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nging Emotions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초

성악 발성에서의 레가토(Legato)에 대한 연구 (Study on Legato in Vocal Music Performance)

  • 루시아오조우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17-26
    • /
    • 2019
  • 본 연구는 성악 발성에서 나타나는 레가토(legato) 기법 연구를 통해 레가토에 영향을 미치는 3가지 요소를 분석하고 레가토 발성의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방법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사례분석법과 귀납대비법을 활용한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첫째, 성악가의 발성 기술 측면에서, 호흡 문제, 발음 문제, 음역대 문제를 해결한다면 원활하게 레가토에 이를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성악가의 레가토 발성 기술이 향상될 수 있다. 둘째, 성악가의 발성 언어의 측면에서, 성악 언어의 발음과 구조의 특징을 심도있게 분석하여 언어적 차원의 레가토를 이룰 수 있다면, 이를 통해 성악가가 발성 언어를 더욱 깊이 이해할 수 있다. 셋째, 성악가의 발성 감정의 측면에서, 사상과 정서의 두 방면에서 감정과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여 레가토에 이를 수 있다면, 이를 통해 작품에 대한 성악가의 이해도가 높아질 수 있다. 종합해보면 레가토는 성악가의 발성 기술, 발성 언어, 발성 감정에 따라 큰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를 통해 성악가들이 성악 발성에서의 레가토의 중요성을 심도있게 이해하여, 발성 과정에서 레가토를 더욱 효과적으로 활용하기를 기대한다.

음악요법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행동, 정서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Music Therapy on Cognitive Function, Behavior and Emotion of Dementia Elderly)

  • 심향미;정승희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591-600
    • /
    • 2001
  • Purpose: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effects of music therapy on the cognitive function, behavior, and emotions of elderly dementia patients, and to seek musical mediation for them.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patients in the Dementia Sanitarium in C City from March 13 to April 17. Method: The design of research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 and the subjects were 25 patients-15 of whom were in the experimental group with 10 in the control group. The music therapy consisted of favorite music listening in the morning, favorite music group singing activity after lunch, and relaxing music listening after dinner. The schedule was followed 6 days a week for 2 weeks for a total of thirty-six session. The effect of music therapy was measured by MMSE-K and the behavior and emotion measuring equipment which had been derived by the researcher. The verification of the effects is that the score of cognitive function, behavior, and emotions of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 which were measured after the therapy had been applied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d t - test using SPSS WIN program. Result: 1) The degree of cognitive funct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was received the music therapy is $11.53{\pm}5.37$ which is a little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which is $11.20{\pm}6.32$, but it i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t= .14, p= .887). The first hypothesis which had assumed the recepients would have had a higher cognitive function level than the other was rejected. 2) Behavior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that received the music therapy is $68.90{\pm}7.86$ which is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which is $66.40{\pm}11.13$, but it i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t= .61, p= .548). The second hypothesis which had assumed the recepients would have had a higher behavior level than the other was rejected. 3) Emotions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that received the music therapy is $42.13{\pm}5.04$ which is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which is $35.20{\pm}6.12$, and it is significant statistically(t=3..09, p= .009). The third hypothesis which assumed the recepients would have had a higher emotion level was supported. Conclusion: music therapy which is composed of listening to music and group singing activity is an effective strategy for improvement of the emotions of the dementia elderly. But, the effect of music therapy on the cognitive function and behavior of elderly dementia patients i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 PDF

The effect of Changbu-taryung on stress management: An outstanding chef on Changbu-taryung, Korean traditional music, Tae-yong Jeon is cook on YouTube (https://youtu.be/HKa8ds7PjKE)

  • Ko, Kyung-Ja
    • 셀메드
    • /
    • 제6권3호
    • /
    • pp.20.1-20.3
    • /
    • 2016
  • Changbu-taryung has long been known as a one of the best folksong in Korea. There had been no report for music therapy on stress managemen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debates that Changbu-taryung may has beneficial effect on stress management. As a wonderful food can make people recover of disease, listen to delightful music can be a healthy way of healing our emotions. People tend to listen to glad music when they want to progress their mood because peculiar qualities comprised in that music entertain us and promote emotional state. Tae-yong Jeon is a creative destroyer and an out-of-box singer on Changbu-taryung. He has a good command of melody and rhythm. And he was singing with diverse and sweet tunes. That is where he is at his strongest. He rejected the conventional singing that would confine him to particular skill. As if he does enjoy the pleasure of his own cooking. The author recommend you listen to delightful and shapeshifter music when you often feel stressed out. This article indicates that Changbu-taryung may have beneficial effect on stress management.

가정생활에서 마음이 자유로워지고 싶어하는 부정적인 모성콤플렉스를 지닌 여성의 모래놀이치료 사례연구 (A Case Study of Sandplay Therapy for a Woman with a Negative Mother Complex Who Wants to be Free From Family Life)

  • 심희옥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6권4호
    • /
    • pp.331-345
    • /
    • 2018
  • This study explored the sandplay therapy case of a woman with a negative mother complex who wants to be free from family life. The goal of the therapy was to make her free from family life by expressing repressed emotions for getting out of a negative mother complex under a free and protected space in sandplay therapy. Twenty-three therapy sessions were held. The client exhibited a singing woman in a gorgeous dress and things she wanted to do in the initial phase of therapy (1-4, forgotten myself). In the intermediate phase of therapy (5-15, differentiation and integration), she displayed the scenes of differentiation and integration by emotionally getting rid of a begging boy and making mandalas. In the final phase of therapy (16-23, recovered myself), she showed scenes of rebirth, upgrading and singing songs again in front of family members and many people. Through sandplay therapy in the free and protected space, this study showed the effectiveness of sandplay therapy since the client achieved individuation by showing rebirth, having a new personality.

뮤지컬 노래의 극과 음악 분석을 통한 조 에스틸 보컬 기법(EVT)의 적용과 실제 (Application and Practice of Estill Vocal Training (EVT) Through Theatrical and Musical Analysis of Musical Songs)

  • 이은혜;김유정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91-102
    • /
    • 2020
  • 본 연구는 뮤지컬 노래를 입체적이고 심도 있게 표현할 수 있는 발성기법을 적용하여 학술적 관점으로 분석하기 위함이다. 뮤지컬 노래를 부른다는 것은 단순히 음악적인 부분만으로 완성될 수 없으며, 장면과 인물의 정서 상태 등 다양한 부분의 분석이 수반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연구의 기준을 극 구조, 가사 분석, 음악 형식 및 다이내믹의 영역까지 다각적으로 분석하였다. 이후 최종적으로 배우가 극과 음악의 정서를 담아 노래를 가장 잘 표현 할 수 있는 에스틸 보이스 트레이닝 시스템발성기법을 탐색하고 적용하였다. 분석에 적용하고자 하는 EVT는 목소리의 여섯 가지의 음색을 <스피치, 쏩/크라이, 팔세토, 트웽, 오페라, 벨팅>으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6가지 소리 이외에 성대와 후두의 위치까지 적용하여 효과적으로 노래를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였다. 연구대상은 뮤지컬 <엘리자벳>의 '아무것도'이다. '아무것도'는 주인공 엘리자벳이 부르는 노래로, 고통의 정점에 있는 자신의 모습과 갈등을 표출한다. 이 노래는 음악적으로도 'G#3-Gb5'의 음역대를 소화해야 하므로 다양한 소리 기법과 성구전환 테크닉을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인물의 정서와 노래를 깊이 있게 구현하기 위해서는, 장면과 인물 분석 및 다양한 노래 테크닉이 조화롭게 적용 되어야 완성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기다림의 사설시조에 나타난 웃음의 해석 -'임이 오마 하거늘'을 중심으로- (The interpretation of Laughter in a Saseol-sijo about Waiting)

  • 송지언
    • 고전문학과교육
    • /
    • 제32호
    • /
    • pp.261-285
    • /
    • 2016
  • 사설시조는 연행의 맥락이 제거되고 나서도 여전히 현대의 독자들에게 재미를 준다. 이 연구는 부재한 임에 대한 간절한 기다림을 노래하면서도 과장이나 희화화를 통해 웃음을 유발하는 사설시조들에 주목하였다. 그리움과 웃음이라는 서로 모순된 정서를 묘사하는 이 사설시조들은 통일되지 않고 역동적으로 변화하는 인간의 내면을 반영한다. 갈망이 그리움을 만들고 또한 갈망이 그 그리움을 우스꽝스러운 것으로 만들기 때문에 결국 그리움과 웃음은 서로 충돌하지 않고 공존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연구는 모순적인 의미들이 공존하는 사설시조를 해석하기 위해 '기호학적 사각형'을 해석의 틀로 활용하였다. 그 결과 기다림을 노래한 사설시조들은 금지와 허가, 갈망과 염려, 노출과 은폐, 집중과 분산이라는 상반항들을 통해 해석할 수 있었다. 그리움에 웃음이 섞이는 사설시조들은 공통적으로 자아의 갈망과 세상의 금지 사이의 갈등을 바탕으로 삼고 있다. 갈망에 휩쓸리는 인간의 모습은 타인의 시선에서 볼 때 우스꽝스럽고 애처로워 보일 수도 있다. 그러나 인간은 내가 가진 약점과 내가 했던 실수를 반복하는 인간을 보고서 공감의 웃음을 짓는다. 결국 이것이 사설시조가 유발하는 인간에 대한 연민과 성찰의 웃음일 것이다.

공옥진 1인 창무극에서 무(舞)의 한국적 정서와 예술적 가치 분석 (In Gong Ok-jin's solo performance of Changmugeuk Analysis of the Korean sentiments and artistic values of the choreography)

  • 김지원
    • 공연문화연구
    • /
    • 제20호
    • /
    • pp.63-94
    • /
    • 2010
  • 아직 학계에서는 공옥진의 춤 인생에 관해 춤의 예술적 가치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진하다. 그녀의 인생은 타고난 예인의 집안에서 나고 자란 소질과 풍부한 감성, 각설이패시절과 유랑예인집단에서의 걸립 공연 당시의 애환, 창무극 활동기에 겪었던 <병신춤>의 위기와 극복, <동물춤>으로의 전환, 그리고 투병생활을 하며 망가진 몸을 극복하며 <환자춤>이라는 공연을 하기까지 삶은 그리 관대하지 않았다. 하지만 그녀의 삶의 질곡은 늘 예술적 발로가 되었고, 예술은 그녀가 살아가기 위한 위안이자 큰 원동력으로 작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예로부터 악가무(樂歌舞) 일체 형식이란 우리민족 고유 예술의 특성에 있어 무(舞)는 음악과 노래의 비중에 비해 다소 부차적인 몸짓 예술로서 존재한 것만은 사실이다. 공옥진의 창무극에서 해학적인 재담과 판소리에 이어 독창적인 춤사위는 몸짓 행위하나하나에 무엇보다 집중하고 있다. 무엇을 전달하고자 그리도 원초적인 애를 쓰는지, 말보다 앞선 제스처와 끊임없이 이어지는 연기에는 무엇보다 춤이라는 의미를 각인시키며 춤의 의미를 다시한번 생각하게 한다. 특히 공옥진의 <병신춤>이라 부르는 춤은 역사상 유례가 없는 것으로, 무엇이 한국인의 정서에 부합되어 몸짓언어로 발화되며 예술적 가치를 지니는지에 대해서는 우리의 원초적인 정서를 공감하지 않고서는 이해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옥진 1인 창무극에서 무(舞)의 독창적인 형태를 고찰해보고 한국적 소재와 전통의 계승방식에 있어서 우리전통춤의 독자적인 정서가치를 나름대로 정리하는 수준에서 연구해 본 것이다.

중환자 보호자의 불안 감소를 위한 단회기 노래중심 음악치료 적용 예비연구 (Pilot Study of Single Session Song-Based Music Therapy for Decreasing ICU Caregiver Anxiety)

  • 정유선;나성원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6권1호
    • /
    • pp.25-46
    • /
    • 2019
  • 본 연구는 중환자 보호자의 불안 감소를 위해 단회기 노래중심 음악치료를 적용한 예비연구로, 총 6명의 중환자 보호자가 음악치료 세션에 참여하였다. 노래중심 음악치료 중재는 초반에 대상자의 현재 정서 상태를 확인하고, 신체적 이완촉진 및 심리적 저항감을 줄이기 위한 음악듣기 혹은 음악에 맞추어 악기(톤차임)를 연주하는 단계를 진행하였고, 이후 노래중심 활동에서는 노래 가사에 대해서 토의하고 실제로 노래를 부르는 과정이 진행되었다. 가사에 대해 토의하면서 대상자가 자신에게 의미 있는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고, 노래부르기 동안에는 연구자가 대상자의 정서 상태에 따라 음악 요소(템포, 다이내믹, 리듬, 화성 등)를 조정하며 제공하는 반주에 맞춰 선택된 노래를 부르도록 하였다. 대상자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참여 전후로 상태불안 척도(STAI) 및 정서 상태에 대한 VAS 척도를 측정하였으며, 중재 과정에서 관찰된 대상자의 언어 반응 역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중재 후 대상자들의 STAI 점수가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상자들이 지각하는 정적 정서상태는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단회기 치료과정에서의 심리적 변화에는 개인적 편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단회기 노래중심 음악치료가 중환자 보호자의 불안을 포함한 심리정서적 필요에 효과적으로 개입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방임된 아동의 공격성과 분노 감소를 위한 분노조절 음악 프로그램 연구 (A study on the Anger-Control Music Program for Decrease in Aggressiveness and Anger of Neglected Children)

  • 이주영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5권2호
    • /
    • pp.17-39
    • /
    • 2008
  • 본 연구는 방임된 아동의 공격성과 분노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방임된 아동 4명을 대상으로 분노조절 음악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은 주 2회, 30분씩 총 15회기로 진행되었다. 분노조절 음악 프로그램은 분노조절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하여 본 연구자가 각 단계별 목표에 따라 노래 만들기, 악기 연주 등의 음악활동으로 재구성하였다. 대상자의 공격성과 분노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척도 검사를 통한 양적인 자료와 음악활동에서 보인 대상자의 행동을 분석한 질적인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자료를 분석한 결과, 분노조절 음악 프로그램에 참여한 방임아동의 공격성과 분노는 모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들이 음악 활동에서 보인 공격성과 분노표현도 아동의 음악행동을 관찰하여 분석한 결과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음악활동을 통해 불안정도가 높고 심리적으로 위축되어 있는 방임 아동들이 자신의 분노 감정을 안전하게 표현하여 해결할 수 있었음을 의미한다.

  • PDF

유아들에게 있어서 '음악하기'의 의미 -통합 음악 활동을 중심으로- (Meaning of 'Musicing' to the Children -Centered on Comprehensive Musical Activities-)

  • 김수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527-538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들의 통합 음악활동 중에 나타나는 음악적 경험을 바탕으로 유아들에게 있어 '음악하기'의 진정한 의미를 질적 연구방법으로 고찰해 봄으로써 유아음악교육이 지향해야 할 방향의 모색과 질적으로 보다 우수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2011년 9월 5일부터 11월 25일까지 진행되었으며, D시에 소재하고 있는 S 어린이집 만 4세 햇님반 유아 15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참여 관찰 내용은 현장 기록으로 작성하여 자료화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유아들의 음악적 경험의 범주-노래 부르기, 음악듣기, 신체표현하기, 리듬 및 박자 익히기, 악기 연주하기-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들에게 있어 '음악하기'의 의미는 '움직임 만들기'와 '따라 하기'를 통한 마음의 주고받기', '즐겁고 기대되는 놀이', '악기는 곧 놀잇감', 그리고 '진짜로서의 '나'를 찾아가기'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