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nging

검색결과 319건 처리시간 0.034초

전자 드럼 연주 시 노래부르기 유무에 따른 만성 뇌졸중 환자의 피로도 및 운동 수행력 비교 (The Level of Fatigue and Motor Performance During Drum Playing Depending on Co-Presence of Singing Tasks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 김현지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4권2호
    • /
    • pp.71-90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악기연주 시 동반되는 노래부르기 과제의 유무에 따라 피로도 및 운동 수행력이 달라지는지 비교함으로써 뇌졸중 환자의 신체 재활 시 활용 가능한 악기연주 및 노래부르기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시 소재 노인 복지관과 주간보호센터를 이용하고 있는 12명의 만성 뇌졸중 환자로, 실험 집단과 비교 집단에 각각 6명씩 무작위 배정하였다. 연구 진행 시 2회기에 걸쳐 실험 집단은 전자 드럼 연주와 함께 노래부르기를, 비교 집단은 전자 드럼 연주만을 수행하였으며, 각 집단에 따라 피로도, 운동자각도, 활동 참여도, 드럼 타력값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전자 드럼 연주와 함께 노래부르기를 한 실험 집단이 전자 드럼 연주만 실시한 비교 집단에 비해 피로도와 운동자각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전자 드럼 연주와 노래부르기를 복합 과제로 제시하였을 때 활동 참여도 역시 높게 나타남에 따라 향후 이를 사용한 음악치료 중재 시 뇌졸중 환자의 상지 운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나타냈다.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 운동 시 동반되는 노래부르기가 신체 운동에 대한 주의를 노래부르기로 전환시키고 참여 동기를 증진시켜 지속적인 움직임 유도 시에도 피로도 또는 운동자각도를 감소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신체 재활 시 반복적인 운동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운동 수행력을 높일 수 있는 복합적인 치료적 개입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성인지적장애인의 노래부르기 시 음도산출 특성: 합창경험 유무에 따른 비교 (Comparison of the Singing Pitch Characteristics in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Based on Their Choir Experience)

  • 김은진;김수지
    • 재활복지
    • /
    • 제21권3호
    • /
    • pp.165-186
    • /
    • 2017
  • 본 연구는 성인지적장애인의 노래부르기 시 음도산출 특성을 알아보고 이를 대상자의 합창경험 유무에 따라 비교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모두 남성으로 장애인 합창단에서 활동하고 있는 12명과 장애기관을 이용하고 있으며 합창경험이 없는 9명의 성인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음도산출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Praat을 사용하여 편안한 음역대에서 <생일 축하> 노래를 부르도록 하여 녹음하였고, 음도 도약이 포함된 특정구간('합니다-사랑하는')을 발췌하여 음절별 개별 산출음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합창단원 그룹의 경우 음역대가 넓고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저음과 최고음에서는 모두 합창단원 그룹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생일 축하> 노래 중 구간에서의 개별 음절별 산출음도를 분석한 결과, 기대음도와 실제 산출음도 간 차이가 있었으며, 합창단원 그룹의 음도산출정확도가 모든 음절에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음절 '다'와 '하' 완전 5도, 완전 8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대적 음도산출치의 경우, 음절 '니','다', '하', 완전5도, 완전 4도, 완전 8도에서 집단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합창단원 그룹의 음도산출 정확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선율윤곽의 경우 개인이 부른 멜로디의 음도가 얼마나 기대음도에 유사하게 진행되는지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합창단원의 경우 음도산출 정확도의 수준에 관계없이 기대되는 선율진행의 윤곽과 유사한 형태로 나타났다. 이처럼 합창단원 그룹의 확장된 음역대와 음도산출 정확도는 일정수준의 노래 부르기 지속 시 음도 훈련이 가능함을 보여주는 결과로 볼 수 있으며, 향후 성인지적장애인의 노래 부르기 능력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가수 음성에 대한 언어재활사의 관점 (The SLP's Perspectives for the Vocal Elites and Singing Voice)

  • 유재연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1-13
    • /
    • 2017
  • This article addresses the roles of the speech language pathologist (SLP) for singers who require prompt and effective treatment when a voice problem arises. The causes of voice problem are often vocal abuse/misuse/overuse, muscle tension dysphonia and inappropriate singing technique. The SLP should conduct voice counseling and voice assessment for maintaining healthy voice of singer constantly.

  • PDF

호흡훈련보조기구를 이용한 호흡훈련 전 후의 폐기능 호흡근력과 최대발성지속시간의 변화 (Pulmonary Functionn and the Maximal Inspiratory and Expiratory Pressure, and Maximum Phonation Time Before and After the Specially Programmed Training)

  • 남도현;최홍식;안철민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88-93
    • /
    • 2003
  • 성악훈련을 받고있는 여학생들은 호흡훈련과 호흡훈련 보조기구를 이용하여 훈련을 하면서 발성연습을 하면 최대호기압과 최대흡기압이 증가하여 호흡근육의 근력이 증가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나 호흡기능에는 변화가 없어 호흡훈련에 의해 폐기능이 증진되지는 않는다는 결론을 얻게 되었다. 최대발성지속시간 역시 크게 증가하여 성악을 공부하는 학생들이 이 방법대로 훈련을 하는 것이 효과적이지 않을까 추정된다.

  • PDF

The effect of Yukjabaegi (six bit song) on overcoming grief through empathy sung by Hyang-ryun An pepped us up on YouTube (https://youtu.be/04RRMyOGW90)

  • Ko, Kyung Ja;Hwang, Sung Yeoun
    • 셀메드
    • /
    • 제6권4호
    • /
    • pp.26.1-26.3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rgue that Korean music, Yukjabaegi (six-bit songs), helps us overcome grief. It is not untrue to say that Yukjabaegi is among the greatest types of music in Korea. This is a testament to the prominence of this statue among Han Ak (Korean music, 韓樂). Empathy is an inherent human quality involving all parts of the brain which is also linked to feelings of love. Empathy is created the moment we imagine ourselves in someone else's situation. Moreover, if empathy is good for us, the generation of empathy may actually mobilize our strength. Koreans have superior strength in overcoming grief and difficult situations by singing together. Often Koreans feel that their lives and labors are difficult, they start singing Yukjabaegi because they consider grief and anxiety wear on a person more than hard work. Listening to and singing Yukjabaegi can cheer up people who feel as limp as a rag after hard labor. Tackling reality and venting the experience via creative expression is bound to be healthy. Under a change of the rhythm pattern, Yukjabaegi thus becomes a major form of amusement for those suffering from difficult situations and comes as a true friend to share in our grief with us. Singing together via Yukjabaegi is a time to share grief. Thus, this, author believes that it is related to empathy. It helps us overcome grief by means of music therapy.

소리곤충을 이용한 체험학습프로그램의 학습효과 (Effects of experience-based learning program using singing insects)

  • 김소윤;김성현;정종철;이광범;김남정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14-118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소리곤충인 왕귀뚜라미를 이용한 체험학습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초등학생에게 적용함으로써 학습성취도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서대문자연사박물관에서 운영 중인 교육프로그램을 신청한 초등학교 2-3학년생 123명이었다. 총 7회에 걸쳐 동일한 검사지를 통해 사전 및 사후 학습 성취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학습 성취도는 사전검사보다 사후검사결과에서 평균점수가 높게 나왔으며, 대응표본 t-test 결과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소리곤충을 이용한 체험학습프로그램의 적용은 학생들의 학습 성취도를 향상 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교육현장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체험학습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가능해져 보다 체계적인 프로그램이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미디어를 활용한 노래 부르기 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청취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inging Music Activities Using Media as on Audiation of Early Children)

  • 안경숙;김정주;임수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485-495
    • /
    • 2010
  • 본 연구는 미디어를 활용한 노래 부르기 음악활동을 제공하여 교수매체로서 미디어를 활용하는 것이 유아의 음악적 청취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음악교육의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G시에 소재하고 있는 어린이집의 만 5세 유아 39명을 실험집단 20명, 비교집단 19명으로 나누어, 실험집단에 는 음악적 개념을 담은 여러 미디어를 활용한 노래 부르기 음악활동을, 비교집단에는 일반적으로 이루어 지는 가사 중심의 새 노래 부르기 활동을 각 12주에 걸쳐 진행하였다. 음악적 청취력 검사 후 사전점수를 공변인으로 하고 사후점수를 종속변인으로 하는 공분산분석을 실시하고,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사전 사후 검사 점수에 대한 대응표본 t-검증을 하였다. 연구결과, 미디어를 활용한 노래 부르기 음악활동은 유아들의 음악적 청취력 전체 및 하위요인인 음감과 리듬감의 향상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들을 대상으로 음악교육을 할 때 음악적 개념을 담은 다양한 미디어를 활용하는 것이 필요함을 제언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성악도들의 음성관리 및 성대화상술상의 문제점과 발성에 대한 음향분석학적 특징 (Problems of Strobovideolarygoscopic Findings and Usual Voice Management of Vocal Major Students, and Acoustic Characteristics of Singing Voice)

  • 진성민;김대영;반재호;이상혁;송윤경;권기환;이경철;이용배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43-49
    • /
    • 1999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stematically analyze and compare e acoustic sound structure of vocal major student's singing voice. Materials and Methods : The nineteen vocal major students were the subject group and healthy nineteen females were the control group for this study. The subject group was taken a strobovideolaryngoscopy by the use of flexible nasopharyngoscopy. And acoustic analysis was taken between two groups. Additionally the inquiry on usual voice problems and management was performed by thirty-six vocal major students. Results : The subject group presents many functional voice disorder findings such as AP contraction(44%), phase difference(36%) tremor(25%), posterior gap(17%), hyperadduction of vestibular fold(6%), and anterior gap(3%) on strobovideolaryngoscopy. And the vocal major students did reveal an enhanced number of high frequency harmonic partials when singing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the narrow band spectrum study.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jitter, shimmer and noise to harmonic ratio in both groups. Almost all vocal major students present a lot of voice problems in singing such as loss of high note(17%), loss of quiet voice(17%), effortful and tired voice(36%) etc on inquiry. And they always effort to prevent vocal dysfunction by the use of various type of method such as voice rest(28%), hydration(28%), gargling with salt(11%) etc. Conclusions : The vocal major students always take care of maintaining a good voice condition, but a lot of vocal major students revealed abnormal strobovideolaryngoscopic findings and they are absent in the conception of systemic and scientific voice management. Therefore, the young singers need a good voice training and voice therapy Program under the good ralationship of laryngologist and voice training teacher.

  • PDF

성대결절이 있는 성악도에서의 음성분석학적 특징 (Acoustic Characteristics of the Vocal Major Students with Vocal Nodule)

  • 진성민;김대영;김남훈;권기환;이경철;이용배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35-139
    • /
    • 1999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stematically analyze and compare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of vocal major students with vocal nodule when singing. Materials and Methods : Ten sopranos with vocal nodule, who have never been treated due to voice problems, were the subject group. Twenty healthy sopranos major students were the control group for this study. The vocal nodule was confirmed by stroboscopy and the acoustic and electroglottographic analysis was conducted on be groups. Additionally, an inquiry on usual voice problems during speaking and singing were performed on each of the groups. Results : The vowel /a/ was spoken and sung by sopranos of each 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Fo, jitter, shimmer, NHR at speaking and singing in either group. We did not register any significant differences of closed quotient and speed quotient in electroglottography for both groups at singing, but speed quotient was increased in subject group at speaking(p<0.05). And the sopranos with nodule demonstrated voice fatigue(70%), strained and tired voice after long period of performance and conversation(60%) on inquiry. Conclusions : Although they had a vocal nodule, this group, who had a long period of voice training, did not present any differences in acoustic and electroglottographic problems during short performance, but, the vocalists noticed delicate voice problems after a long performance. We conclude that the voice training teacher and laryngologist must initiate voice management and speech therapy for vocal nodule, even if there is no specific abnormality in acoustic analysis.

  • PDF

조선조 외연(外宴)의 성악정계, "가자(歌者)" (A Singing Visitors Activity at Royal Banquet in Chosun Dynasty)

  • 신경숙
    • 한국시조학회지:시조학논총
    • /
    • 제23집
    • /
    • pp.189-212
    • /
    • 2005
  • 19세기 궁중 연향의 외연에는 성악정재 ${\ulcorner}$가자(歌者)${\lrcorner}$가 있었다. ${\ulcorner}$가자${\lrcorner}$는 남성가객에 의해, 장시간동안, 여러 곡의 우리말 가요가, 참여자들이 음식을 나누는 동안 공연되었다. 이러한 정재 ${\ulcorner}$가자${\lrcorner}$가 19세기 이전에도 있었는가를 살피는 것이 본고의 목표이다. 논의의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었다. 1) 조선 전기 의례서인 ${\ulcorner}$국조오례의${\lrcorner}$의 외연들에서 정계 ${\ulcorner}$가자${\lrcorner}$의 공연이 확인되었다. 2) 조선후기 의례서인 ${\ulcorner}$h국조속오례의${\lrcorner}$의 외연들에서 정재 ${\ulcorner}$가자${\lrcorner}$의 공연이 확인되었다. 3) 어느 경우나 공연 절차, 공연방식이 동일했다. 4) 이로써 정재 ${\ulcorner}$가자${\lrcorner}$는 조선조 내내 공연되었음이 확인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