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kin wrinkle

검색결과 425건 처리시간 0.026초

호염 미생물(Haloarcula vallismortis) 용해물의 자외선유발 피부변화에 대한 효과 (Effect of Halophilic Bacterium, Haloarcula vallismortis, Extract on UV-induced Skin Change)

  • 김지형;신재영;황승진;김윤선;김유미;길소연;진무현;이상화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341-350
    • /
    • 2015
  • 피부는 외부 유해물질로부터 내부기관을 보호하는 장벽기능을 하는 대표적인 기관으로 자외선(ultraviolet radiation, UV), 중금속, 각종 산화 물질들과 같은 외부의 위협에 항상 노출되어 있어 손상을 받기 쉽다. 특히 자외선 B (UVB)는 진피의 상부까지 도달하여 화상이나 홍반과 같은 염증반응을 일으키며 멜라닌 생성을 촉진시켜 색소 침착을 유발한다. 지나친 자외선 B의 피부세포로의 유입은 각질세포 및 진피 섬유아세포의 DNA손상을 야기하고, 세포외기질의 합성을 방해하여 피부탄력감소, 주름생성, 진피 결합조직의 손상과 함께 피부장벽을 붕괴시켜 노화를 일으키며, 장기간 노출 시 심각한 피부 병변으로 이어져 피부세포 사멸 및 종양의 발생으로까지 이어진다. Haloarcula vallismortis는 사해로부터 분리 동정한 미생물로 호염성 고생물의 생장적 특징은 아직 자세히 연구된 바는 없다. 대게 10% 이상의 염도에서 자라는데 실제 생장염도는 평균 20 ~ 25% 염도에서 자란다. 염도가 높은 호수나 염전에서 주로 발견되기 때문에 강한 햇빛에 대한 방어기작이 존재한다. 그중 하나로 다른 ATP를 생성하기 위한 bacteriorhodopsin외에 halorhodopsin이라는 색소를 이용, 광자(photon)를 흡수하고 염화이온 채널을 개방시켜 생기는 전위차를 이용해 추가로 에너지를 생산한다. 또 carotenoid 색소로 인해 농도가 높을시 분홍색 또는 빨간색을 띄는 특징이 있는데 이것이 강한 자외선에 대한 방어기작을 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본 연구는 호염성 고세균이 자외선을 에너지 소스로 이용하는 특성을 이용하여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방어하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이들의 피부각질세포에서 자외선에 의한 항염 효과 및 DNA 손상 방어 효과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들을 천연 자외선 차단제의 소재로서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노간주나무(Juniperus rigida Sieb.)의 주름개선 효과 (Anti-wrinkling Effects of Juniperus rigida Sied)

  • 전혜지;이수연;김정환;안봉전;이진영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449-455
    • /
    • 2013
  • 사람의 피부는 자외선, 오염된 공기, 화학제품 등 환경에 끊임없이 노출된다. 특히 자외선은 피부에 다양한 형태로 영향을 주어 주름, 잔주름, 피부거침, 피부건조와 같은 현상을 발생시켜 피부노화를 유발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전 세계적으로 향나무과의 일종인 다년생 수목인 노간주나무(Juniperus rigida Sieb.) 추출물의 주름개선 효과에 대하여 검증하였다. 주름개선 효과 측정으로 elast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노간주나무 열수 추출물 $1,000{\mu}g/ml$에서 10% 이하의 낮은 저해활성을 나타낸 반면에 노간주나무 에탄올 추출물의 $1,000{\mu}g/ml$에서 68.5%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collagen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1,000{\mu}g/ml$에서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은 44.9%, 97.2%로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ascorbic acid (99.6%)와 유사한 효과로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섬유아 세포를 이용한 collagen 생합성량을 측정한 결과 노간주나무 에탄올 추출물 $50{\mu}g/ml$에서 151.52%의 생합성 촉진 효과를 나타내어 노간주나무 에탄올 추출물의 주름개선 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UVA에 의해 발현이 증가되는 MMP-1에 노간주나무 에탄올 추출물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노간주나무 에탄올 추출물은 $1,00{\mu}g/ml$에서 67.1%의 MMP-1 발현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노간주나무 에탄올 추출물의 MMP-1의 단백질 및 mRNA의 발현은 $50{\mu}g/ml$의 농도에서 각각 35%, 39%의 저해율을 나타냄에 따라 노간주나무 에탄올 추출물은 collagen을 분해하는 효소인 MMP-1의 발현을 억제하고 광노화에 의한 주름생성억제 활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두릅순 에탄올 추출물의 인간유래 피부각질형성세포와 피부섬유아세포에서의 자외선에 의한 광노화 억제효과 (Inhibitory effect of Aralia elata ethanol extract against skin damage in UVB-exposed human keratinocytes and human dermal fibroblasts)

  • 양지원;곽충실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9권6호
    • /
    • pp.429-436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피부의 표피와 진피에 분포하는 HaCaT 세포와 HDF 세포를 이용하여 항산화효과가 우수한 두릅순 추출물의 처리가 UVB에 의한 피부광노화를 억제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피부 염증반응과 관련한 사이토카인과 피부의 주요 구성 단백질인 collagen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MMP-1, type-I procollagen, TRPV-1 등의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HaCaT에 두릅순 추출물을 24시간 전처리한 경우 UVB ($55 mJ/cm^2$) 노출로 인해 증가한 염증매개인자인 IL-6, IL-8, $PGE_2$를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또한, 피부 collagen의 정상적인 구조 및 양에 영향을 미치는 단백질들의 발현을 측정한 결과 HaCaT에서는 UVB 조사로 인해 증가한 TRPV-1과 MMP-1 단백질의 발현이 두릅순 에탄올 추출물의 전처리로 모두 감소하였고, HDF에서는 UVB를 조사한 대조군에 비하여 두릅순 추출물 처리가 MMP-1 단백질 발현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collagen의 전구체인 type-I procollagen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보였다. 이들 결과들로부터 항산화효과가 우수한 두릅순 70% 에탄올 추출물은 피부세포에서 UVB에 의한 염증반응을 억제시키는 동시에 피부 collagen의 감소를 억제시킴으로써 피부 광노화를 예방할 수 있는 천연 소재로 이용될 수 있다고 본다.

Anti-skin Aging Potential of Alcoholic Extract of Phragmites communis Rhizome

  • Ha, Chang Woo;Kim, Sung Hyeok;Lee, Sung Ryul;Jang, Sohee;Namkoong, Seung;Hong, Sungsil;Lim, Hyosun;Kim, Youn Kyu;Sohn, Eun-Hwa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604-614
    • /
    • 2020
  • Chronological aging and photoaging affect appearance, causing wrinkles, pigmentation, texture changes, and loss of elasticity in the skin. Phragmites communis is a tall perennial herb used for its high nutritional value and for medicinal purposes, such as relief from fever and vomiting and facilitation of diuresi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ethanol extract of P. communis rhizome (PCE) on skin aging. The total flavonoid and total phenolic content in PCE were 2.92 ± 0.007 ㎍ of quercetin equivalents (QE) and 231.8 ± 0.001 ㎍ of gallic acid equivalents (GAE) per 100 mg of dried extract (n = 3). The half-max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IC50) values of PCE for 2,2-diphenyl-1-picrylhydrazyl radical (DPPH) and hydrogen peroxide scavenging activities were 0.96 and 0.97 mg/mL, respectively. PCE showed inhibitory effects on tyrosinase when L-tyrosine (IC50 = 1.25 mg/mL) and L-3,4-dihydroxyphenylalanine (IC50 = 0.92 mg/mL) were used as substrates. PCE treatment up to 200 ㎍/mL for 24 h did not cause any significant cytotoxicity in B16F10 melanocytes, human dermal fibroblasts (HDFs), and HaCaT keratinocytes. In B16F10 melanocytes, PCE (25 and 50 ㎍ /mL) inhibited melanin production and cellular tyrosinase activity after challenge with α-melanocyte-stimulating hormone (α-MSH; p < 0.05). In HDFs, PCE suppressed the mRNA express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1 (MMP-1) and reduced the activity of elastase (p < 0.05). In addition, ultraviolet B (UVB)-mediated downregulation of hyaluronic acid synthase-2 gene expression in HaCaT keratinocytes was also effectively suppressed by PCE treatment. Overall, our results showed that PCE has potential anti-skin aging activity associated with the suppression of hyperpigmentation, wrinkle formation, and reduction in dryness. PCE is a promising candidate for the development of an anti-skin aging cosmetic ingredient.

입술의 주름, 탄력, 보습 개선을 위한 각질 박리 복합물이 함유된 립밤의 임상 효능 평가 (Clinical Assessment of Lip Balm Containing Exfoliation Complex to Improve Wrinkles, Elasticity, and Hydration of Lips)

  • 박지예;신재영;이진용;안명진;강내규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55-364
    • /
    • 2023
  • 입술은 구조적으로 일반 피부와 다른 특유의 각질, 보습 특성을 갖는다. 특히, 각질의 턴오버 주기가 빠르고 최외곽 각질층이 얇아 비교적 각질의 발생량이 많고, 부속기관이 존재하지 않아 수분 유지에 매우 취약한 환경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새롭게 개발될 립케어 제품의 타겟을 각질-보습-장벽 세 가지로 설정하고 각 맞춤 소재의 개선 가능성을 확인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각질 박리 효능이 있는 소재 3 종에 대해, 각질, 보습, 장벽 개선 효능을 검증하였다. 구체적으로 Bacillus clausii extract에 의한 각질 개선, 글루코노락톤에 의한 피부 수분 보유량 개선, 세린에 의한 장벽 기능 강화 효능을 확인하였다. 립케어의 인체 효능 검증을 위해 각 효능 성분의 자극이 없는 범위의 농도를 설정하여 립밤 제조 및 인체 효능 평가를 진행하였고, 입술 각질·보습·탄력·주름 개선의 효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입술의 각질-보습-장벽 케어를 통해 입술의 미용, 건강 지표가 개선될 수 있음을 확인하고 해당 소재들을 립세린 제품에 적용하였다.

BIOLOGICAL ACTIVITES OF PLANT LEAF EXTRACTS; AVAILABILITY OF STAR FRUIT LEAF EXTRACT AGAINST SKIN AGING

  • Yoshihito Kawashima;Zhou, Yan-Yang;Naoko Kishida;Nobuaki Ohto;Daisuke Araho;Yoko Ito;Toshimitsu Kambara;Zhou, Wan-Hua
    • 대한화장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화장품학회 2003년도 IFSCC Conference Proceeding Book I
    • /
    • pp.645-658
    • /
    • 2003
  • We evaluated activities of various plant leaf extracts and found the availability against skin aging in the leaf extract of star fruit (Averrhoa carambola L), and developed Star Fruit Leaf Extract BG30 as an ingredient of cosmetics. Star Fruit Leaf Extract BG30 was found to show scavenging activities of reactive oxygen species and an inhibitory effect on the activity of matrix metalloproteinase-1. It showed increasing activity of type I collagen and recovery effect from damage of UV-B irradiation in human fibroblast. We performed the separation of the active principal from Star Fruit Leaf Extract BG30 to give isofurcatin 2"-Ο-$\alpha$-L-rhamnopyranoside, which showed increasing activity of type I collagen. To examine the anti-wrinkle effect of Star Fruit Leaf Extract BG30, seven volunteers applied a Star Fruit Leaf Extract BG30 1 % cream in double blind manner to one-side of the corner of their eye and the placebo cream to the opposite side. Clinical evaluation of wrinkling was performed every week for 5 weeks using a silicone rubber replica.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of Star Fruit Leaf Extract BG30-treated site was seen in decreased wrinkles. Star Fruit Leaf Extract BG30 results in clinically visible improvement in wrinkling when used topically for 5 weeks.

  • PDF

영지버섯에서 추출한 포자오일의 항노화 및 보습 효능 (Anti-aging & Skin Hydration Effects of Spore oil Extracted from Ganoderma lucidum)

  • 송환;김면수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232-238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영지버섯 포자오일(GLS)의 항노화, 항산화, 항염 그리고 보습에 대한 활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항산화 활성 실험에서 GLS은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항염 평가는 LPS를 자극시킨 RAW264.7 세포에서 GLS에 대한 NO, TNF-α 그리고 IL-6 생성물의 억제 효능을 측정한 결과, GLS는 NO 그리고 전염증 사이토카인인 TNF-α, IL-6 생성물을 억제하였다. 또한, procollagen 생성물과 COL1A1 mRNA 발현 분석을 위해 인간 섬유아세포를, 그리고 AQP-3 mRMA 발현 분석을 위하여 인간 각질형성세포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GLS는 procollagen 생성물과 COL1A1, AQP-3 mRNA 발현을 증가시켰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GLS가 항염, 주름 그리고 보습에 대한 잠재적인 효능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소목(蘇木)과 그 지표물질인 brazilin이 인간 유래 각질 형성 세포의 tight junction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Investigation of the Effect of Sappan Lignum and Brazilin on Expression of Tight Junction Related-genes in Human Keratinocyte)

  • 천성혜;최선경;조남준;김기광;이웅희;황형서;김균언;한효상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06-112
    • /
    • 2018
  •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to determine the diverse effects of Sappan Lignum extract and brazilin on human keratinocyte HaCaT cells. We confirmed the antioxidant effect of Sappan Lignum extract and brazilin was analyzed by using an ABTS assay, confirming the efficacy of water extraction method. Also, we examined effect of Sappan Lignum extract and brazilin on the cell viability, using the MTS assay in HaCaT cells. mRNA expression levels of tight junction-related genes associated with skin barrier in HaCaT cells were analyzed using quantitative real-time PCR analysis. Sappan Lignum extract increased the cellular activity of HaCaT cells and the expression of the tight junction-related genes claudin 3, claudin 6, and ZO-2. Brazilin displayed the same effects as that of the extract on HaCaT cells activity and tight junction-related genes expression. Furthermore, dispase assay demonstrated altered cell-cell adhesion strength of Sappan Lignum extract or brazilin treated HaCaT cells. Sappan Lignum extract or brazilin might be an useful ingredient in skin-mosturizinng and anti-wrinkle cosmetics, given its effects of altering mRNA expression of tight junction-related genes and enhancing cell-cell adhesion strength of HaCaT cells.

RETINOL STABILIZATION BY PSEUDO-LIPOSOME AND LAMELLAR LIQUID CRYSTAL

  • Lee, Seung-Ji;Jo, Byoung-Kee;Lee, Young-Jin;Ryu, Chang-Suk;Kim, Beom-Jun;Suk, Chang-Hyun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16-122
    • /
    • 1998
  • It is well known that all-trans-retinol is not only very unstable in heat, light, air, and water, but also skin-irritant despite a good anti-wrinkle effect. Therefore, it is very difficult to stabilize retinol and make the safe retinol containing cosmetics by using a certain concentration of retinol with real effect. In order to dissolve these problems and apply retinol for skin care cream, firstly retinol is to be encapsulated in the vesicle called Liposphere (pseudo-liposome) which is made by homogenizing under high pressure the mixtures of lecithin, retinol, caprylic/capric triglyceride, and hydroalcoholic solution ; and then this retinol containing Liposphere is to be intercalated in lamellar liquid crystal layer which is prepared by emulsifying in an optimal ratio the mixtures composed of non-ionic emulsifier (cetearyl glucoside, sorbitan stearate & sucrose cocoate etc), cetearyl alcohol, stearic acid, cholesterol, and ceramide. In addition, the stability of the retinol containing oil in water cream by adding the polymeric emulsifier such as acrylate /C10-30 alkyl alkylate crosspolymer is to be ensured even at 55 C. Retinol containing oil in water cream prepared through above procedure could be very stable at 45 C for at least 50 days. The structure identification of lamellar liquid crystal was determined using polarized light microscope and electron microscope Conclusively, we could make the very stable retinol containing oil in water cream by triple procedure, that is, encapsulation of retinol in Liposphere, intercalation of retinol in lamellar liquid crystal layer, and assurance of the high temperature stability of cream even at 55 C.

  • PDF

맥문동탕 용매 분획물의 UV에 의한 피부손상 개선 효능평가 (UV-induced skin damage improvement effects of solvent fraction from Maekmoondong-tang)

  • 유재묘;강윤환;김보미;김동희;박태순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1권3호
    • /
    • pp.283-290
    • /
    • 2018
  • 맥문동탕 열수추출물의 용매분획물을 이용하여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e,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 scavenge, elastase, tyrosinase 억제 효과를 검증하였고 그 결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MW-EA)에서 가장 우수한 저해활성을 보여주었다. 세포를 이용한 활성 검증에서는 MW-EA를 처리하였을 때 ROS 저해활성에서 34% ($100{\mu}g/mL$), MMPs 저해 50% ($100{\mu}g/mL$) 이상, 미백 활성에서는 tyrosinase를 25% ($50{\mu}g/mL$) 억제하는 것을 확인 하였다. 따라서 맥문동탕은 피부개선 소재로서 개발 가능성이 높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