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nonasal cavity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3초

Correlations between anatomical variations of the nasal cavity and ethmoidal sinuses on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scans

  • Shokri, Abbas;Faradmal, Mohammad Javad;Hekmat, Bahareh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49권2호
    • /
    • pp.103-113
    • /
    • 2019
  • Purpose: Anatomical variations of the external nasal wall are highly important, since they play a role in obstruction or drainage of the ostiomeatal complex and ventilation and can consequently elevate the risk of pathological sinus conditions. This study aimed to assess anatomical variations of the nasal cavity and ethmoidal sinuses and their correlations on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scans. Materials and Methods: This cross-sectional study evaluated CBCT scans of 250 patients, including 107 males and 143 females, to determine the prevalence of anatomical variations of the nasal cavity and ethmoidal sinuses. All images were taken using a New Tom 3G scanner.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chi-square test, Kruskal-Wallis test, and the Mann-Whitney test. Results: The most common anatomical variations were found to be nasal septal deviation (90.4%), agger nasi air cell (53.6%), superior orbital cell(47.6%), pneumatized nasal septum(40%), and Onodi air cell(37.2%).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nasal septal deviation and the presence of a pneumatized nasal septum, nasal spur, and Haller cell. No significant associations were noted between the age or sex of patients and the presence of anatomical variations (P>0.05). Conclusion: Radiologists and surgeons must pay close attention to the anatomical variations of the sinonasal region in the preoperative assessment to prevent perioperative complications.

비강 및 부비동 Non-Hodgkin's Lymphoma의 방사선 치료 (Radiation Therapy Results of the Non-Hodgkin's Lymphoma of the Sinonasal Cavity)

  • 김수곤;박경란;이창걸;서창옥;김귀언;노준규;홍원표;김병수;류삼열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5권2호
    • /
    • pp.97-104
    • /
    • 1987
  • 1970년부터 1980년까지 연세대학교 치료방사선과에서 방사선치료 받은 비강 및 부비동에 발생한 NHL환자 15예를 대상으로 후향성 분석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병기분포는 13예가 IE 2예가 IIE였고 TNM병기에 따르면 7예가 국소병변이 진행된 T3, T4 환자였다. 2. Overall 5년 생존율을 $25\%$, IE는 $28\%$, IIE는 $0\%$였다. 3. 병기별 치료실패율은 T1, T2는 $33\%(2/6),\; T3,\;T_4는\;86\%(6/7),\;IIE$에서는 $100\%(2/2)$였다. 4. 방사선 조사량이 55Gy 이상인 경우 $100\%$의 완전 관해율을 보였으며 55Gy이하인 경우 $73\%$의 완전 관해율을 보였다. 5. 비강 및 부비동의 NHL의 Ann Arbor병기 분류와 함께 TNM 병기도 예후에 중요한 요인이 될 것 같다. 6. 국소병변이 진행된 병기 T3, T4와 IIE 환자에서는 화학요법제의 병용치료가 필요할 것 같다.

  • PDF

Angioleiomyoma of the Nasal Septum: A Case Report

  • Choi, Joon-Hyuk;Kim, Jun-Mo;Kim, Yong-Dae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25권2호
    • /
    • pp.154-159
    • /
    • 2008
  • 혈관평활근종은 주로 팔다리에 발생하는 양성 종양으로 비강에 발생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저자들은 코중격에 발생한 혈관평활근종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51세 여자가 잦은 코피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왼쪽 코중격에 경계가 좋은 종괴가 관찰되었다. 종괴에 대한 절제를 시행하였다. 절제된 종괴는 $0.7{\times}0.5{\times}0.4cm$ 크기였으며 회백색을 띠었다. 조직학적으로 종괴는 두꺼운 혈관벽을 가진 혈관과 민무늬근육세포의 증식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민무늬근육세포는 방추형으로 시가형태의 핵을 가졌으며 세포질은 호산성이었다.

  • PDF

Angiomyolipoma of the Glabellar Region

  • Kim, Hyo Joong;Chung, Chan Min;Park, Jae Yeon;Jung, Sung Gyun
    •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02-206
    • /
    • 2017
  • Angiomyolipomas are hamartomatous lesions consisting of smooth muscle bundles, thick-walled blood vessels, and mature adipocytes. They are usually found in the kidneys of tuberous sclerosis patients and more rarely in other organs, such as the liver, the oral cavity, the sinonasal tract, the heart, the large intestines, the lungs, and the skin. Cutaneous angiomyolipoma has shown to be very rare and generally occurs at the ends of the digits, the elbows, the ears, and the nose. Herein, we report the first documented case of angiomyolipoma of the glabellar region.

Organized hematoma of temporomandibular joint

  • Lee, Chena;Yook, Jong In;Han, Sang-Sun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48권1호
    • /
    • pp.73-77
    • /
    • 2018
  • Organized hematoma is a pseudo-tumorous lesion mostly occurs at sinonasal cavity and often confused with malignant neoplasm. The initiation of this lesion is blood accumulation, probably due to trauma, and this hematoma develops into organized hematoma as it encapsulated with fibrous band and neo-vascularized. Since it is uninformed at temporomandibular joint (TMJ) region, imaging diagnosis might be challenging. Also, delayed detection of mass involving TMJ is not uncommon due to confusion with joint disorder. Thus, this report introduced the rare pathology, organized hematoma on TMJ with advanced imaging features. Also, diagnostic point for early detection was described for the TMJ tumors and pseudo-tumors considering complexity of surgical intervention in this region.

결핵으로 오인된 비강 종괴로 첫 발현된 유육종증 (Sarcoidosis Initially Presenting as a Nasal Cavity Mass Misdiagnosed as Tuberculosis)

  • 채동렬;임성욱;조계중;임정환;주진영;권용수;오인재;김규식;김유일;임성철;김영철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5권2호
    • /
    • pp.121-124
    • /
    • 2008
  • 유육종증의 비강 침범은 드물게 발견되며 폐 침범 없이 비강만 단독으로 침범하는 경우는 더욱 드물게 보고되고 있다. 37세의 여자 환자가 콧물과 비강 폐색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비강 종괴의 조직 검사상 일부분에서 괴사를 동반한 비건락성 육아종으로 나와 폐외 결핵으로 생각하고 9개월간 항결핵제의 투약을 하였다. 그러나 항결핵제 투약 완료 후에 결막 종괴 및 많은 수의 흉곽 내 림프절 비대가 새로이 발견되었고, 결막 종괴에서 시행한 조직 검사상 비강 종괴와 동일한 양상의 비건락성 육아종이 발견되었다. 항결핵제 투약에도 불구하고 임상 증상의 호전이 없었고 비강과 결막 조직 검사에서 비건락성 육아종 소견이 동일하게 보여 최종적으로 유육종증으로 진단 할 수 있었다. 혈청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수치는 상승되어 있었다. 부신피질 호르몬 투여 이후 환자의 증상은 점차 개선되었다.

비중격 만곡증과 수포성 비갑개는 상악동 부피와 상악골 부비동염에 있어 관련성을 지니는가?: 후향적 연구 (Does Nasal Septal Deviation and Concha Bullosa Have Effect on Maxillary Sinus Volume and Maxillary Sinusitis?: A Retrospective Study)

  • 이주연;박상만;차승환;문진실;김명순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1권6호
    • /
    • pp.1377-1388
    • /
    • 2020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비중격 만곡증과 수포성 비갑개가 상악동 부피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만성 부비동염의 유병률과 관련성 여부를 분석해보는 것이다. 대상과 방법 이 연구는 2017년 1월부터 2년 동안 부비동 증상을 호소하며 본원 이비인후과를 내원한 환자 중 부비동 컴퓨터단층촬영술을 시행한 209명의 환자들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부비동의 부피 측정을 포함한 컴퓨터단층촬영술에 대한 판독은 1명의 영상의학과 의사가 2번 반복하여 시행하였고, 통계적 분석은 SAS 9.4를 사용되었다. 결과 상악동 부피는 우측, 좌측 모두 남자가 여자보다 의미 있게 컸다(p < 0.0001). 또한 수포성 비갑개는 비중격 만곡증의 오목한 부분에서 유의하게 많이 존재하였다(p < 0.0001). 그러나 비중격 만곡증이나 상악동 부비동염과의 관련성은 방향성을 나누어 분석했을 시 서로 유의하지 않았다(p = 0.8756). 또한 수포성 비갑개는 상악동 부비동염(p = 0.3401)이나 상악동 부피와(양측: p = 0.6289, 우측: p = 0.9522, 좌측: p = 0.9201) 연관성이 없었다. 결론 수포성 비갑개는 만곡된 비중격의 반대편에 주로 존재하였다. 그러나 해당 관련성 이외에는, 비중격 만곡증과 수포성 비갑개는 상악동의 부피나 부비동염과는 큰 연관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