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kull tumor

검색결과 124건 처리시간 0.03초

상부미주신경마비에 의한 만성흡인의 치료 (Management of Chronic Aspiration Caused by High Vagal Palsy)

  • 성명훈;김광현;김동영;박민현;고태용;김춘동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52-58
    • /
    • 1998
  • BACKGROUND: Aspiration is defined as the laryngeal penetration of secretions below the level of the true vocal cords. Aspiration can result in life-threatening complications, such as bronchospasm, airway obstruction, pneumonia, pulmonary abscess, sepsis, and death. The patient with high vagal palsy had significant aspiration and dysphagia OBJECTIVE: To formulate a step-by-step management paradign for the patients with high vagal palsy MATERIALS AND METHODS : The medical records of 23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high vagal palsy from September, 1995 to April, 1998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Eleven patients were managed conservatively and 12 patients were operated to treat chronic aspiration. RESULTS : The main etiologies of high vagal palsy were mass lesions of the skull base such as neurogenic tumor, pseudotumor, meningioma or nasopharyngeal carcinoma. Aspiration and dysphagia improved in 7 out of 11 patients who were managed conservatively after 2.2 months on the average. The patients who were refractory to the conservative management underwent surgery and showed improvement in 10 out of 12 patients. The employed surgical modalities were vocal cord medialization combined with cricopharyngeal myotomy in 7 patients, laryngotracheal separation in 3 patients and arytenoid adduction only in 2 patients. Two patients still had gastrostomy tube due to the persistent symptoms. Two patients had improved after surgery, but died of underlying disease. CONCLUSION : The patients with high vagal palsy are recommended to be managed conservatively for the first 2 months. If aspiration and dysphagia are persisting after conservative management, vocal cord medialization combined with or without cricopharyngeal myotomy should be considered. If failed, laryngotracheal separation or gastrostomy will be the next option based on the control of the oropharyngeal secretion.

  • PDF

조기 암 진단을 위한 $^{18}F$-FDG Fusion PET의 유용성 (Usefulness of $^{18}F$-FDG Fusion PET for Diagnosing an Early Stage Cancer)

  • 전재환;김병진;이홍재;김진의;김현주
    • 핵의학기술
    • /
    • 제14권2호
    • /
    • pp.145-149
    • /
    • 2010
  • 최근 수 년 동안 암 진단의 예민도가 우수한 $^{18}F$-FDG Fusion PET이 건강검진 목적으로 적용되어 왔다. 건강검진에서 $^{18}F$-FDG Fusion PET의 시행 유 무가 조기 암 발견에 유용한지를 규명하기 위하여 건강검진센터에서의 18F-FDG Fusion PET 검사 유 무에 따른 진단율을 비교하였다. 2004년 2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건강검진을 목적으로 서울대학교병원 강남센터를 내원하여 $^{18}F$-FDG Fusion PET을 시행한 279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피검자에게 $^{18}F$-FDG 5.18 MBq/kg (0.14 mCi/kg)을 투여한 후 1시간이 경과되면 두개골 기저부터 대퇴부까지 영상을 획득하였다. PET scanner는 PHILIPS사의 GEMINI GS를 사용하였다. 서울대학교병원 강남검진센터에서 PET 시행 유 무가 조기 암 진단율에 영향을 주는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상기 기간 동안 서울대학교병원 강남센터에서 건강검진을 진행한 피검자 중 $^{18}F$-FDG Fusion PET 검사를 시행하지 않은 집단과 시행한 집단은 각각 99,009명과 2,790명이었다. 건강검진에서 PET 검사가 제외된 집단과 시행된 집단의 악성종양 진단율은 각각 0.95%, 1.94%로 나타났다. PET 검사에서 비정상 소견을 보인 사람은 542명이었으며, 이 중 악성 및 양성종양은 각각 10%, 90%로 판명되었다. 악성종양의 종류 및 비율은 갑상선암 31.5%, 폐암 14.8%, 위암 9.3%, 직장암 3.7%, 유방암 3.7%, 전이암 16.7% 등으로 나타났다. 또한 양성 소견으로는 종격동 림프절의 비 특이적인 섭취, 대장의 생리적인 섭취, 갑상선의 미만성 섭취 증가 등이 있었다. 검진 목적으로 시행한 $^{18}F$-FDG Fusion PET의 악성종양 진단율은 일반적인 검진보다 상대적으로 높았다. 결론적으로 건강검진에서 $^{18}F$-FDG Fusion PET을 시행하는 것은 조기 암 진단에 우수하며 유용하다고 사료된다.

  • PDF

상완골 간부에 발생한 기괴 방골성 골연골성 증식증 - 1례 보고- (Bizzare Parosteal Osteochondromatous Proliferation (Nora's lesion) which affects Humeral Shaft -A Case Report-)

  • 김경태;이송;김진학;지미경;박준성;박관영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42-146
    • /
    • 2004
  • 기괴 방골성 골연골성 증식증은 발생 빈도가 드물고 재발 빈도가 높은 양성 골 병변으로 1983년 Nora등에 의해 처음으로 기술되었다. 처음에는 수족지골에만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 되었으나 이후 장골과 두개골 및 상악골 등에서 발생한 예가 보고 되었으며 특히 장골에 발생한 경우 악성 종양과의 감별이 중요하다. 본 증례는 14세 남자환자의 상완골 간부에 발생한 기괴 방골성 골연골성 증식증의 예로 단순 방사선 사진 상 상완골 간부에 비교적 광범위한 기저부를 가지면서 피질골에 붙어있는 약 $4{\times}3$ cm 크기의 원형의 석회화된 종물 소견을 보였으며, 조직학적으로 고밀도의 연골성 증식과 함께 거기서 성숙해나가는 망상골, 그리고 골소주 주변에서는 섬유성 기질이 관찰되었다. 기괴 방골성 골연골성 증식증은 비교적 드문 질환이나 재발이 흔하고 악성 병변과 혼동 될 수 있는 조직학적 특징을 나타내며 단순 절제술로 치료한다. 저자들은 장골에서는 매우 드물게 발생하는 비교적 빠른 성장 속도를 가진 상완골 간부의 기괴 방골성 골연골성 증식증을 경험하였기에 이를 문헌적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Effect of Intraoperative Glucose Fluctuation and Postoperative IL-6, TNF-α, CRP Levels on the Short-term Prognosis of Patients with Intracranial Supratentorial Neoplasms

  • Liu, Tie-Cheng;Liu, Qi-Ran;Huang, Yi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24호
    • /
    • pp.10879-10882
    • /
    • 2015
  •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traoperative glucose fluctuation and postoperative interlukin-6 (IL-6),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C-reactive protein (CRP) levels on the short-term prognosis of patients with intracranial supratentorial neoplasms. Materials and Methods: Eighty-six patients undergoing intracranial excision were selected in The Second Hospital of Jilin University.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glucose fluctuation,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group A (glucose fluctuation <2.2 mmol/L, n=57) and group B (glucose fluctuation ${\geq}2.2mmol/L$, n=29). Glucose was assessed by drawing 2 mL blood from internal jugular vein in two groups in the following time points, namely fasting blood glucose 1 d before operation ($T_0$), 5 min after anesthesia induction ($T_1$), intraoperative peak glucose ($T_2$), intraoperative lowest glucose ($T_3$), 5 min after closing the skull ($T_4$), immediately after returning to intensive care unit (ICU) ($T_5$) and 2 h after returning to ICU ($T_6$). 1 d before operation and 1, 3 and 6 d after operation, serum IL-6 and TNF-${\alpha}$ levels were detected with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and CRP level with immunoturbidimetry. Additionally, postoperative adverse reactions were monitored. Results: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wo groups regarding the operation time, anesthesia time, amount of intraoperative bleeding and blood transfusion (P>0.05). The glucose levels in both groups at $T_1{\sim}T_6$ went up conspicuously compared with that at $T_0$ (P<0.01), and those in group B at $T_2$, $T_4$, $T_5$ and $T_6$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group A (P<0.01). Serum IL-6, TNF-${\alpha}$ and CRP levels in both groups 1, 3 and 6 d after operation increased markedly compared with 1 d before operation (P<0.01), but the increased range in group A was notably lower than in group B (P<0.05 or P<0.01). Postoperative incidences of hypoglycemia, hyperglycemia and myocardial ischemia in group A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in group B (P<0.05), and respiratory support time obviously shorter than in group B (P<0.01). Conclusions: The glucose fluctuation of patients undergoing intracranial excision is related to postoperative IL-6, TNF-${\alpha}$ and CRP levels and those with small range of glucose fluctuation have better prognosis.

Neoadjuvant intra-arterial chemotherapy combined with radiotherapy and surgery in patients with advanced maxillary sinus cancer

  • Kim, Won Taek;Nam, Jiho;Ki, Yong Kan;Lee, Ju Hye;Kim, Dong Hyun;Park, Dahl;Cho, Kyu Sup;Roh, Hwan Jung;Kim, Dong Won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31권3호
    • /
    • pp.118-124
    • /
    • 2013
  • Purpose: The optimal treatment of advanced maxillary sinus cancer has been challenging for several decades. Intra-arterial chemotherapy (IAC) for head and neck cancer has been controversial. We have analyzed the long-term outcome of neoadjuvant IAC followed by radiation therapy (RT) and surgery. Materials and Methods: Twenty-seven patients with advanced maxillary sinus cancer were treated between 1989 and 2002. Five-fluorouracil (5-FU, $500mg/m^2$) was infused intra-arterially, and followed by RT (total 50.4 Gy/28 fractions). A planned surgery was performed 3 to 4 weeks after completion of IAC and RT. Results: At a median follow-up of 77 months (range, 12 to 169 months), the 5-year rates of overall survival in all patients were 63%. The 5-year rates of overall survival of stage T3/T4 patients were 70.0% and 58.8%, respectively. Seven of fourteen patients with disease recurrence had a local recurrence alone. The 5-year actuarial local control rates in patients with stage T3/T4, and in all patients were 20.0%, 32.3%, and 27.4%, respectively. Overall response rate after the completion of IAC and RT was 70.3%. During the follow-up, seven patients (25.9%) showed mild to moderate late complications. The tumor extent (i.e., the involvement of either orbit and/or base of skull) appeared to be related with local recurrence. Conclusion: Neoadjuvant IAC with 5-FU followed by RT and surgery may be effective to improve local tumor control in the patients with advanced maxillary sinus cancer. However, local failure was still the major cause of death. Further investigations are required to determine the optimal treatment schedule, radiotherapy techniques and chemotherapy regimens.

낭종성 병변을 동반한 상완골의 섬유성 골이형성증에서 steroid의 효과 - 증례 보고 - (The effect of steroid for fibrous dysplasia of the humerus combined with multiple cystic lesion)

  • 한수봉;신규호;김보현;원정훈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20-26
    • /
    • 2002
  • 섬유성 골이형성증은 골의 발육 이상으로 해면골이 섬유성 조직으로 대치되어 나타나는 양성 병변으로 대퇴골, 경골, 두개골, 늑골, 상완골 등에 호발하며 동통, 진행하는 병변, 병적 골절 등을 일으키기 쉬워 여러 가지 치료법이 시도되어 왔으나 그 중 골 소파 및 골 이식술이 현재까지 널리 시행되고 있다. 본 교실에서는 17세 여자 환자로 우측 상완골 전장에 걸친 다발성 골 낭종을 동반한 섬유성 골이형성증 환자에 steroid 주입법을 약 3개월 간격으로 총 2차례 시행하였고 처음 주입 후 약 11개월 후에 시행한 추시 단순 방사선 촬영상 병변의 크기가 감소하였고, 골음영 및 피질골의 두께가 증가하였으며, 자기공명영상촬영 검사상 병변의 크기가 상당히 감소하였고, T2 강조 영상에서 정상 골수의 신호강도와 비슷하게 변화 하였으며, 처음 주입 후 약 2년 8개월 후의 외래 추시상 통증 호소하지 않고 무리하지 않는 한도내에서 큰 불편 없이 지내고 있어 섬유성 골이형성증의 호전 소견을 보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후두부에 발생한 유피낭종의 특징 (Characteristics of Dermoid Cyst of the Occipital Area)

  • 최환준;탁민성;최창용;강상규;이영만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7권4호
    • /
    • pp.481-484
    • /
    • 2010
  • Purpose: Congenital dermoid cysts develop during the fusion of the embryo when the ectodermal tissue gets trapped in the line of fusion. Dermoid cysts of the head are rare lesions comprised of epidermal and mesodermal elements. Furthermore, dermoid cysts in the occipital area are extremely rare. Only a few cases of dermoid cysts in the posterior scalp have been reported. Especially, A bilateral, synchronous presentation in this location has not been reported previously in the literature. Methods: All 5 cases had a gradually enlarging mass of the posterior aspect of the scalp. The cysts were mobile, noncompressible, and non-tender, without evidence of an associated sinus tract, skin dimpling, discoloration, or communication with adjacent structures. The CT scan displayed a hypodense cystic lesions about -87 to +24 HU (Housefield units, average +3.2 HU) with hypodense capsule and no postcontrast enhancement. All tumors were found just under the skin, and were well encapsulated, so they were completely removed the mass with adjacent periosteum. Results: On gross findings, all tumors were oval-or round-shaped, and when the cystic tumor was cut open it presented a greasy and caseous substance. Histologically, all specimens contain desquamated squamous epithelium and keratin in the lumen and are encapsulated and lined by keratinized stratified squamous epithelium. And, all cases of posterior mass are the presence of adnexal structures. Conclusion: Appropriate diagnosis requires not only an index of suspicion for this rare tumor a very careful history and search for skin changes. Especially, CT can reveal the exact location of the cyst, its relationship with the adjacent structures. We think that occipital dermoids divide into superficial and deep type. In our cases, because they did not have intra-cranial involvement or fistula formation, they are superficial type. This report describes the clinical and operative aspects of the superficial dermoid cysts and provides a review of the literatures.

뇌종양과 연관된 수두증(hydrocephalus) 환자의 전신마취 하 치과치료 (DENTAL TREATMENT IN A PATIENT WITH HYDROCEPHALUS ASSOCIATED BRAIN TUMOR UNDER GENERAL ANESTHESIA)

  • 한정화;송지수;신터전;현홍근;김영재;김정욱;장기택;이상훈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86-90
    • /
    • 2017
  • 수두증은 뇌척수액이 비정상적으로 축적되는 질환으로, 뇌발달의 장애를 일으켜, 정신지체를 나타낼 수 있다. 정신 지체에 의하여 치과치료시 양호한 협조도를 얻을 수 없고, 적절한 구강위생관리가 어려워 본 증례에서와 같이 다발성 우식증이 있는 경우, 전신마취가 효율적이고 안전한 행동조절 방법으로 선택될 수 있다. 본 증례는 뇌종양에 의한 수두증인 4세 0개월 남아로, 전신마취 하에 과잉치를 발견하고 정확한 치아우식증에 대한 진단을 할 수 있었으며,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과잉치 발거와 다발성 치아우식증 치료를 한번에 치료하였다. 수두증 환자의 전신상태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고, 적절한 술전 평가가 진행된다면, 협조도가 부족한 수두증 환자에서 전신마취가 효율적인 행동조절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조영법을 이용한 뇌수막종에서 3차원 CT영상의 유용성 (Usefulness of Three-Dimensional CT Image in Meningioma Using Contrast Method)

  • 이준행;백성은;이상복;김용완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2권1호
    • /
    • pp.17-21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뇌수막종이 늦게 조영증강 된다는 점을 착안하여 뇌수막종을 최대 조영 증강시킨 검사를 시작하였다, 검사 후에 두개내의 수막종과 혈관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전산화 단층 촬영 조영술의 3차원 CT 영상 기법(이하, 3차원 CT 영상 기법)과 고식적 혈관 촬영 조영술의 영상을 비교하였다. 연구대상은 3차원 CT 영상 기법과 고식적 혈관 촬영 조영술을 병행 시행하였던 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그 중 추체접형골동사대부 5예, 방시상동에 생긴 1예였다. 검사방법으로는 조영제를 초당 3/120 ml를 주입하여, GE Medical System Program(smart prep)을 이용하여 CT Number 값이 100에 도달한 후, 검사를 시작하였다. 스캔파라미터는 조영제가 모두 주입된 직후에 1.25 mm / 3.75 mm, HQ-Mode로 scan한 후 1 mm interval로 재구성하였다. 검사한 영상을 3D-Med Software Program(Rapidia)을 이용하여 3차원 CT 영상 기법으로 영상을 재구성한 다음 고식적 혈관 촬영 조영술과 비교하였다. 결과를 살펴보면 뇌수막종의 최대조영 시간은 조영제을 주입한 후 약120-180초에 혈관과 종양과의 관계를 가장 잘 구별할 수 있었다. 3차원 CT 영상 기법으로 재구성한 6예는 모두 종양과 혈관과의 관계를 잘 구별할 수 있었다. 또한 종양과 동반된 동맥류도 1예에서 잘 보여주었다. 이를 종합하여 보면 두 개 내 뇌수막종의 환자에서 조영제를 주입하여 3차원 CT 영상을 시행하였던 영상은 종양과 혈관과의 관계를 입체적으로 구분할 수 있어 수술에 많은 도움이 되었다.

  • PDF

늑골에 생긴 랑거한스세포 조직구증식증의 외과적 치료-치험 2예- (Surgical Treatment of Langerhans Cell Histiocytosis in the Rib - Two cases report -)

  • 강도균;박재민;한일용;전희재;윤영철;황윤호;조광현;이양행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11호
    • /
    • pp.799-802
    • /
    • 2005
  • 랑거한스세포 조직구증식증은 호산구성 육아종, Letterer-Siwe병, Hand-Schuller 증후군을 포함하는 질환으로 이전에는 조직구증식증 X로 명명되어 왔다. 이 질환의 임상적 양상은 다양하며, 기본적인 종양의 성질은 양성이나 파종되는 성질이 아주 강하다. 질환의 자연 경과는 예측할 수 없다. 하지만, 뼈에 생긴 단일 병변일 경우 광범위 절제를 통해서 완치율을 높일 수가 있다. 대부분의 랑거한스세포 조직구증식증 환자에서는 주로 두개골 천정에 골용해 병변이 나타나며, 드물게 두개골 기저부와 대퇴골을 침범하기도 한다. 늑골에 생기는 단일 병소의 랑거한스세포 조직구증식증은 비교적 드물다. 본 저자들은 늑골에 생기는 단일 병소의 랑거한스세포 조직구증식증 2예를 외과적 절제술로 치료하였기에 보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