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nging

검색결과 319건 처리시간 0.021초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대상 실시간 비대면 상호적 노래부르기 프로그램 실행 가능성: COVID-19에 따른 새로운 접근 (Feasibility of Synchronous Videoconferencing Interactive Singing Program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During COVID-19)

  • 유가을;임주연;하은진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8권1호
    • /
    • pp.29-62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COVID-19 상황에서 자폐스펙트럼장애(ASD) 아동 대상 상호적 노래부르기 중심 실시간 비대면 프로그램의 실행 가능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총 4단계로 연구가 진행되었는데, 1단계에서는 선행 문헌 고찰을 통해 상호적 노래부르기 과제의 범위를 분석하였고, 분석된 과제를 토대로 2단계에서는 노래부르기 과제 및 반주 유형에 따라 실시간 온라인으로 송출되는 소리가 지각되는 수준이 다른지 비교하였다. 또한 3단계에서는 다양한 자원의 확장, 다양한 맥락에서의 언어/노래 자원 적용, 상호적 구조 안에서의 자발적 표현 시도의 단계로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최종 구성된 프로그램은 4단계에서 평균 연령 9.3세의 ASD 아동 3명에게 30분씩 주 2회, 총 4회 동안 시행되었다. 회기가 지날수록 대상자들의 프로그램 참여 행동과 노래부르기 행동 모두 증가하였고, 보호자들은 프로그램의 적용 가능성에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다만, 참여 행동의 변화 양상이나 참여 유도를 위한 전략 등에 있어서는 대상자간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실시간 비대면 상호적 노래부르기 프로그램이 ASD 아동에게 실행 가능함을 보여주지만, 비대면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과제와 음악의 유형, 보다 많은 치료적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아동의 특성이 다를 수 있음도 시사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비대면 음악치료 프로그램 실행 방향과 고려사항에 대해 제안하였다.

자가음성 모니터링을 응용한 가창 프로그램이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억양과 음고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 singing program using self-voice monitoring on the intonation and pitch production change for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 김성경;김수지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2권1호
    • /
    • pp.75-83
    • /
    • 2020
  • 본 연구는 인공와우아동을 대상으로 자가음성 모니터링(self-voice monitoring)을 응용한 가창 프로그램을 시행하여 억양의 개선과 음고 산출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자는 모집된 19명의 아동 중 참여기준을 충족하고 본인 및 보호자가 자발적인 참여 의사를 표현한 7명이 최종으로 선정되었다. 연구자는 CI 집단과 비교하기 위하여 같은 연령의 건청 아동 6명을 모집하였다. 자가음성 모니터링을 응용한 가창은 노래를 녹음하여 들어보고(listen), 음성의 음고 진행방향과 숨쉬기 구간 및 음질을 확인한(explore) 다음, 목소리를 수정하여 의도한 대로 재산출하는(reproduce) 세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데이터는 문장과 노래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문장은 발화시간과 억양 기울기 및 산출 음고의 주파수 변화, 노래는 프레이즈(phrase) 구간 내 평균 음고의 주파수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선율윤곽과 산출 주파수 범위를 측정한 후 건청집단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문장 분석에서 인공와우 아동 집단의 사후검사 시 의문문의 문미 2음절의 억양 기울기 및 패턴이 건청 아동과 같이 상행하는 윤곽으로 변화되었으며, 노래 데이터에서는 음고의 도약 및 산출 음고의 주파수 범위가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인공와우 아동을 대상으로 한 자가음성 모니터링을 응용한 가창 프로그램이 억양의 개선과 음고 산출 정확도의 효과적인 중재방안이 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몽골 전통 발성 흐미의 발성 방법 분석에 대한 사례연구 (Analysis of Singing Technique of Mongolian Traditional Singing Called Khoomei)

  • 남도현;백재연;황연신;최홍식
    • 음성과학
    • /
    • 제15권3호
    • /
    • pp.145-156
    • /
    • 2008
  •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coustic and physiologic characteristics of two phonation types of 'Khoomei' which is a traditional singing style of people who live around the Altai mountains or Mongolia region. It can be produced two pitches simultaneously - high melody pitch can be perceived along with a low drone pitch. Sygyt and kargyraa styles are the most popular and identifiable styles and they can be recognized as the different sounds depending on the method of voice production. Two trained Mongolians participated and have used at least 5 - 6 years. The characteristics of this voice production were measured by using flexible fiberscope, Stroboscopy, Lx Speech studio, Spead, and Doctor Speech. In Sygyt style, very high vocal fold closure (71.50%) with both true and false vocal folds contact and strong breathing support was observed. They also showed that tongue height and harmonics were increased (around 10dB) with resonance cavity movement. In contrast, it was found that Kargyraa sound had very low pitch with relaxed stomach, less laryngeal tension and lower vocal fold contact (69.50%) than hard Sygyt style sound without raising the tongue during phonation. 'Khoomei' phonation can be made by strong contact of both true and false vocal folds and by increasing the harmonics as well.

  • PDF

Acoustic Analyses of Vocal Vibrato of Korean Singers

  • Yoo, Jae-Yeon;Jeong, Ok-Ran;Kwon, Do-Ha
    • 음성과학
    • /
    • 제12권1호
    • /
    • pp.37-43
    • /
    • 2005
  • The phenomenon of vocal vibrato may be regarded as an acoustic representation of one of the most rapid and continuous changes in pitch and intensity that the human vocal mechanism is capable of producing. Singers are likely to use vibrato effectively to enrich their voi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acoustic measurements (vF0 and vAm) of 45 subjects (15 trot and 15 ballad singers and 15 non-singers) and to compare acoustic measurements of the vowel /a/ produced by 3 groups on 2 voice sampling conditions (prolongation and singing of /a/). Thirty singers of trot and ballad were selected by a producer and a concert director working for the KBS (Korean Broadcasting System). The MDVP was used to measure the acoustic parameters. A two-way MANOVA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3 groups in vF0 and vAm in prolongation of /a/, but in singing voic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3 groups in vF0 and vAm. Secondly, there was an interaction between music genre and voice sampling condition in vF0, and vAm. Finally, trot singers sing with more vibrato than ballad singers. It was concluded that it is very important to analyze singers' voice including various voice conditions (prolongation, reading, conversation, and singing) and to identify differences of singing voice characteristics among music genre.

  • PDF

성악과 실용음악 보컬 전공 대학생들의 주관적 음성평가 비교 예비연구 (Preliminary Study for Comparison of Subjective Voice Evaluations among Vocal and Applied Music Major Students)

  • 이다혜;황영진;김재옥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6권2호
    • /
    • pp.37-45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the Korean Singing Voice Handicap Index (K-SVHI) was suitable for singers in other genres than vocal music to assess their vocal problems subjectively. Twenty six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vocal music and twenty six students majoring in applied music were included in the study. They were divided into G0 and G1 in voice quality using the GRBAS scale during the tasks of singing. K-SVHI was divided into three sub-areas (Physical, Functional, and Emotional). In the singing task, both group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K-SVHI scores by G scale. In the reading task, the vocal music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K-SVHI in G0 than in G1 in K-SVHIs by G scale, while the applied vocal music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K-SVHI in G1 than in G0. Also, the two group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G0, G1 in the singing task while the vocal music group showed higher K-SVHI than the applied vocal music group in G0 in the reading task. In addition, the vocal music group had higher K-SVHI than the applied vocal music group in G1 in both tasks. As comparing by groups in three sub-areas of K-SVHI,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Emotional and Functional area. Those results showed that singers felt their voice problems differently by musical genres, which means that K-SVHI may not be a proper tool for evaluating voice handicap of singers in diverse voice music genres.

수중 프로펠러 명음 현상의 규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dentification of underwater propeller singing phenomenon)

  • 김태형;이형석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92-98
    • /
    • 2018
  • 본 논문은 모형 프로펠러를 대상으로 공동수조 시험, 수중 충격시험, 유한요소해석 및 전산유체해석에 기반하여 수행한 명음 발생 메커니즘 연구이다. 선미 유동을 모사하기 위해 반류망, 프로펠러 및 방향타를 설치하고 수중청음기와 가속도계로 프로펠러 명음 현상의 발생과 소멸을 계측하였다.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프로펠러 날개의 고유진동수를 예측하고 접촉 및 비접촉식 충격시험으로 이를 검증하였다. RANS(Reynolds Averaged Navier-Stokes) 방정식 기반 전산유체해석을 통하여 프로펠러 날개 각 단면의 유속과 유효 받음각을 계산하였으며, DES(Detached Eddy Simulation) 기반 고해상도 해석을 통해 명음 발생 위치에서 2-D 날개 단면 뒷전의 와류흘림주파수(vortex shedding frequency) 계산을 수행하였다. 수치적으로 예측된 와류흘림주파수는 모형시험으로 계측한 명음 발생 주파수 및 날개 고유진동수와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A Design of Matching Engine for a Practical Query-by-Singing/Humming System with Polyphonic Recordings

  • Lee, Seok-Pil;Yoo, Hoon;Jang, Dalwon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8권2호
    • /
    • pp.723-736
    • /
    • 2014
  • This paper proposes a matching engine for a query-by-singing/humming (QbSH) system with polyphonic music files like MP3 files. The pitch sequences extracted from polyphonic recordings may be distorted. So we use chroma-scale representation, pre-processing, compensation, and asymmetric dynamic time warping to reduce the influence of the distortions. From the experiment with 28 hour music DB, the performance of our QbSH system based on polyphonic database is very promising in comparison with the published QbSH system based on monophonic database. It shows 0.725 in MRR(Mean Reciprocal Rank). Our matching engine can be used for the QbSH system based on MIDI DB also and that performance was verified by MIREX 2011.

전문적 음성 사용자들의 음성에 대한 음향학적 비교 분석 연구 (Acoustic Anlaysis of Voices in Professional Voice Users)

  • 노동우;백은아;황보명;정옥란
    • 대한음성학회지:말소리
    • /
    • 제44호
    • /
    • pp.47-59
    • /
    • 2002
  • Mean F0, Jitter, Shimmer, and NHR were measured in 21 opera singers, 13 Korean traditional 'pansori' singers, and 21 non-singers. Four voice sampling conditions were ordinary /α/ prolongation, /α/ prolongation using vocal technique as if the subjects were singing, oral reading of the words of a song, and singing. One-way ANOVA and Sheffe post-hoc analysis were used to identif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The mean F0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3 groups in all conditions except for the ordinary /α/ prolongation condition. The opera singers produced lower jitter and NHR compared to 'pansori' singers and non-singers only in the singing condition.

  • PDF

음정 모방 중심 노래부르기를 통한 인공와우이식아동의 음고 산출 정확도 향상 사례 (Interval-Based Singing Program for Improving the Accuracy of Pitch Production in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A Case Study)

  • 김효진;정현주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4권1호
    • /
    • pp.1-16
    • /
    • 2017
  • 본 연구는 음정 모방 중심 노래부르기 프로그램이 인공와우이식아동의 음고 산출 정확도 및 음고 범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시행한 사례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만 5세의 인공와우이식아동 3명을 대상으로 음정 모방 중심 노래부르기 프로그램이 실시되었고 회기 당 35분, 주 2-3회씩 총 12회기의 개별 세션이 진행되었다. 음정 모방 중심 노래부르기 프로그램 동안 3도, 5도, 8도의 목표 음정을 중심으로 음고 변별 - 음고 모방 - 목표 음고를 포함한 노래부르기 활동이 단계적으로 시행되었고, 프로그램 전후에는 음고 모방 및 노래 내 음고 산출의 정확도 변화가 측정되었다. 연구 결과, 3명의 아동 모두 프로그램 참여 후 제시된 음고를 산출하는 정확도가 증가하고 노래부르기 시 산출된 음고가 기대 음고에 유사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산출 가능한 음고의 범위가 확장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인공와우이식아동의 음정 지각 특성을 반영한 단계적 접근과 다감각적 환경에서의 체계적 음악 정보 처리가 학령 전기 인공와우이식아동의 음고 산출을 효과적으로 이끌어낼 수 있음을 보여준다. 더 나아가 본 연구는 음악 지각이나 인공와우이식성인 대상군에 초점이 맞추어졌던 연구 영역을 확장시키고, 학령 전기 인공와우이식아동의 음고 산출 능력 향상을 위해 적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안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저소득층 가정 아동의 위축행동 감소를 위한 가창 프로그램 연구 (A Study of a Singing Program for Decreasing Withdrawal Behaviors of Children in Low-Income Families)

  • 김수희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6권1호
    • /
    • pp.33-53
    • /
    • 2009
  • 본 연구는 가창 프로그램이 저소득층 가정 아동의 위축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본 실험연구로 교사에게 추천 받은 서울 소재 S 지역아동센터에 다니고 있는 위축행동 아동 5명에게 가창 프로그램을 한 회기 60분씩 총 10회기 실시하였다. 양적 측정을 위해 아동에게는 K-CBCL의 자기보고형 위축척도 검사를, 교사에게는 K-CBCL의 교사 평가 위축척도 검사를 실시하여 대상자들의 위축행동 변화를 살펴보았고 그 외 위축관련 행동인 목소리 사용 변화와 자기표현 변화 그리고 눈맞춤 횟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매 회기 녹화된 비디오를 분석하고 이를 기록하였다. 그 결과 K-CBCL의 자기보고형 위축척도 점수는 6.4점 감소하였고, Wilcoxon 비모수 검정 결과 유의수준 .042(p < .05)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또 K-CBCL의 교사 평가 위축척도 점수는 3.6점 감소하였고, Wilcoxon 비모수 검정 결과 역시 유의수준 .042(p < .05)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또 대상자들이 가창 활동 안에서 보인 위축관련 행동인 목소리 사용과 자기표현 변화, 그리고 눈맞춤 횟수를 비디오 분석을 통해 회기별로 분석한 결과 가창 활동 초기에 비해 후기에 각 행동이 긍정적으로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창 프로그램은 저소득층 가정 아동의 위축행동을 감소시키는 데에 효과적인 중재도구임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