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ky Conditions

검색결과 167건 처리시간 0.019초

SPIRAL ARM MORPHOLOGY IN CLUSTER ENVIRONMENT

  • Choi, Isaac Yeoun-Gyu;Ann, Hong-Bae
    • 천문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161-175
    • /
    • 2011
  • We examine the dependence of the morphology of spiral galaxies on the environment using the KIAS Value Added Galaxy Catalog (VAGC) which is derived from the Sloan Digital Sky Survey (SDSS) DR7. Our goal is to understand whether the local environment or global conditions dominate in determining the morphology of spiral galaxies. For the analysis, we conduct a morphological classification of galaxies in 20 X-ray selected Abell clusters up to z~0.06, using SDSS color images and the X-ray data from the Northern ROSAT All-Sky (NORAS) catalog. We analyze the distribution of arm classes along the clustercentric radius as well as that of Hubble types. To segregate the effect of local environment from the global environment, we compare the morphological distribution of galaxies in two X-lay luminosity groups, the low-$L_x$ clusters ($L_x$ < $0.15{\times}10^{44}$erg/s) and high-$L_x$ clusters ($L_x$ > $1.8{\times}10^{44}$erg/s). We find that the morphology-clustercentric relation prevails in the cluster environment although there is a brake near the cluster virial radius. The grand design arms comprise about 40% of the cluster spiral galaxies with a weak morphology-clustercentric radius relation for the arm classes, in the sense that flocculent galaxies tend to increase outward, regardless of the X-ray luminosity. From the cumulative radial distribution of cluster galaxies, we found that the low-$L_x$ clusters are fully virialized while the high-$L_x$ clusters are not.

주간 활용 별센서의 별 감지가능성 분석 (Star Detectability Analysis of Daytime Star Sensor)

  • 나자경;이유;김용하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3권9호
    • /
    • pp.89-96
    • /
    • 2005
  • 이 논문에서는 주간 항법용 별센서의 실제 활용을 목적으로 주간 대기 조건과 주간 별 감지 가능성을 논한다. 주간동안의 대기 자료를 구하기 위해 표준 대기 모델(LOWTRAN 7)을 사용했으며 그 모델로부터 배경하늘에 대한 복사와 대기투과도를 구하였다. 대기 복사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광학 필터를 장착한 별센서를 가정했으며 태양 복사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 별센서와 태양 사이의 다양한 분리각을 설정하였다. 별센서의 FOV에 대한 고려로서, 하늘 배경 복사의 변화와 감지가능한 별의 개수 밀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요구되는 신호 대 잡음비를 얻기 위한 노출시간과 별센서의 주간 활용 한계로서 작용하는 CCD의 복사에 의한 전자 수를 계산하였다.

기상 상태 변화에 따른 직육면체의 재질별 표면온도 변화 특성에 대한 실험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Surface Temperature Variation Characteristics of Rectangular Parallelepipeds Constructed by Different Materials for Varying Meteorological Conditions)

  • 김동건;최준혁;길태준;김정호;김태국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08-214
    • /
    • 2012
  • The spectral radiance received by a remote sensor is consisted of the self-emitted component directly from the target surface, the reflected component of the solar irradiance at the target surface, and the scattered component by the atmosphere without ever reaching the object surface. In general, the self-emitted component is the most important part in the infrared signatures from the target. We measured the solar irradiation, sky irradiation, air temperature, wind velocity, wind direction, relative humidity, and atmospheric pressure together with the surface temperatures of rectangular parallelepiped targets. The measured diurnal surface temperature variations on the three different rectangular parallelepiped targets constructed by the steel, aluminum and bakelite are obtained at the same time intervals. The measured surface temperature results show that the top surface temperature of bakelite recorded up tp $7.6^{\circ}C$ higher than that of aluminium and $6.1^{\circ}C$ higher than that of steel at 11 AM on the sunny condition. A complete set of measured data including the surface temperature of rectangular parallelepiped targets together with the detailed weather information can be a valuable reference for future study.

일기예보를 이용한 일사량 예측기법개발 (Predict Solar Radiation According to Weather Report)

  • 원종민;도근영;허나리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387-392
    • /
    • 2011
  • 태양광발전은 독립전원으로써의 가치는 미미하나 도시전체의 탄소발생량 저감 및 화석연료 사용 저감을 위한 분산전원으로써 가치가 매우 높은 전력원이다. 하지만 태양광발전의 경우 기상조건에 따른 발전량 변동이 심하기에 분산전원으로써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큰 변동폭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실시간 모니터링이 이루어져야 한다. 하지만 태양광발전량을 좌우하는 일사량은 예측치가 존재하지 않기에 이를 예측해야 하고 본 연구에서는 과거의 일사량을 직산분리 하여 구름의 짙은 정도나 두께 등을 유추할 수 있는 대기투과율을 일기예보에서 발표하는 날씨별로 대푯값을 산정하고 이를 일사량 예측식에 대입하여 일사량을 예측하였다. 그리고 실측 일사량 및 CRM(Cloud Cover Radiation Model)기법인 Kasten and Czeplak의 식을 통해 계산된 예측일사량과의 비교를 통해 검증하였다.

Examining a Vicarious Calibration Method for the TOA Radiance Initialization of KOMPSAT OSMI

  • Sohn, Byung-Ju;Yoo, Sin-Jae;Kim, Yong-Seung;Kim, Do-hyeong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05-313
    • /
    • 2000
  • A vicarious calibration method was developed for the OSMI sensor calibration. Employing measured aerosol optical thickness by a sunphotometer and a sky radiometer and water leaving radiance by ship measurements as inputs, TOA (top of the atmosphere) radiance at each OSMI band was simulated in conjunction with a radiative transfer model (Rstar5b) by Nakajima and Tanaka (1988). As a case of examining the accuracy of this method, we simulated TOA radiance based on water leaving radiance measured at NASA/MOBY site and aerosol optical thickness estimated nearby at Lanai, and compared simulated results with SeaWiFS-estimated TOA radiances. The difference falls within about $\pm$5%, suggesting that OMSI sensor can be calibrated with the suggested accuracy. In order to apply this method for the OSMI sensor calibration, ground-based sun photometry and ship measurements were carried out off the east coast of Korean peninsula on May 31, 2000. Simulations of TOA radiance by using these measured data as input to the radiative transfer model show that there are substantial differences between simulated and OSMI-estimated radiances. Such a discrepancy appears to be mainly due to the cloud contamination because satellite image indicates optically thin clouds over the experimental area. Nevertheless results suggest that sensor calibration can be achieved within 5% uncertainty range if there are ground-based measurements of aerosol optical thickness, and water leaving radiances under clear-sky and optically thin atmospheric conditions.

파장별 지표 자외선 복사량을 이용한 SARS-CoV-2 바이러스 비활성화 시간 추정 연구 (Estimation of the SARS-CoV-2 Virus Inactivation Time Using Spectral Ultraviolet Radiation)

  • 박선주;이윤곤;박상서
    • 대기
    • /
    • 제32권1호
    • /
    • pp.51-60
    • /
    • 2022
  • Corona Virus Disease 19 pandemic (COVID-19) causes many deaths worldwide, and has enormous impacts on society and economy. The COVID-19 was caused by a new type of coronavirus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nonavirus 2; SARS-CoV-2), which has been found that these viruses can be effectively inactivated by ultraviolet (UV) radiation of 290~315 nm. In this study, 90% inactivation time of the SARS-CoV-2 virus was analyzed using ground observation data from Brewer spectrophotometer at Yonsei University, Seoul and simulation data from UVSPEC for the period of 2015~2017 and 2020. Based on 12:00-13:00 noon time, the shortest virus inactivation time were estimated as 13.5 minutes in June and 4.8 minutes in July/August, respectively, under all sky and clear sky conditions. In the diurnal and seasonal variations, SARS-CoV-2 could be inactivated by 90% when exposed to UV radiation within 60 minutes from 10:00 to 14:00, for the period of spring to autumn. However, in winter season, the natural prevention effect was meaningless because the intensity of UV radiation weakened, and the time required for virus inactivation increased.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such as COVID-19 is related to various and complex interactions of several variables, but the natural inactivation of viruses by UV radiation presented in this study, especially seasonal differences, need to be considered as major variables.

DEM 품질에 따른 고해상도 SAR 영상의 지형 보정 정확도 평가 (Accuracy Evaluation of Terrain Correction of High Resolution SAR Imagery with the Quality of DEM)

  • 이경엽;변영기;김윤수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0권6_1호
    • /
    • pp.519-528
    • /
    • 2012
  • SAR는 기상상태와 태양고도 제약을 받지 않고 영상을 취득할 수 있는 장점을 갖지만 측면 관측 촬영방식으로 인해 고도에 의한 왜곡이 발생하여 광학영상과의 통합적 활용을 위해서는 지형 보정 작업이 필수적이다. 일반적으로 SAR 영상의 지형보정은 대상지역의 수치표고모델(Digital Elevation Model, DEM)을 사용하여 수행되기 때문에 DEM 품질이 지형보정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1:5000 수치지도로부터 제작한 DEM, LiDAR DEM, ASTER GDEM, SRTM DEM을 비교 분석하여 고해상도 SAR 영상의 지형보정에 적합한 DEM을 탐색하였다. 실험데이터로는 KOMPSAT-5호와 동일한 고해상도 X-band SAR 시스템을 장착한 TerraSAR-X와 Cosmo-SkyMed 영상을 사용하였다. 지형보정 결과 평가를 위해 동일지역의 KOMPSAT-2 정사영상과의 정량적 비교평가를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수치지도로 제작한 DEM이 가장 정확한 지형보정 결과를 보였으며 현업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SRTM DEM의 경우 고해상도 SAR 영상의 지형보정에는 부적합 하였다.

하늘상태와 음영기복도에 근거한 복잡지형의 일조시간 분포 상세화 (Downscaling of Sunshine Duration for a Complex Terrain Based on the Shaded Relief Image and the Sky Condition)

  • 김승호;윤진일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33-241
    • /
    • 2016
  •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넓은 지역의 수평면 일조시간 정보를 복잡한 산간집수역의 지형특성을 반영한 실제 일조시간 분포도로 변환하기 위해 지형효과를 정량화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경남 하동군 악양면 단일 집수역을 대상으로 정밀 DEM을 이용하여 그림자모형화 및 공제선분석 기법을 적용하여 일중 시간대별 음영기복도 1년 자료를 제작하였다. 2015년 5월 15일부터 2016년 5월 14일까지 1년 간 지형조건이 서로 다른 3지점에서 바이메탈식 일조계로 측정한 일조시간자료에 음영기복도 상 해당 지점의 휘도값을 추출하여 회귀시킴으로써 맑은 날의 휘도-일조시간 반응곡선을 얻었다. 이 곡선식을 하늘상태(운량)에 따라 보정할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함으로써 일조시간 상세화 모형을 도출하였다. 이 모형의 신뢰도를 기존 수평면 일조시간 추정기법과 비교한 결과 추정값의 편의가 크게 개선된 것은 물론, 일적산일조시간 기준 RMSE가 1.7시간으로 지형효과를 반영하기 전보다 37% 이상 개선되었다. 어떤 지역을 대상으로 일조시간을 상세화 하기 위해서는 먼저 대상 지역의 매 시간 음영기복도의 격자점 휘도를 모형에 입력시켜 해당 시간대의 청천 일조시간을 추정한다. 다음에 같은 시간대의 기상청 동네예보(하늘상태)에 의해 구름 효과를 보정한다. 이렇게 추정된 매 시간 일조시간을 하루 단위로 적산하여 그 날의 누적 일조시간을 얻는다. 이 과정을 연구대상 집수역에 적용하여 수평 해상도 3m의 정밀한 일조시간 분포도를 얻을 수 있었다.

LEE SANG GAK TELESCOPE (LSGT): A REMOTELY OPERATED ROBOTIC TELESCOPE FOR EDUCATION AND RESEARCH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 IM, MYUNGSHIN;CHOI, CHANGSU;KIM, KIHYUN
    • 천문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207-212
    • /
    • 2015
  • We introduce the Lee Sang Gak Telescope (LSGT), a remotely operated, robotic 0.43-meter telescope. The telescope was installed at the Siding Spring Observatory, Australia, in 2014 October, to secure regular and exclusive access to the dark sky and excellent atmospheric conditions in the southern hemisphere from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SNU) campus. Here, we describe the LSGT system and its performance, present example images from early observations, and discuss a future plan to upgrade the system. The use of the telescope includes (i) long-term monitoring observations of nearby galaxies, active galactic nuclei, and supernovae; (ii) rapid follow-up observations of transients such as gamma-ray bursts and gravitational wave sources; and (iii) observations for educational activities at SNU. Based on observations performed so far, we find that the telescope is capable of providing images to a depth of R = 21:5 mag (point source detection) at 5-σ with 15 min total integration time under good observing conditions.

정지궤도 위성과 지구국간 광통신 링크의 전송속도 해석 (Analysis of Data Rate on Optical Communication Links between Geo-Satellite and Earth Station)

  • 한종석;정진호;김영권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1권1호
    • /
    • pp.120-137
    • /
    • 1997
  • 정지궤도 위성과 지구국간 광통신을 대기상태와 앙각의 함수로써 해석할 수 있는 한모델(Han's model)을 제시하였다. 한모델에서는 대기상태를 맑은날, 구름낀 날, 안개, 헤이즈, 비, 눈의 여섯가지 전형적인 상태로 구분한다. 비트오류을 $10^{-7}$을 만족하는 데이터 전송속도를 한모델을 이용하여 상향링크와 하향링크에 대해 해석하였다. 상향링크시의 포인팅손실이 하향링크시의 대기에 의한 공간 가간섭 저하보다 크기 때문에 데이터 전송속도는 하향링크 보다 오히려 상향링크시에 제한됨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