염원의 농도에 따라 발광 정도가 관찰되었다. 그러나 일부 지하수 시료의 경우에는 낮은 농도에 높은 발광과 같은 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환경시료의 수질 복잡성에 따른 영향일 것이다. 선행연구에서 발광촉진제로 알려진 SL (sodium lactate)와 KNO$_3$에 의한 발광영향을 비교하였다. 모두 발광을 촉진하였지만, KNO$_3$가 조금 더 촉진력이 강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질소화합물(20 g KNO$_3$/L) 첨가군 시료의 발광균주는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뚜렷하게 발광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낮은 유도제 오염원 함유 시료에 대해서는 발광촉진 조건이 지하수 오염원 검출 및 모니터링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비슷한 특성을 가진 다양한 발광균주를 더욱 효율적으로 오염지역의 기초평가에 이용할 수 있는 조건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배추 유래 신규 건조 저항성 관련 유전자, BrDSR의 분리 및 기능 검정 (Isolation and Functional Identification of BrDSR, a New Gene Related to Drought Tolerance Derived from Brassica rapa)

  • 유재경;박영두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3권4호
    • /
    • pp.575-584
    • /
    • 2015
  • 건조 스트레스는 작물의 생존과 생산성을 결정하는데 매우 중요한 환경요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배추에서 신규 건조 스트레스 저항성 유전자를 동정 검정하는 것이다. 건조 스트레스 하에서 생육된 지부('Chiifu') 배추를 이용하여 제작된 KBGP-24K 마이크로어레이 데이터 분석을 통해 738개의 건조 반응 유전자 중 기능은 밝혀져 있지 않지만, 건조 스트레스 하에서 발현량이 6배 이상 크게 증가한 1개의 유전자를 선발하여 BrDSR(B. rapa Drought Stress Resistance)이라 명명하였다. 이의 검정을 위해 내혼계배추('CT001')에서 BrDSR을 동정한 결과 438bp의 오픈리딩프레임과 145개의 아미노산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동정된 완전장의 cDNA 염기서열은 형질전환용 과발현 vector인 'pSL100' 제작에 이용하였다. BrDSR이 식물체에서 건조 스트레스 저항성을 향상시켜줄 수 있는지 분석하기 위해 담배 형질전환을 수행하였다. PCR과 DNA 블롯 분석으로 선발된 T1 세대 담배 형질전환체들을 대상으로 quantitative real-time RT PCR 분석을 수행한 결과, 형질전환체의 BrDSR 발현량은 비형질 전환체 보다 2.6배까지 증가하였다. 또한 건조처리 10일째 수행한 표현형 분석에서 BrDSR이 발현되는 담배 형질전환체들이 비형질전환체들 보다 우수한 건조 저항성을 보였다. 연구 결과들을 종합하면 BrDSR은 건조 스트레스 하에서 식물의 생장과 생존에 효과적인 저항성 기능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배추에서 염 저항성 관련 유전자, BrSSR의 기능 검정 및 발현 네트워크 분석 (Characterization and Gene Co-expression Network Analysis of a Salt Tolerance-related Gene, BrSSR, in Brassica rapa)

  • 유재경;이기호;박지현;박영두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2권6호
    • /
    • pp.845-852
    • /
    • 2014
  • 다양한 비생물적 스트레스 중 토양 염 집적은 식물의 광합성 효율, 생장 및 수확량의 감소를 초래한다. 최근 염 저항성 향상을 위한 많은 유전자들이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형질전환 배추를 이용하여 아직 기능이 밝혀져 있지 않지만 완전장이 보고된 Brassica rapa Salt Stress Resistance(BrSSR) 유전자의 기능을 검정하는 것이다. BrSSR의 생리적 역할을 분석하기 위해, BrSSR의 과발현 vector인 pSL94 vector를 이용하여 내혼계 배추('CT001')를 형질전환하였다. Quantitative real-time RT-PCR 분석에서 형질전환체의 BrSSR 발현량은 대조군 대비 2.59배까지 증가하였다. 한편, 염 처리 후 표현형 분석에서 BrSSR이 과발현된 형질전환체들이 정상적인 생장을 보여줌으로써 염 스트레스에 내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Microarray 분석을 통해 구축된 염 스트레스 저항성 관련 유전자들의 발현 네트워크 상에서 BrSSR은 기존에 염 저항성 관련 유전자로 보고되어 있는 ERD15(AT2G41430), protein containing PAM2(AT4G14270), GABA-T(AT3G22200)와 매우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위 결과들을 바탕으로 BrSSR은 염 스트레스 발생 시 식물의 생장 및 저항성에 관련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