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keletal maturity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25초

III급 부정교합 어린이의 수완부 골성숙과 하악 제3대구치 발육에 대한 연구 (SKELETAL MATURITY AND MANDIBULAR THIRD MOLAR DEVELOPMENT IN CLASS III MALOCCLUSION)

  • 강근영;양규호;최남기;김선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235-242
    • /
    • 2008
  • 본 연구는 I급 부정교합과 III급 부정교합 어린이의 수완부 골성숙 단계와 하악 제3대구치 발육을 비교.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남대학교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환자들로 8세부터 15세 사이의 Angle I급 부정교합을 지닌 남자 149명, 여자 155명 그리고 Angle III급 부정교합을 지닌 남자 153명, 여자 155명, 총 61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골성숙 단계 평가를 위해 수완부 사진을 이용한 Fishman의 방법을 사용하였고 하악 제3대구치의 발육 단계를 평가하기 위해 Orthopantomogram을 이용한 Gat 등의 New Six-Developmental-Stage 방법으로 판독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골성숙 단계는 I급 부정교합과 III급 부정교합군 모두 전반적으로 여자가 남자보다 빠르나(p<0.05) 하악 제3대구치의 석회화 단계는 성별 차이가 없었다. 2. 남녀별 골성숙 단계와 하악 제3대구치의 석회화 단계는 I급과 III급 부정교합군 간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I급 부정교합과 Ⅲ급 부정교합군의 수완부 골성숙 단계와 하악 제3대구치 석회화 단계 사이의 상관관계는 두 군모두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p<0.01). 4. I급 부정교합과 III급 부정교합군의 하악 제3대구치 석회화 단계와 연령사이의 상관관계는 두 군 모두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p<0.01). 이상의 결과로 수완부 골성숙도와 하악 제3대구치 발육은 I급 부정교합과 III급 부정교합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 PDF

부정교합자(不正咬合者)의 사춘기성장(思春期成長)과 수완(手腕) 부골(部骨) 성숙단계(成熟段階)에 관(關)한 누년적(累年的) 연구(硏究) (A LONGITUDINAL STUDY ON THE PUBERTAL GROWTH PEAK AND MATURITY STAGES OF THE HAND-WRIST IN MALOCCLUSION)

  • 김형일;이동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23-133
    • /
    • 1989
  • To predict the pubertal growth peak in stature and study the skeletal maturity degree using hand-wrist radiograph, the author used the 70 malocclusions (male 24, female 46). After longitudinal measurement of stature and skeletal maturity indicators of hand-wrist radiographs were taken during 4 years, the rsults were as follows. 1) The pubertal growth peak in stature occurred mainly at SMI 6-7 (56.5%) in female, SMI 5-6 (37.5%), 6-7 (37.5%) in male (Table 5). 2) It was suggested that the pubertal growth peak in stature was already passed, if SMI 8 occurred. 3) Ages of SMI in female were about 2 years earlier than those of SMI in male, and the sexual difference was gradually decreased in puberty. 4) Duration of SMI was longest at SMI 6-7 in both sex and the mean was 8.5 months. After this stage, the velocity of skeletal maturity in female was decreased than in male. 5)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each SMI and pubertal growth peak was very high (Table 8).

  • PDF

골 성숙도 결정 시 혈청 IGF-1, IGFBP-3 농도와 수완부 방사선 사진의 상관관계 (Correlation between Serum IGF-1, IGFBP-3 Levels, and Hand-Wrist Radiographs in Determining Skeletal Maturity)

  • 곽미선;마연주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334-346
    • /
    • 2023
  • 이 연구의 목적은 Skeletal maturity indicator (SMI) 및 Middle phalanx of the third finger (MP3)와 혈청 Insulin-like growth factor-1 (IGF-1) 및 Insulin-like growth factor binding protein-3 (IGFBP-3)의 상관 관계를 통해 골격적 성숙도의 예측 지표로 사용될 수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2018년 1월부터 2022년 12월까지 아주대학교 치과병원 및 소아청소년과에 내원한 만 7세 이상 17세 이하 환자 205명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혈청 IGF-1 농도는 SMI 6 - 8, MP3 - G에서 가장 높았고(p < 0.0001) 혈청 IGFBP-3 농도는 SMI 9 - 10, MP3 - I에서 가장 높았다(p = 0.010, 0.030). SMI, MP3와 혈청 IGF-1 농도 간 비교적 높은 Pearson 상관계수를 나타냈다(r = 0.698, 0.622, p < 0.0001). 혈청 IGF-1는 소아청소년의 골격적 성숙도를 평가하는 보조적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임상적으로는 472 ㎍/L에서 510.63 ㎍/L의 범위를 최대성장기로 고려할 수 있다.

부정교합 분류에 따른 초경시기와 골성숙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ENARCHE AND SKELETAL MATURITY AMONG VARIOUS MALOCCLUSION GROUPS)

  • 김경호;백형선;손은수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581-589
    • /
    • 1998
  • 부정교합 환자에서 사춘기 성장 가속화시기의 치료는 악안면 골격 부조화의 교정과 안모의 개선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므로 사춘기의 성장을 예측하고 성장 잠재력을 평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교정학에 있어서 개개인의 성장 가속화시기와 연관해서 신체의 성장 발육상태를 평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교정치료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이 에 본 연구에서는 부정교합 분류에 따라 초경시기에 차이가 있는지와 초경시 골성숙도를 조사하기 위해, 1급 부정교합자 64명, II급 부정교합자 51명, III급 부정교합자 38명의 초경 전후 3개월 이내의 수완부골 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여 골성숙도를 평가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초경시 평균 연령은 $12.50{\pm}1.01$세 였다. 2. 각 군별 초경연령은 I급 부정교합군이 $12.36{\pm}1.04$세, II급 부정교합군이 $12.81{\pm}1.03$세, III급 부정교합군이 $12.32{\pm}0.82$세로서, II급 부정교합군이 I급 부정교합군 과 III급 부정교합군에 비해 늦은 초경연령을 보였다. 3. 초경시 수완부 골성숙도는 부정교합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4. 초경시 수완부 골성숙도는 SMI 7이 $45.10\%$, SMI 8이 $27.45\%$, SMI 9가 $10.46\%$, SMI 6이 $7.84\%$, SMI 10이 $7.84\%$, SMI 5가 $1.31\%$ 였다. 5. 초경연령과 수완부 골성숙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r=0.25430).

  • PDF

정상교합자의 사춘기성장과 수완부골 성숙단계에 관한 연구 (THE PUBERTAL GROWTH SPURT AND SKELETAL MATURITY STAGES OF THE HAND-AND-WRIST IN NORMAL OCCLUSION)

  • 박진성;서정훈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97-209
    • /
    • 1985
  •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ubertal spurt in body height and bone maturity of the hand-and-wrist in normal occlusion, the author X-rayed the hand-and-wrists of 1,141 students (male 614, female 527) and assessed their bone maturity. In this study, eleven skeletal stages were selected. The bones used to determine skeletal maturity were the ulnar sesamoid of the metacarpophalangeal joint of the first finger, the epiphyses of the proximal, middle, distal phalanges of the third finger, and middle phalanx of the fifth finger, and distal epiphysis of the radius. From the longitudinal data for height, an assessment was made of the change in growth velocity. The pubertal growth stage was divided into onset and peak height velocity phas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onset of the pubertal growth was between the $PP_3=\;and\;MP_3=$ stage for boys, and between the $MP_3=\;and\;MP_5=$ stage for girls; the mean age of onset was 10.6 years for boys and 9.0 years for girls. 2. The peak height velocity was between the S and $MP_{3_{cap}}$ stage for boys, and between the $MP_{3_{cap}}$ and $MP_{5_{cap}}$ stage for girls; the mom age of peak height velocity was 12.5 years for boys and 10.9 years for girls. 3. As the stages of bone maturity progressed from $DP_{3u},\;to\;PP_{3u},\;MP_{3u}$, Ru, the peak height velocity had been reached, and the growth rate retarded, therefore the approach to full physical maturity was attained. 4. The evidence for the period of onset, peak height velocity and bone maturation suggested that girls were in advance of boys. During the latter part of pubertal growth, the rate of boys' bone maturation was faster than that of girls'.

  • PDF

대전지역 다문화가정 자녀의 성장에 대한 보고 (A Study on the Growth of Multicultural Families' Children in Dae-jeon Area)

  • 이혜림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147-156
    • /
    • 2014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urrent growth via Growth indices, Obesity indices, Metabolic risk factors of Multicultural Families' Children in Dae-jeon area. Methods 5 to 12 year old children from 56 multicultural familie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and were examined their bone age and body composition, and have received blood tests. Results 1. In Growth indices, average height percentile was $53.64{\pm}25.59%$. The AHP and MPH respectively, were converted into 20 years old adult height percentile, AHP of a girls was 40 percentile and MPH was 19 percentile, AHP of boys was 57 percentile and MPH was 21 percentile. 2. In Obesity indices, average of BMI pecentile was $44.16{\pm}29.52$; low-weight group (6 boys, 4 girls), normal-weight group (20 boys, 18 girls), over-weight group (8 girls). Average PWH was $100.51{\pm}15.66%$; low-weight group (9 boys, 5 girls), normal-weight group (14 boys, 15 girls), over-weight group (3 boys, 5 girls), obesity group (5 girls). 3. The result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Growth indices and Obesity indices, 1) As RH percentile in boys was increased, skeletal maturity, AHP and AHP-MPH were also increased. Similarly, as RH percentile in girls was increased, skeletal maturity, AHP and AHP-MPH were also increased. 2) As skeletal maturity in boys was increased, BMI percentile was also increased. As skeletal maturity in girls was increased, AHP-MPH was decreased but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s. Conclusions Current growth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was above the average when compared to that of average children in the same age. It was predicted that the boys' height were still above the average adult height, but the girls' height were below the average. Also this study showed that girls were more prone to be overweight than boys, thus requiring more intensive management and training in regards to eating habits and exercise.

하악 제3대구치의 성숙도를 이용한 성장 평가 (Skeletal maturation evaluation using mandibular third molar development in adolescents)

  • 조선미;황충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20-129
    • /
    • 2009
  • 성장기 환자의 교정 치료에서 바람직한 치료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성장을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이 중요하다. 성장 과정은 개인마다 상당한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성장 평가를 위해서는 연대 연령이 아닌 생리적인 연령을 사용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춘기 동안 발육하는 하악 제3대구치에서 치아성숙도를 측정하고 성장 평가 지표로서의 그 가치를 평가하고자 하는 데 있다.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교정과에 내원한 성장기 여자 환자 270명을 대상으로 제3대구치의 치아 성숙도(Demirjian index), 경추의 골 성숙도(CVMI), 수완부 골 성숙도(SMI), 초경 연령 등을 평가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Demirjian Index와 SMI, CVMI 간의 상관관계에서 SMI와 Demirjian index (r = 0.64), CVMI와 Demirjian index (r = 0.59)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p < 0.001). 그러나 초경 연령과 Demirjian index간의 상관관계(r = 0.26)는 낮았으며 (p < 0.001), Demirjian index를 통해 평가한 제3대구치의 치아성숙도는 I, II, III급 부정교합 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제3대구치 치관이 완성되고 치근이 형성되기 시작하는 Demirjian index I단계 이상이면 SMI 10단계, CVMI 5단계 이상에 속하였다. 하악 제3대구치의 발육단계를 이용한 치아성숙도 평가는 경추 및 수완부 골성숙도와 조합하여 사용한다면 사춘기 성장 평가에 있어 하나의 보조적인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Evaluation of cephalometric characteristics and skeletal maturation of the cervical vertebrae and hand-wrist in girls with central precocious puberty

  • Kang, Sung-Tae;Choi, Sung-Hwan;Kim, Kyung-Ho;Hwang, Chung-Ju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181-187
    • /
    • 2020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differences in cephalometric characteristics and skeletal maturation in girls with central precocious puberty (CPP) via lateral and hand-wrist radiographs. We also aimed to identify the indicators that are most effective for determining skeletal maturity in these patients. Methods: The study included 70 Korean girls (mean age, 8.5 ± 0.5 years) diagnosed with CPP at the Department of Pediatrics, and 48 normal healthy age-matched girls who visited the Department of Orthodontics and had no history of hormone treatment or growth problems. Skeletal maturation was evaluated using lateral cephalometric and hand-wrist radiographs using cervical vertebrae maturation indicators (CVMI) and skeletal maturity indicators (SMI). Results: The mean mandibular plane angle was smaller in the CPP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35.8° ± 4.9° vs. 39.0° ± 6.5°), resulting in greater posterior facial height (p = 0.003). SMI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the CPP group (3.5 ± 1.4 vs. 2.0 ± 1.0) than in the control group (p = 0.001) and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PP (r = 0.492; p = 0.001), whereas CVMI was not. Conclusions: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the CPP group exhibited a smaller mandibular plane angle, greater posterior facial height, and greater skeletal maturation. SMI may be more suitable than CVMI for determining skeletal maturation in CPP. Hand-wrist radiography is recommended in addition to lateral cephalogram for predicting growth in girls with CPP.

초경이후 경과시간에 따른 골성숙도의 변화 (THE STUDY OF THE CHANCES IN SKELETAL MATURITY ACCORDING TO THE TIME PASSED FROM MENARCHE)

  • 이성자;정규림;박영국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409-417
    • /
    • 1998
  • 경희의료원 치과병원 교정과에 내원한 부정교합자 중 전신 건강 상태가 양호한 123명의 좌측 수완부골 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여, 초경과 골격성숙도간의 상관관계를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초경 발현 연령은 평균 12.31세, 최소 9.6세, 최고 15.6세로 개체간 변이가 심하였다. 2. 초경시 골성숙 상태는 SMI 7,8단계($73\%$), 즉 제5중절골의 골단이 골간을 둘러싸거나 제3말절골의 골간과 골단이 융합되는 단계이며, 초경시의 골격성숙도는 초경 발현 연령에 관계없이 일정하였다. 3. 골성숙단계에 따른 초경 후 경과기간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요골의 융합은 초경 후 평균 1년 8개월이 지나면 시작되었다. 5.초경 발현 연령에 따른 성장 속도의 비교에서, 만기성숙아(초경을 늦게 경험하는 여아)는 초경 후 14개월이 지나면 요골의 융합이 시작되었고, 조기성숙아(초경을 일찍 경험하는 여아)는 초경후 22개월, 평균성숙아는 초경후 20개월이 지나면 요골의 융합이 시작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