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kin Test

검색결과 1,905건 처리시간 0.026초

Comparison of air pollution and the prevalence of allergy-related diseases in Incheon and Jeju City

  • Jeong, Su-Ho;Kim, Jeong-Hee;Son, Byong-Kwan;Hong, Seong-Chul;Kim, Su-Young;Lee, Geun-Hwa;Lim, Dae-Hyun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4권12호
    • /
    • pp.501-506
    • /
    • 2011
  • Purpose: A high level of air pollutants can increase the number of patients with allergy-related diseases such as asthma and allergic rhinitis (AR). To analyze the association between air pollution and allergic disease, we investigated 2 areas in Korea: Incheon, an industrial area, and Jeju, a non-industrialized area. Methods: Second grade students at elementary schools (11 schools in Incheon and 45 schools in Jeju) were examined in a cross-sectional study. A questionnaire was used and a skin prick test was performed. The levels of $NO_2$, $CO_2$, $O_3$, particulate matter (PM) $PM_{10/2.5}$, formaldehyde, tVOCs, and dust mites in the classrooms and grounds were determined. Results: The levels of outdoor CO, $PM_{10}$, and $PM_{2.5}$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Incheon (P<0.01). The levels of indoor CO, $CO_2$, $PM_{10}$, $PM_{2.5}$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Incheon (P<0.01). The prevalence rates of AR symptoms at any time, AR symptoms during the last 12 months, diagnosis of rhinitis at any time, and AR treatment during the last 12 month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Incheon (P<0.01). The prevalence rate of wheezing or whistling at any time, and wheezing during the last 12 month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Incheon (P<0.01). Conclusion: We found that the children living in Incheon, which was more polluted than Jeju, had a higher rate of AR and asthma symptoms compared to children in Jeju. To determine the effect of air pollution on the development of the AR and asthma, further studies are needed.

Association Analysis of Monocyte Chemotactic Protein-3 (MCP3) Polymorphisms with Asthmatic Phenotypes

  • Park, Byung-Lae;Kim, Lyoung-Hyo;Choi, Yoo-Hyun;Cheong, Hyun-Sub;Park, Hae-Sim;Hong, Soo-Jong;Choi, Byoung-Whui;Lee, June-Hyuk;Uh, Soo-Taek;Park, Choon-Sik;Shin, Hyoung-Doo
    • BMB Reports
    • /
    • 제38권1호
    • /
    • pp.77-81
    • /
    • 2005
  • The monocyte chemotactic protein-3 (MCP3), on chromosome 17q11.2-q12, is a secreted chemokine, which attracts macrophages during inflammation and metastasis. In an effort to discover additional polymorphism(s) in genes whose variant(s) have been implicated in asthma, we scrutinized the genetic polymorphisms in MCP3 to evaluate it as a potential candidate gene for asthma host genetic study. By direct DNA sequencing in twenty-four individuals, we identified four sequence variants within the 3 kb full genome including 1,000bp promoter region of MCP3; one in promoter region (-420T>C), three in intron (+136C>G, +563C>T, +984G>A) respectively. The frequencies of those four SNPs were 0.020 (-420T>C), 0.038 (+136C>G), 0.080 (+563C>T), 0.035 (+984G>A), respectively, in Korean population (n = 598). Haplotypes, their frequencies and linkage disequilibrium coefficients (|D'|) between SNP pairs were estimated. The associations with the risk of asthma, skin-test reactivity and total serum IgE levels were analyzed. Using statistical analyses for association of MCP3 polymorphisms with asthma development and asthma-related phenotypes, no significant signals were detected. In conclusion, we identified four genetic polymorphisms in the important MCP3 gene, but no significant associations of MCP3 variants with asthma phenotypes were detected. MCP3 variation/haplotype information identified in this study will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for future association studies of other allergic diseases.

형산강 유역 포항공업지역 근로자에 있어서 간흡충 감염상 및 관련 요인에 관한 조사 연구 (A survery on the epidemiological factors of clonorchiasis in the pohang industrial belt along the Hyungsan River, Kyongsangbuk-do)

  • 김성숙;한미현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8권4호
    • /
    • pp.213-220
    • /
    • 1990
  • 형산강 일대는 과거에 간흠충의 농후유행지로 알려진 지역으로, 이 강을 끼고 있는 포항 및 영일 일대 공업지역의 근로자를 대상으로 하여 최근에 간흠충 감염 여부를 검사하고 간흡충 감염과 관련된 사항에 관하여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총 3,180 명을 대상으로 간흡충 항원을 이용하여 피내반응검사를 실시하였는데 26.2%인 834명이 양성이었다. 이들 양성자 중에서 598명을 검변하여 129명 (21.6%)의 간흡충란 양성자를 검출하였다. 그 이외에 편충 1.7%, 회충 0.3% 및 요꼬가와흡충 0.2%의 충란양성를을 얻었다. 2) 간흠충 감염자는 모두 20∼40대의 남자이었으며 띠감염 대조군에 띠해 유의하게 중학교 이하 지 학력자의 비율이 높았고, 형산강을 낀 포항시 및 영일군의 챙전 동(동)에 거주하는 사람의 띠율이 높았으며, 20년 이상 장기 거주자의 비율이 감염자 군에서 높았다. 약 20% 내외의 감띰자가 구충제를 점기 복음하였고, 간흡충 감염 여부에 관한 검사를 반은 적이 있고 기생충 감엄애 관한 교육을 받은 걱이 있다고 하였다. 또한 대부분의 조사 대상자가 기생충 관리에 대한 교육을 인하였다 3) 감염자 군에서 민물고기를 날로 먹는 습관을 가진 사람의 비율이 유의하게 많았으며 주로 등어, 입어 등을 소비하였다. 4) 감염자를 프라지관텐로 치료하고 1년 후에 검변한 결곽 치료자의 85.3%가 충란을 배출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면 형산강 일대에서 간흡충의 유행이 과거에 띠해 뚜렷하게 감소하였으나 아직도 많은 사람이 감염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간흡충의 빠른 근절을 위해서는 올바른 진단과 치로 및 기생충에 관한 교육이 절실하게 요구된다.

  • PDF

늑골 골수염에 동반된 흉벽 천공성 농흉 1례 (Tuberculous Empyema Necessitatis with Osteomyelitis, a Rare Case in the 21st Century)

  • 김한울;임고운;조혜경;이현주;원태희;박경운;김경효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8권1호
    • /
    • pp.80-84
    • /
    • 2011
  • 흉벽 천공성 농흉(Empyema necessitatis)은 농흉이 흉막 외의 공간으로 확장되어 나간 것을 말한다. 결핵성 흉벽 천공성 농흉은 결핵의 드문 합병증으로서 특히 소아에서는 더욱 드물다. 본 저자들은 결핵에 노출된 병력이 없던 21개월 남자아이에서 7번째 늑골의 골수염에 동반된 결핵성 흉벽천공성 농흉을 경험하여 이에 대해 보고한다. 우리는 환자의 진단과 치료를 위해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고, 조직을 이용한 PCR 및 분자생물학적 검사에서 M. tuberculosis complex를 확인하여 항결핵제를 이용해 합병증 없이 치료하였다.

활동성 폐결핵 환자의 소아청소년 접촉자 조사 결과: 2012년부터 2014년까지 단일 기관의 경험 (Outcomes of Child Contact Investigations of Active Pulmonary Tuberculosis Patients: A Single Center Experience from 2012 to 2014)

  • 이택진;김은경;정혜철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2권2호
    • /
    • pp.91-96
    • /
    • 2015
  • 목적: 본 연구는 결핵 접촉자 조사에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평가하고자 계획되었다. 방법: 2012년 8월부터 2014년 7월까지 만 19세 이상의 배양검사 양성인 폐결핵 환자의 소아청소년 접촉자들의 진료기록을 검토하였다. 결과: 배양검사 양성인 폐결핵 환자 79명과 그들의 소아청소년 접촉자 116명이 확인되었다. 확인된 접촉자 116명 중 22%는 접촉자 검진을 중단하였다. 접촉자 검진을 완료한 90명 중 TST 음성이 42%이고 TST 양성이 58%였으며, 검진 기간 중 1%가 활동성 폐결핵으로 진단되었다. 항산균 도말 검사 음성 결핵 환자들의 접촉자 50명의 TST 양성률은 50%였다. 5세 이상의 연령(OR 8.3; 95% CI 2.3-30)과 남성(OR 3.9; 95% CI 1.5-9.9)이 접촉자 검진 중단과 유의하게 연관되었다. 결론: 활동성 폐결핵 환자들의 접촉자들을 확인하고 올바르게 검진하기 위해서 접촉자 검진 과정의 개선이 필요하다.

신생아에서 혈뇨와 폐렴이 동반된 선천 매독 1례 (Congenital Syphilis: An Uncommon Cause of Gross Hematuria, Skin Rash, and Pneumonia)

  • 심선희;김주영;이의경;방경원;조경순;이주영;서진순;빈중현;김현희;이원배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1권1호
    • /
    • pp.65-70
    • /
    • 2014
  • 선천성 매독은 산전진찰로 예방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문제가 되고 있다. 최근에는 선천성 매독과 관련된 혈뇨나 폐렴이 보고된 증례가 없었으나 저자들은 적절한 산전치료를 받지 못한 산모에게서 태어난 22일된 남아에게서 발생한 선천성 매독에 동반된 신증후군과 폐렴의 증례를 보고한다. 선천 매독의 진단은 혈청학적 검사로 확진하였고, 환아는 페니실린 G 치료를 받고 회복되었다. 신생아에게서 임상증상은 매우 불확실할 수 있어, 질환에 대한 인식이 지연 될 수 있다. 따라서 선천성 매독의 예방에는 철저한 산전관리가 필수적이다. 만약 산모가 적절한 산전진찰을 받지 않았을 경우에는 신속한 혈청학적 진단이 반드시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풍력발전기 복합재 블레이드의 접착 분리 모니터링을 위한 패키징 광섬유 브래그 격자 센서 탐촉자의 사용성 검토 (Feasibility Study on Packaged FBG Sensors for Debonding Monitoring of Composite Wind Turbine Blade)

  • 권일범;최기선;김근진;김동진;허용학;윤동진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82-390
    • /
    • 2011
  • 최근 대형화되는 복합재 풍력 블레이드의 운전 중 발생되는 손상을 조기에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블레이드 내부에 일제형으로 설치가 가능한 스마트 센서들이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광섬유 브래그 격자(FBG: Fiber Bragg grating) 센서를 복합재 모형 블레이드 후연부 시편에 부착하여 균열 또는 접착층 분리를 감지하는 실험을 수행하여 패키징된 광섬유 브래그 격자 센서 탐촉자의 풍력 블레이드에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블레이드 시편에 인가된 연장 하중이 1100 N부터 1260 N 사이에서 노출된 광섬유 브래그 격자 센서의 파장 이동 방향이 급격히 반전되는 결과로부터 전단 웹의 균열과 접착 분리 파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블레이드에 사용하기 위한 노출된 광섬유 브래그 격자 센서는 깨지가 쉽기 때문에 이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에폭시로 패키징된 광섬유 브래그 격자 센서 탐촉자를 제작하였다. 블레이드 시편의 스킨 위에 제작된 탐촉자를 설치한 후 인장 시험을 수행한 결과 변형률에 대한 감지도는 약 1.3 ${\mu}{\varepsilon}$/pm으로 노출된 광섬유 브래그 격자 센서의 감지도와 거의 동일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온도 감지도는 $80^{\circ}C$ 까지의 가열 테스트를 통하여 약 48 pm/$^{\circ}C$의 온도 감지도를 보였다.

중생종 사과 '여홍(麗紅)' 품종 육성 (Breeding of a New Mid-season Apple Cultivar 'Yeohong')

  • 권순일;김목종;백봉렬;신용억;김정희;최철;강인규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0권6호
    • /
    • pp.776-779
    • /
    • 2012
  • 신품종 '여홍'은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1993년 '홍옥'에 '후지'를 인공교배하였고, 2002년에 고품질 과실의 우량 계통에서 예비선발하였다. 4년간 5개 지역에서 지역적응시험을 거쳐 '원교 가-31호'로 2007년에 최종 선발하였다. 과실의 적숙기는 9월 하순이고 과형은 편원형, 과피는 홍색, 바탕은 녹황색, 과육은 황백색이다. 과중은 평균 278g이며, 가용성고형물 함량은 $14.3^{\circ}Brix$, 산 함량은 0.4%로 당산미가 조화로와 식미가 우수하였다. 상온저장력은 3주 정도이며, 탄저병에 이병성이다. 신품종 '여홍'은 '홍로'와 '쓰가루' 품종에는 교배친화성이 있으나, 자방친인 '후지'와는 교배친화성이 없었고, 수세는 약한 편이다.

계육에 오염된 Campylobacter 균의 불활성화 평가 (Assessment of Inactivation for Campylobacter spp. Attached on Chicken Meat)

  • 장금일;정헌상;김정호;김광엽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02-307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위생제 처리에 의해 계육에 존재하는 Campylobacter 균의 불활성화 효과를 신속하고 직접적으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먼저 Campylobacter균의 계육중 오염 부위는 계육 표면의 주름진 틈 사이 및 모공 주변에 존재하였다. 그리고 TSP처리에 의한 Campylobacter균의 불활성화 효과를 in vitro 방법으로 평가한 결과, Campylobacter 균은 활성상태인 나선형에서 구형으로 형태변환이 발생하였는데, 구형으로 변환된 Campylobacter균은 배양된 배지성분이 제거된 경우 불활성화 효과가 나타내는 반면, 배지성분이 잔존한 경우 TSP처리에 의해 불활성화되지 않은 VBNC의 구형 상태로 잔존하였다. 또한 계육 표면에 오염된 Campylobacrer균을 불활성화 시키기 위해 TSP를 처리하였을 때, Campylobacter균의 모양이 구형으로 변환되었지만, TSP처리에 의해 불활성화 효과를 나타내지 않고 계육 표면에 VBNC 형태로 잔존하여 배지성분을 제거시킨 결과와 같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Campylobacter균의 배지성분 내의 유기물 및 계육표면에 존재하는 유기물을 이용하여 TSP에 대한 저항력을 향상시킨 것으로 생각되며, 이는 다양한 위생제 처리에 의한 식품의 안전성을 추구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문제점이라고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계육에 존재하는 Campylobacter균에 대하여 위생제 처리에 의한 불활성화 효과를 직접적이면서 신속하게 평가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백하수오 발효액의 모발성장 효과 (The Promoting Effect of Pleuropterus cilinervis Extracts Fermented with Lactobacillus rhamnosus on Hair Growth)

  • 박장순;이재숙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45-349
    • /
    • 2011
  • 백하수오와 동물성 밀크를 혼합하여 유산균인 Lactobacillus rhamnosus와 함께 1일 동안 배양 한 결과 pH 및 유산균 개체수에 있어서 이상적인 발효에 도달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발효물을 생후 6주령 된 C57BL/6 마우스에 1일 1회, 8일 동안 붓을 사용하여 매 회 100 ${\mu}L$씩 경피 도포하여 모발성장 촉진효과를 관찰한 실험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실험기간 동안 모든 군에서 체중과 사료 섭취량이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육안적 관찰에서 무처리군과 음성대조군에서 모발성장이 약하게 관찰되었고, 양성대조군인 미녹시딜 처리군에서는 평균 62%의 모발성장이 관찰되었으며, 실험군인 백하수오 유산균 발효군에서는 평균 90% 이상의 정상적인 모발성장이 관찰되었다. 피부조직의 H&E 염색 후 분석 결과 8일째 희생한 마우스의 무처리군과 음성 대조군에서 모낭의 수 및 크기가 작고 모근의 길이가 작았고, 양성대조군에서는 모낭의 수, 크기 및 모근의 길이가 무처리군과 음성대조군에 비해 약간 신장한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백하수오 유산균 발효군인 실험군에서는 모낭의 수, 크기 및 모근의 길이가 다른 군에 비해 크게 관찰되었다. 이상의 실험결과를 통해 백하수오와 동물성 밀크를 유산균인 Lactobacillus rhamnosus와 같이 발효하여 얻은 발효액은 우수한 모발성장 촉진효과를 보였으며, 미녹시딜보다 더 높은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