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ngle subject research

검색결과 353건 처리시간 0.024초

Study on a Single-Dose Toxicity Test of D-Amino Acid Oxidase (DAAO) Extracts Injected into the Tail Vein of Rats

  • Kang, Jungue;Lee, Eun-Yong;Song, Bong-Keun;Lee, Seung-Deok;Yook, Tae-Han;Ahn, Seong-Hun;Son, Il-Hong;Kim, Sungchul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8-32
    • /
    • 2013
  • Objectiv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single-dose toxicity of D-amino acid oxidase (DAAO) extracts. Methods: All experiments were conducted at the Korea Testing & Research Institute (KTR), an institution authorized to perform non-clinical studies, under the regulations of Good Laboratory Practice (GLP). Sprague-Dawley rats were chosen for the pilot study. Doses of DAAO extracts, 0.1 to 0.3 cc, were administer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same doses of normal saline solution were administered to the control group. This study was conducted under the approval of the Institutional Animal Ethics Committee. Results: In all 4 groups, no deaths occurred, and the $LD_{50}$ of DAAO extracts administered by IV was over 0.3 ml/kg. No significant changes in the weight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were observed. To check for abnormalities in organs and tissues, we used microscopy to examine representative histological sections of each specified organ, the resul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ny organs or tissues. Conclusion: The above findings suggest that treatment with D-amino acid oxidase extracts is relatively safe. Further studies on this subject should be conducted to yield more concrete evidence.

뇌졸중 환자에게 불빛 자극이 편측무시 감소에 미치는 영향: 단일 사례 연구 (The Effect of Light Stimulation on the Reduction of Unilateral Neglect of Stroke Patients: Single Subject Research Design)

  • 이호승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61-69
    • /
    • 2012
  • 목적 : 본 연구는 편측 무시를 가진 뇌졸중 환자에게 불빛 자극을 주었을 때 편측 무시가 얼마나 완화되는지, 또 그러한 자극이 MVPT 구성 항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를 위하여 청주 성모병원에서 뇌졸중 진단을 받고 입원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 중 왼쪽 무시가 있으면서 연구방법을 이해하고 동의한 60세 남자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의 편측 무시정도는 MVPT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단일사례연구 방법 중 반전설계(ABAB설계)로 A는 기초선(baseline)을 설정하는 기간으로 5일 동안 동일한 시간과 장소에서 선 나누기 검사(line bisection)를 실시하고 B는 중재기간으로써 4일 동안 불빛 자극을 주기 전과 후, 각각 1회씩 선 나누기 검사를 실시한다. MVPT 구성 항목의 변화를 보기 위해 3회 실시 하였다. 결과 : 기초선 기간 중 선 나누기 검사의 평균값은 12.19mm 불빛 자극 후의 평균값은 9.15mm로 24%의 오류감소를 보였다. 두 번째 치료기간 중 불빛자극 후의 평균값은 6.37mm로 처음 치료기간보다 43%의 오류감소를 보였다. MVPT 점수는 반응 행동이 13개에서 18개로 증가하였고, 수행시간은 16.14초에서 7.52초로 향상되었다. 결론 : 본 연구 결과는 편측 무시를 가진 뇌졸중 환자에게 불빛 자극이 편측 무시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고 치료기간이 중첩되어 일어날수록 치료효과도 좋아 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불빛 자극이 MVPT 수행 시간 향상에 영향을 준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상호작용식 메트로놈(Interactive Metronome: IM) 훈련이 지적장애 아동의 집중력과 단기기억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Interactive Metronome on Short-term Memory and Attention for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 박아름;유두한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9-30
    • /
    • 2016
  • 목적 : 본 연구는 상호작용식 메트로놈(Interactive Metronome: IM) 훈련이 지적장애 아동의 집중력과 단기기억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지적장애로 진단 받은 아동 2명을 대상으로, 개별실험 연구방법(single-subject experimental research design)중 ABA 설계 사용하였다. 총 18회기로 매주 2회기씩 총 9주 진행하였다. 기초선 기간에는 IM 훈련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Electroencephalogram(EEG)를 부착하여 단축형 검사(short form test)로 뇌파를 측정하였으며, 대상자가 무작위(random)로 선택한 단기기억 과제로 측정을 실시하였다. 중재기 12회기는 IM 훈련을 40~50분간 실시한 후 단기기억 과제(shot-term memory test)를 측정 하였으며, 단축형 검사를 측정하였다. 재기초선 3회기에도 기초선 기간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결과 : 상호작용식 메트로놈 훈련 후 집중력의 향상과 뇌파에서 변화를 보였으며, 단기기억 과제에서도 향상된 결과를 보였다. 결론 : 상호작용식 메트로놈 훈련은 지적장애 아동에게 집중력과 단기기억력의 향상을 위한 중재방법으로 기대되며, 본 연구는 이를 위한 근거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형제그룹 감각통합치료가 전반적 발달장애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the Brotherhood Group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to Social Interaction of the Children With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 박지훈;김수경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1-31
    • /
    • 2012
  • 목적 : 본 연구는 형제그룹 감각통합치료가 전반적 발달장애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전반적 발달장애 진단을 받은 만 7~8세 아동 2명을 대상으로 2011년 7월부터 9월까지 총 8주간 형제그룹 감각통합치료를 실시하였다. 개별실험연구방법(single subject research design) 중 A-B-A' 설계를 사용하였으며, 기초선 A 3회기, 중재기 B 16회기, 기초선 A' 3회기로 총 22회기를 적용하였다. 사회적 상호작용의 질은 기초선 A와 A'기간에 ESI(Evaluation Social Interaction)를 통하여 측정하였다. 사회적 상호작용의 빈도는 기초선 기간에는 중재가 없는 상태에서 측정하였으며, 중재기간에는 매 중재 후 10분간의 자유놀이를 비디오로 촬영하여 등간기록법(interval recording)을 통해 측정하였다. 결과 : 대상 아동 모두에게서 중재 후 사회적 상호작용의 질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또한 매 회기 중재 후 실시한 자유놀이에서 대상 아동 모두 기초선 A의 평균과 2표준편차 밴드 이상인 값들이 두 개 이상 연속으로 나타나 사회적 상호작용의 빈도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다. 결론 : 형제그룹 감각통합치료가 전반적 발달장애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임상에서 전반적 발달장애 아동에게 사회적 상호작용 향상을 위한 치료방법으로써 형제그룹 감각통합치료를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CO-OP 적용이 ADHD 아동의 작업수행에 미치는 효과 : 예비연구 (Effect of the CO-OP Approach on Occupational Performance in ADHD : A Pilot Study)

  • 신민경;조은미
    • 재활치료과학
    • /
    • 제4권2호
    • /
    • pp.51-62
    • /
    • 2015
  • 목적 : 본 연구는 다양한 진단군에서 운동기술이 향상된 결과를 보여주는 CO-OP접근을 ADHD아동에게 적용하여 기술의 습득 및 변화를 살펴 본 후 ADHD아동에게 CO-OP접근의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자는 ADHD진단을 받고 유치원에 재학 중인 만 7세 2개월의 남아 1명으로 개별실험연구설계(single subject research design) 중 AB로 설계하여 5주간 10회기로 총 7주간 진행되었다. 보호자와 COPM을 통해 목표를 정하였으며 설정된 목표는 아동의 젓가락 질 향상이었다. 중재과정에서 CO-OP의 전반적인 과정을 설명하였고 젓가락질의 기술을 습득하게 하기 위해 수행에 대한 분석 및 실행을 지속하도록 하였으며, DSS를 가이드 하였다. 수행측정은 젓가락을 들고 시작과 동시에 콩이 담긴 접시에서 다른 접시로 콩을 집어 옮기는 시간으로 하였다. 결과 : 콩을 집는 시간은 중재 전 22.3초 걸렸지만 중재 후 15.1초로 7.2초 단축되었고 부모님의 COPM 점수는 수행도 3점, 만족도 4점의 향상을 보여 임상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가져왔다. 결론 : ADHD아동에게 CO-OP접근은 작업수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재방법이다.

지적 장애인의 직업능력 향상을 위한 보조공학 활용 연구 분석 : 단일대상 연구를 중심으로 (The Research Analysis About Assistive Technology Application for Vocational Ability Improvement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Centered Single Subject Design)

  • 박은영;김은주;김세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204-214
    • /
    • 2010
  • 본 연구는 지적장애인의 직업능력 향상을 위한 보조공학의 활용에 대한 국외의 단일대상연구 논문을 분석하여 지적장애인의 직업능력 향상을 위한 보조공학의 활용 연구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로써, 관련 단일대상연구 논문을 분석하여 연구의 특성, 연구방법의 내용, 연구 설계의 질적 수준을 알아보았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연구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실험환경은 분리된 환경에서의 연구가 대부분이었으며 중다간헐 설계가 대부분이었다; 둘째, 연구 방법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대상자의 선정기준에 대해서는 모든 논문에서 언급하였으나 대상자와 관련한 내용을 기술한 논문의 비율이 낮게 나타났다. 기초선 측정시의 행동통제방법과 외부변수 통제방법에 대한 기술의 빈도가 낮았다; 셋째, 연구 설계의 질적 수준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논문에서 독립변수를 측정하고 중재충실도를 제시하고 있으나 사회적 타당도를 제시한 논문의 비율은 낮게 나타났다. 직업재활 분야에서 보조공학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해서는 직업재활에 있어 보조공학의 활용이 근거기반의 실제라는 것에 대한 결과의 축적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연구방법의 내용이나 연구 설계의 질적 수준에 대한 보완이 필요할 것이라 생각된다.

Trade Facilitation for the Products of the Industry 4.0: The case of Customs Classification of Drone

  • Yi, Ji-Soo;Moon, So-Young
    • Journal of Korea Trade
    • /
    • 제23권8호
    • /
    • pp.110-131
    • /
    • 2019
  • Purpose - This paper investigates the implications for facilitating trade in the products of Industry 4.0. To identify the issues caused by the conflicts of policy objectives such as applying the tariff concession under the ITA and imposing the export control, by exploring the case of classification of drones. Design/methodology - We adopted a single case study method to g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complex and multifaceted issues of Customs classification in the context of facilitating trade in the products of Industry 4.0. This study employs the case of drones to explore how these issues of Customs classification affect trade facilitation. We ensured the internal validity of the study by confirming the pattern of the results with the existing theories. Findings - Our main findings can be summarised as follows: the intrinsic nature of the products that converge several technologies causes issues in the classification. The inconsistency in product classification delays customs clearance by hindering the Customs risk-management system that pinpoints products subject to controls. To address the issues, therefore, we proposed fundamental reforms of Customs to empower themselves with management roles. Facilitating trade in the products of Industry 4.0 requires more enhanced Customs capability. Therefore, the reforms should include comprehensive capacity-building activities, such as changes in staff-trainings, promotion system, organisation and culture. Customs also need roles in robust designing of cooperative systems to compensate for the lacks of controls and to ensure concrete risk management for expedited Customs procedures. As well, by equipping the Single Window of Customs with crucial control functions of other ministries, Customs need to support the cooperation. The role of harmonising various preaudits of other ministries with its own is another essential role that ensures predictability of clearance procedure. Originality/value - There are scanty studies in the field of knowledge about what obstacles exist and what solution is available in the course of transforming to 'Industry 4.0'. In filling out the gap of knowledge, this paper is of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it applies the research theory on trade facilitation for the specific cases of classification of the product of Industry 4.0 to verify its effectiveness and to extend the subject of the studies to the scope of Industry 4.0. It also has practical significance in that the results have provided implications for reforms of Customs procedures to facilitate trade in the products of Industry 4.0.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박자 맞추기 게임이 발달 지연 아동의 실행기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Beat-Keeping Game Through Smartphone Applications on Executive Function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 설예림;김진경;박소연;강대혁
    • 재활치료과학
    • /
    • 제11권3호
    • /
    • pp.81-92
    • /
    • 2022
  • 목적 : 본 연구는 발달 지연 아동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의 박자 맞추기 게임이 실행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발달 지연 아동 3명을 대상으로 개별 사례 연구 방법 (Single-subject experimental research design) 중 ABA설계를 사용하였다. 독립 변인은 박자 맞추기 게임으로, 노래가 나오는 화면을 보고 화면에서 나타나는 검은색 타일을 누르는 게임이다. 박자 맞추기 게임은 주 3회기, 휴식 시간 포함 20분 동안 총 7회기 진행하였다. 종속 변인은 박자 맞추기 게임이 대상자의 실행기능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매 회기 '시각운동속도'를 측정하였고, 중재 전·후에는 '아동 색 선로검사(Children's Color Trails Test: CCTT)'와 '토막짜기(Block design)', '숨은 그림 찾기(Finding hidden picture)'검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 연구 결과는 3명의 대상자 모두 독립 변인인 박자 맞추기 게임의 수행도가 향상되었고, 종속 변인인 '시각운동속도', '시각 주의력', 집중력의 실행기능도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결론 : 본 연구 결과, 박자 맞추기 게임이 발달 지연 아동의 실행기능 향상에 효과적인 중재 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기초로 학습에 대한 동기 부여가 어렵고 집중력이 부족한 발달 지연 아동을 대상으로 학습 및 중재에 효과적인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의 개발과 적용이 이루어지길 기대해 본다.

전정감각, 고유감각 중심의 감각통합중재가 발달장애 아동의 공간 지각력과 시-운동 협응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Vestibular-Proprioceptive Based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on Spatial Relations and Visual-Motor Coordination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강셋별;김수경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4-34
    • /
    • 2023
  • 목적 : 본 연구를 통하여 발달장애 아동에게 적용한 전정감각, 고유감각 중심의 감각통합 중재가 공간 지각력, 시-운동 협응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발달 장애 아동 만 5~6세 아동 3명을 대상으로 개별실험연구방법(single subject research design) 중 ABA' 설계를 사용하였다. 매주 3회기씩 6주간 30분씩 총 18회기를 진행하였다. 기초선 3회기와 재기초선 3회기는 중재 없이 공간 지각력과 시-운동 협응을 평가하였고 중재기 12회기는 전정감각, 고유감각 위주 감각통합 중재를 실시하였다. 중재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매회기 측정으로는 전산화 인지 프로그램(CoTras-C)을 이용하였으며, 공간지각력 평가를 위한 퍼즐하기, 시-운동 평가를 위한 미로 찾기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사전, 및 사후 평가는 카우프만 아동용 지능 검사(Kaufman Assessment Battery for Children; K-ABC II)와 한국판 시지각 발달 검사(Korean-Developmental Test of Visual Perception-2: K-DTVP-2)의 하위평가를 이용하였다. 결과 : 발달장애 아동에게 전정감각, 고유감각 중심의 감각통합중재를 적용하기 전보다 후에 공간지각력과 시-운동 협응력 점수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세 아동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 : 전정, 고유감각 중심의 감각통합 치료가 발달장애 아동의 공간지각력과 시-운동 협응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A Pilot Study on Single-dose Toxicity Testing of Scolopendrid Pharmacopuncture in Sprague-Dawley Rats

  • Son, Ilhong;Lee, Sangmi;Kim, Doho;Jeong, Hohyung;Cho, Seung-Hun;Lee, Eun-Yong;Lee, Seung-Deok;Ahn, Seong-Hun;Kim, Sungchul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57-66
    • /
    • 2014
  •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single dose toxicity and the lethal dose of Scolopendrid Pharmacopuncture in rats. Methods: All experiments were conducted at the Korea Testing & Research Institute (KTR), an institution authorized to perform non-clinical studies, under the regulations of Good Laboratory Practice (GLP). Sprague-Dawley rats were chosen for the pilot study. Doses of Scolopendrid pharmacopuncture, 0.1, 0.5, and 1.0 mL, were administer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1.0 mL doses of normal saline solution were administered to the control group. This study was conducted under the approval of the Institutional Animal Ethic Committee. Results: No deaths or abnormalities occurred in any of the groups. No significant changes in the weight, hematological parameters or clinical chemistry were noted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To check for abnormalities in organs and tissues, we used microscopy to examine representative histological sections of each specified organ; the resul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ny of the organs or tissues. Conclusion: The above findings suggest Scolopendrid Pharmacopuncture is a relatively safe to use for treatment. Further studies on the subject should be conducted to yield more concrete evid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