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norhizobillm fredii

검색결과 1건 처리시간 0.018초

우리나라 재배콩(Glycin max L.)서 Sinorhizobium fredii의 공생효과(共生效果)와 근류형성경합력(根瘤形成競合力) (Symbiotic Effectiveness and Competitiveness of Sinorhizobium fredii on Korean soybeans (Glycin max L.))

  • 강위금;정연태;강항원;류진창;이상규;하호성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88-294
    • /
    • 1997
  • 콩 재배시(栽培時) 조속생육형(早速生育型)인 Sinorhizobium fredii의 접종제(接種劑) 이용가능성(利用可能性)을 검토코자 TAL 1781 등 9종의 S. fredii를 우리나라 재배콩 11품종(品種)에 접종시험(接種試驗)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시험(試驗)된 S. fredii는 모두가 광교에서 근류형성력(根瘤形成力)을 보였으나 단엽콩에서는 근류(根瘤)를 형성하지 못하였다. S. fredii TAL 1781과 TAL 1840, TAL 1899의 콩 건물생산량(乾物生産量)은 B. Japonicum YCK 213 및 USDA 110에 비해서 평균 53% 수준(水準)이었으며, S. fredii 균주(菌株) 중에서는 TAL 1781이 가장 우수하였다. 그리고 S. fredii는 B. japonicum USDA 110과 혼합접종(混合接種)했을 때 보다 YCK 213과 혼합접종(混合接種)했을 때에 더 많은 건물생산력(乾物生産力)을 보였다. S. fredii의 B. japonicum 대비(對比) 근류점유율(根瘤占有率)은 B. japonicum YCK 213과 혼합접종(混合接種)했을 때(8.3~26.7%) 보다 B. japonicum USDA 110과 혼합접종(混合接種)했을 때(10.0~30.0%) 더 높았다. 그러므로 S. fredii는 콩 건물생산력(乾物生産力) 및 근류형성(根瘤形成) 경합력(競合力) 면에서 B. japonicum보다 불량한 접종반응(接種反應)을 보여 콩의 근류균접종제(根瘤菌接種劑)로서의 실용성(實用性)이 낮음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