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te period

검색결과 2,623건 처리시간 0.031초

국내 지반특성에 적합한 설계지반운동 결정 방법에 대한 연구 (Evaluation of Earthquake Ground Motion Considering Dynamic Site Characteristics in Korea)

  • 윤종구;김동수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8권3호
    • /
    • pp.23-32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국내 148개 지반에 대한 전단파속도 주상도, 기반암 깊이 및 지반의 동적변형특성을 획득하여 미국 서부해안지역의 지반특성과 비교하였고, 등가선형해석을 수행하였다. 해석은 1등급 붕괴방지수준인 0.154g를 암반노두에 적용하여 수행하였다. 해석결과 국내 지반특성에 적합한 증폭계수 $F_a$$F_v$는 UBC 기준의 증폭계수와 매우 다른 경향을 보였다. 단주기 증폭계수 $F_a$의 경우 UBC 기준보다는 큰 값이 얻어졌고, 장주기 증폭계수 $F_v$는 UBC 기준보다 작은 값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국내 지반특성을 적절히 반영할 수 있는 설계지반운동 결정방법을 개선해야할 필요를 확인하였다.

Proposal for the list of potential radionuclides of interest during NPP site characterization or final status surveys

  • Seo, Hyung-Woo;Oh, Jae Yong;Shin, Weon Gyu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3권1호
    • /
    • pp.234-243
    • /
    • 2021
  • In the research or project planning for the decommissioning of a nuclear power plant, one of several preparations will be the establishment of a list of potential radionuclides to be considered at the time of characterization or final status surveys. Reliable data for selection of potential radionuclides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to prepare for decommissioning will depend heavily on historical data at the site or, where possible, sampling analysis. However,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direct sampling can be challenging,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s of the site or national regulation. A methodology of selecting potential radionuclides for nuclear facility sites which largely consists of three major processes: production of initial list of radionuclides, selection of the insignificant radionuclide that will be eliminated, and consideration of site characterization or sampling. For developing a preliminary list of potential radionuclides for Kori Unit 1 decommissioning, the list of initial radionuclides was made referring to the technical documents applied at decommissioned NPPs in the U.S and additional reference materials applied until the operation of NPPs in Korea. For the screening of insignificant radionuclides, we applied criterion of less than 0.1% of the amount of radioactivity inventory and confirmed the dose fraction using the RESRAD code. The final suit of radionuclides was established, which should be supplemented by reflecting site characterization and sampling process in the future. Thus, the methodology and results for the selection of potential radionuclides suggested in this paper can give an insight as a future reference to deriving DCGLs in relation to site remediation of decommissioning nuclear plants.

정비사업을 통해 본 부여 정림사지 문화재 조경의 특성 (A Characteristics of Cultural Heritage Landscaping of Jeongnimsa Temple Site in Buyeo from Perspective of Maintenance Project)

  • 김미진;소현수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8-49
    • /
    • 2021
  • 정림사지 정비사업은 사찰을 구성하는 건물의 원형복원을 목표로 하였으나 점차 사역의 경관을 조성하는 조경 정비로 이행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사실에 주목하여 다음과 같은 정림사지 문화재 조경의 특성을 정리하였다. 첫째, 문화재 조경은 문화재보호법상 지정된 문화재와 주변에 지정된 문화재 보호구역을 공간적 범위로 하여 경관을 조성, 유지, 관리하는 조경 행위로서 유구 보호 및 정비, 기능별 공간 배치와 동선계획, 문화재 보호를 위한 구조물 설치, 방문자 편의를 위한 시설물 도입, 식생경관 조성을 포함하는 작업이다. 둘째, 정림사지 문화재 경관은 일제의 문화재 지정과 발굴조사로 사찰명이 밝혀진 '고적조사사업', 광복 이후 '백제탑공원 조성', 사적으로 지정된 '백제문화권 개발사업', 고증의 어려움으로 전각의 복원 대신 공원과 박물관 건립으로 이행된 '백제문화권 특정지역 종합개발사업', 백제 창건 당시 가람 배치를 회복하고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정림사지 복원사업'으로 전개되었다. 셋째, 부여신궁(扶餘神宮) 외원(外苑)과 연계된 기념공원 조성, 일제강점기의 시가지계획 실현, 발굴 유구와 사역의 보호환경 조성, 가람 배치의 원형복원, 문화재의 진정성 회복과 활용이라는 정림사지 경관 변화의 배경을 확인하였다. 넷째, 정림사지 경관은 문화재 지정대상과 범위, 토지이용, 동선·포장, 유구정비 수법, 구조물, 시설물, 식생으로 결정되는데 이들의 정비 양상을 고찰한 결과, 문화재 영역의 시각적 차별화로 위계성 부여, 문화재 지정 범위 확장을 고려한 과정적 경관 조성, 가역성을 고려한 유구 정비로 진정성 확보, 역사문화경관에 어울리는 식생경관 조성, 오픈스페이스 제공으로 문화유산 향유가치 증진이라는 정림사지 문화재 조경의 특성을 도출하였다.

3차원 시간이력해석을 통한 매설가스배관 종방향 지진응답 예측을 위한 경험적 설계법의 적용성 평가 (Estimation of Applicability of Empirical Design Procedure for Predicting Seismic Response of Buried Gas Pipelines through 3D Time-history Analysis)

  • 곽형주;박두희;이장근;강재모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1권9호
    • /
    • pp.53-68
    • /
    • 2015
  • 매설가스배관의 내진설계에서 종방향 변형률은 중요한 평가 요소이다. 일반적으로 지진파를 조화파로 단순화하며 이의 파장은 토층의 주기와 전단파 속도의 곱으로 계산하여 매설관의 응답을 계산하는 경험적 설계방법이 널리 사용되지만 이의 정확성이 평가된 사례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1차원 지반응답해석을 수행하여 매설심도에서의 변위-시간 이력을 추출하였으며, 이를 적용한 시간이력해석을 수행하여 매설관의 응답을 평가하였다. 매설관과 지반의 상호작용은 3차원 쉘-스프링 모델을 사용하여 모사하였다. 시간이력해석으로 계산된 결과는 설계방법과 비교하여 이의 정확성을 평가하였다. 비교 결과, 파장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지반응답해석을 수행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층의 고유주기는 가속도의 탁월주기를 예측하는 데에는 활용될 수 있으나 변위의 탁월주기를 예측할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파장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제공될 경우, 조화파에 대하여 제시된 해석해는 정확도가 높으며 설계에 적용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대상이 동시베리아 지역에 적용될 매설가스관이라 동시베리아 지역의 대표 주상도를 해석 에 사용하였지만 본 연구의 결론은 기타 모든 지역에 적용 가능하며 가스관뿐만 아니라 상수도관 등 다양한 매설관에 적용 가능하다.

사방공작물 시공이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rosion Control Works on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ies)

  • 이익수;정유경;이헌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1권4호
    • /
    • pp.686-694
    • /
    • 2012
  • 본 연구는 산지 황폐계류에 시공한 사방공작물이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상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2007년 4월부터 2008년 10월까지 총 6회에 걸쳐 사방공작물이 설치되지 않은 계곡 상류지역의 대조지점(Site 1)과 사방공작물이 시공된 2개의 지점(Site 2, Site 3)을 대상으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상의 변화와 생물학적 수질 변화를 조사하였다.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상은 조사결과 4문 6강 13목 24과 27종 6,922개체가 조사되었으며, 조사지점 평균값으로 볼 때 단각목의 보통옆새우가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다양도지수는 Site 2의 4차 조사에서 1.47로 가장 높았으며, Site 2의 6차 조사에서 0.24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균등도지수는 Site 2의 4차 조사에서 0.82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Site 1의 5차 조사에서 0.194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풍부도지수는 Site 1의 1차 조사에서 2.794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Site 2의 6차 조사에서 0.291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생태점수 (ESB)는 조사기간동안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섭식기능군은 SH(Sherdder)가 조사기간동안 가장 많은 개체수로 조사되었으며, EPT분류군 개체수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하복가옥의 입지와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Site and Space of Lee Ha-Bock's Traditional House)

  • 한종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8394-8399
    • /
    • 2015
  • 본 논문은 서천군 기산면 신산리 120번지에 위치한 중요민속자료 제197호로 지정된 이하복 가옥을 대상으로 입지분석 및 공간구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하복가옥의 입지는 풍수적으로 잘 갖추어진 배산임수(背山臨水)의 면견형(眠犬形)의 터를 입지로 선정하였다. 가옥의 공간구성은 ㄱ자형 안채, ㅡ자형 사랑채와 광채 등을 대지에 순응해서 ㅁ자 배치로 조성한 중부지방의 전통적인 농가의 모습을 하고 있는 초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오늘날 화려하고 규모가 큰 반가들이 많이 남은 현실에서 조선시대 민가의 모습을 보여주는 몇 채 안 되는 초가로서 건축학적인 가치가 적지 않다고 판단된다.

제주도 종달리패총유적 4지구에서 출토된 동물뼈 유물의 비교해부학적 관찰 (Comparative Anatomical Study on Animal Bones Excavated from the Jongdal-Ri Shell Mound Archaeological Site IV on Jeju Island)

  • 김황룡;강창화;신태균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309-320
    • /
    • 2002
  • Animal bones that were excavated with earthenware at the Jongdal-ri shell mound archaeological site IV on Jeju Island were investigated morpholgically and osteometrically. This archaeological site is estimated to date from the late Tamra period to the unified Shilla Dynasty (A.D. 7C) based on the type of earthenware. The number of animal bones was 3,430 pieces(Quarter B : 758, Quarter C : 2,672). The animal species consisted of Cervus spp., Sus spp., Bos spp and Canivore. The animal bone pieces excavated at Quarter B consisted of those of Cervus(53.3%), Bos(2.8%) and Sus(13.7%). The bones of Cervus(53.3%), Bos(2.8%), Sus(13.7%) and Canivore(4.6%) were found at Quarter C. The greatest number of heads was unearthed as a whole, and the classification according to animal species showed that the heads were more visible than other bones. Forelimbs and hindlimbs were distributed evenly on the part of Cervus. The skeletons from Bos were identified in the order of heads, forelimbs and hindlimbs, while nearly all the Sus bones were found to be heads. These data suggests that Cervus, Sus and Bos are major fauna at the estimated period.

폐기물매립지의 장기침하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Long-term Settlement for Solid Waste Landfill)

  • 박정준;신은철;김동식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4권2호
    • /
    • pp.52-66
    • /
    • 2008
  • It has been a growing concern about reusing Sudokwon landfill 2nd site and other sanitary landfills located around the metropolitan areas. In this paper, settlement characteristics of Sudokwon landfill 2nd site were studied by analyzing the data collected over the period of six years. Three equations are combined in order to modeling the long-term settlement behavior of refuse landfill caused by mechanical secondary composition and secondary composition caused by the decomposition of biodegradable refuse. It is suggested that mechanical secondary composition is linear with respect to the logarithm of time. The models proposed by hyperbolic method and Gibson & Lo model, power creep law are considered to be suitable for the long-term prediction value of Sudokwon landfill 2nd site. The fifteen-year-period prediction value of hyperbolic method and Gibson & Lo model is considerably different from that of power creep law model. The average settlement for Block I in Sudokwon 2nd site is approximately 3.9m with 4 steps of final landfill stages.

  • PDF

Repeated failure of implants at the same site: a retrospective clinical study

  • Kang, Dong-Woo;Kim, So-Hyun;Choi, Yong-Hoon;Kim, Young-Kyun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41권
    • /
    • pp.27.1-27.9
    • /
    • 2019
  • Background: Implants are becoming the first choice of rehabilitation for tooth loss. Even though they have a high success rate, failures still occur for many reason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asons for recurring failure at the same site and the results of re-implantation. Methods: Thirteen patients (11 males and 2 females, mean age 60 ± 9.9 years) who experienced implant surgery failure at the same site (same tooth extraction area) two or more times in the Department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between 2004 and 2017 were selected. The medical records on a type, sites, diameter, and length of implants; time and estimated cause of failure; and radiographs were reviewed.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retrospectively, and the current statuses were evaluated. Results: A total of 14 implants experienced failure in the same site more than two times. Twelve implants were placed in the maxilla, while 2 implants were placed in the mandible. The maxillary molar area was the most common site of failure (57.1%), followed by the mandibular molar, anterior maxilla, and premolar areas (14.3% each). The first failure occurred most commonly after prosthetic treatment (35.7%) with an average period of failure of 3.8 months after loading. Ten cases were treated as immediate re-implantation, while the other 4 were delayed reimplantation after an average of 3.9 months. The second failure occurred most commonly after prosthetic treatment (42.9%), with an average of 31 months after loading; during the healing period (42.9%); and during the ongoing prosthetic period (14.3%). In 3 cases (21.4%), the treatment plan was altered to an implant bridge, while the other 11 cases underwent another implant placement procedure (78.6%). Finally, a total of 9 implants (64.3%) survived, with an average functioning period of 60 months. Conclusions: Implants can fail repeatedly at the same site due to overloading, infection, and other unspecified reasons. The age and sex of the patient and the location of implant placement seem to be associated with recurring failure. Type of implant, bone augmentation, and bone materials used are less relevant.

2-매개변수 지반분류 방법 및 지반 증폭계수의 검증 (I) - 국외 내진설계기준 및 부지응답특성과의 비교 (Verification of 2-Parameters Site Classification System and Site Coefficients (I) - Comparisons with Well-known Seismic Code and Site Response Characteristics)

  • 이세현;선창국;하정곤;김동수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8권3호
    • /
    • pp.25-34
    • /
    • 2012
  • 최근 제안된 2-매개변수 지반분류 방법 및 지반 증폭계수가 국내 지반조건 및 지반증폭특성에 적합함을 검증하기 위하여 내진설계기준연구II, Eurocode-8, 현재 개정중인 미국 동부지역 NYC DOT 내진설계기준과 비교를 수행하였다. 유사한 조건의 지반 조건에 대하여 각 기준의 설계응답스펙트럼을 비교한 결과, 2-매개변수 지반분류, Eurocode-8, NYC DOT 내진설계기준은 일반적인 국내 지반특성인 단주기 영역의 증폭을 크게 고려하고 있는 반면, 내진설계기준 연구II는 장주기 영역의 증폭을 크게 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경주시 $10km{\times}10km$ 지역내 50개 부지에 대한 지반응답해석 결과를 확보하고, 이를 내진설계기준연구II 및 2-매개변수 지반분류 방법에서 제안하는 지반 증폭계수와 2차원 공간적인 비교를 수행하였다. 단주기 및 장주기 증폭계수 모두에 대하여 내진설계기준연구II가 2-매개변수 지반분류 방법에 비하여 부지응답해석 결과와의 오차값이 월등히 큰 것으로 평가되어, 2-매개변수 지반분류 방법에서 제안하는 지반 증폭계수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