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multaneous repair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17초

퇴행성 관절염 환자에게 동시에 시행하는 양측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에서 관절강 내 Tranexamic Acid 주입의 장점 (Advantages of Intra-Articular Tranexamic Acid Injection Following Simultaneous Bilateral Primary Total Knee Arthroplasty)

  • 박형석;김동휘;이광철;임재환;임동섭;이정호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6권6호
    • /
    • pp.504-511
    • /
    • 2021
  • 목적: 양측 슬관절 퇴행성 관절염으로 동시에 시행하는 양측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simultaneous bilateral total knee arthroplasty, SBTKA)의 정맥 투여 금기에 해당하는 환자를 포함하여 관절강 내 트라넥삼산(tranexamic acid, TXA) 투여 후 배액량, 실혈량, 수혈률, 수혈량 및 합병증 발생의 차이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6년 4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퇴행성 관절염으로 SBTKA를 시행하였던 환자 중 관절낭 봉합 후 배액관을 통해 관절강 내로 한쪽당 3 g의 TXA를 주입한 139명을 실험군(group T), 2007년 10월부터 2010년 8월까지 TXA를 주입하지 않고 수술하였던 SBTKA 환자 57명(group A)을 대조군으로 설정했다. 양 군은 나이,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572, 0.474). TXA는 정맥 내 투여의 금기에 해당하는 환자들에게도 관계 없이 주입하였고 염증성 관절염으로 수술을 시행한 환자는 본 연구에서 제외시켰다. 각각 평균 배액량, 실혈량, 수혈률, 수혈량과 일 평균 혈색소의 변화 추이, 일 평균 수혈량을 비교하였다. 합병증으로 심부 정맥 혈전증, 폐색전증, 감염, 뇌경색, 심근경색 발생 여부를 조사하였다. 결과: 평균 실혈량은 group A와 group T에서 각각 2195.32±1175.63 ml, 1145.09±382.95 ml, 평균 배액량은 1178.30±484.59 ml, 774.19±310.06 ml로 group T에서 각각 유의하게 적었다(p=0.002, <0.001). 수혈률은 각각 77.2% (44/57), 0.7% (1/139), 전체 평균 수혈량은 각각 735.44±550.83 ml, 4.60±54.28 ml로 group T에서 각각 유의하게 적었다(p<0.001, <0.001). 혈색소는 group A, group T에서 각각 술 후 3, 4일째 증가하였다(p<0.001, 0.001). 합병증으로 심부 정맥 혈전증이 group T에서 2예(1.4%), 폐색전증이 3예(2.2%) 발생하였으나 group A에서는 발생하지 않았다. 감염, 뇌경색, 심근경색은 모두에서 발생하지 않았다. 결론: 동시에 시행하는 SBTKA에서 TXA의 관절강 내 주입은 TXA의 평균 배액량, 실혈량, 수혈률, 수혈량을 유의하게 감소시키며 정맥 내 투여 금기에 해당하는 환자들을 포함하여도 합병증 발생률이 높아지지 않는다.

비중격 골절을 동반한 단순 비골 골절의 치료에 있어 비중격 교정술의 중요성: 비강 통기도 검사를 이용한 평가 (The Importance of Septoplasty in The Treatment of Nasal Bone and Grade I Septal Fracture: Estimation with Acoustic Rhinometry)

  • 김준형;신동우;최태현;손대구;한기환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7권5호
    • /
    • pp.626-632
    • /
    • 2010
  • Purpose: Nasal bone fractures are often classified as minor injury. However, the incidence of posttraumatic nasal deformity remains alarmingly high. It is because of unnoticed septal fractu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necessity of septoplasty for patients with nasal bone fracture accompanying grade I septal fractures. Methods: Among 105 patients with nasal bone fractures, 52 who had grade I septal fracture were diagnosed based on physical examination and computed tomography. Patients' age ranged from 14 to 65 years (mean 29.25 years), and 35 were male and 17 female. Patien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according to surgical treatment methods: patients who underwent closed reduction only (group 1, n=28) and those who underwent simultaneous closed reduction and septoplasty (group 2, n=24). The treatment outcomes were evaluated by comparing changes in nasal airway volume measured by acoustic rhinometry before the surgery, 3 months and 6 months after the surgery according to the timing of surgical repair and surgical treatment methods. Results: Nasal airway volume increased after the surgery by 17.8% in 3 months after the surgery, 25.2% in 6 months in group 1 and by 22.7% in 3 months, 35.8% in 6 months in group 2. The increase in airway volume after the surgery by 26.3% in 3 months after the surgery, 34.2% in 6 months after the surgery in operation within 1 week after trauma and by 12.1% in 3 months, 22.2% in 6 months after the operation later 1 week after trauma.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ree patients in group 1 complained of intermittent nasal obstruction, two of whom showed a decrease in nasal airway volume by acoustic rhinometry. Conclusion: Most patients with nasal bone fractures accompanying grade I septal fractures have been treated with closed reduction in clinical settings. Howev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eptoplasty be performed after a correct diagnosis of septal fracture is made through comprehensive physical examination and computed tomography. Septoplasty is important to obtain more favorable outcomes and reduce complication.

Provinol Inhibits Catecholamine Secretion from the Rat Adrenal Medulla

  • Lee, Jung-Hee;Seo, Yu-Seung;Lim, Dong-Yoo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3권3호
    • /
    • pp.229-239
    • /
    • 2009
  •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provinol, which is a mixture of polyphenolic compounds from red wine, on the secretion of catecholamines (CA) from isolated perfused rat adrenal medulla, and to elucidate its mechanism of action. Provinol (0.3 ${\sim}$ 3 ${\mu}g/ml$) perfused into an adrenal vein for 90 min dose- and time-dependently inhibited the CA secretory responses evoked by ACh (5.32 mM), high $K^+$ (a direct membrane-depolarizer, 56 mM), DMPP (a selective neuronal nicotinic $N_N$ receptor agonist, 100 ${\mu}M$) and McN-A-343 (a selective muscarinic $M_1$ receptor agonist, 100 ${\mu}M$). Provinol itself did not affect basal CA secretion. Also, in the presence of provinol (1 ${\mu}g/ml$), the secretory responses of CA evoked by Bay-K-8644 (a voltage-dependent L-type dihydropyridine $Ca^{2+}$ channel activator, 10 ${\mu}M$), cyclopiazonic acid (a cytoplasmic $Ca^{2+}$-ATPase inhibitor, 10 ${\mu}M$) and veratridine (an activator of voltage-dependent $Na^+$ channels, 10 ${\mu}M$)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terestingly, in the simultaneous presence of provinol (1 ${\mu}g/ml$) plus L-NAME (a selective inhibitor of NO synthase, 30 ${\mu}M$), the CA secretory responses evoked by ACh, high $K^+$, DMPP, McN-A-343, Bay-K-8644 and cyclpiazonic acid recovered to the considerable extent of the corresponding control secretion in comparison with the inhibition of provinol-treatment alone. Under the same condition, the level of NO released from adrenal medulla after the treatment of provinol (3 ${\mu}g/ml$) was greatly elevated in comparison to its basal release. Taken together, these data demonstrate that provinol inhibits the CA secretory responses evoked by stimulation of cholinergic (both muscarinic and nicotinic) receptors as well as by direct membrane-depolarization from the perfused rat adrenal medulla. This inhibitory effect of provinol seems to be exerted by inhibiting the influx of both calcium and sodium into the rat adrenal medullary cells along with the blockade of $Ca^{2+}$ release from the cytoplasmic calcium store at least partly through the increased NO production due to the activation of nitric oxide synthase.

소비자 맞춤형 삼차원 프린팅 서비스 플랫폼 개발을 위한 탐색 (Preparatory Research prior to the Development of Consumer-Tailored 3D Printing Service Platform)

  • 이국희;최혜경
    • 감성과학
    • /
    • 제20권1호
    • /
    • pp.3-16
    • /
    • 2017
  • 삼차원(3D) 프린터의 개발과 보급에 따라 현대의 소비자들은 자신이 원하는 제품을 집에서 3D프린팅 할 수 있는 시대에 살고 있다. 3D프린팅을 통해 소비자 맞춤형 제작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3D프린터와 호환되는 디지털 설계도를 소비자 스스로 제작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최적의 프린팅 재질과 온도를 설정할 수 있어야 하고 3D프린터의 유지보수에 비용을 감당해야 한다. 더하여 혹시 있을지 모르는 디자인에 대한 지식재산권 문제에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실상 소비자가 이러한 문제들에 대응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소비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3D프린팅을 대행해 줄 수 있는 서비스가 개발될 필요가 있다. 이런 동기에서 출발한 본 연구는 소비자가 원하는 3D프린팅 서비스 방식이 무엇인지에 통찰을 얻기 위해 세계적인 온라인 3D프린팅 제품판매 업체인 Shapeways (www.shapeways.com)에 대한 사용자 경험을 다양한 측면에서 탐색하였다. 그 결과 Shapeways의 사용성, 검색과정, 가격 적절성, 재방문의도, 디자인의 다양성, 디자인 만족도에 대한 양적 평가에서 전반적으로 낮은 평가를 받았다. 또한 다양한 언어지원, 제품 제작과정 공개 및 온-오프라인 사이트 동시운영, 디자이너 중심의 소비자 맞춤형 제작 서비스, 배송 안전성과 제품 내구성에 대한 확신을 줄 수 있는 서비스, 표면의 마감처리 서비스가 필요하다는 건설적인 의견을 통해 소비자 맞춤형 3D프린팅 서비스에 대한 통찰을 획득하였다. 본 연구가 3D프린팅 서비스 플랫폼 개발뿐 아니라, 관련된 산업 및 연구에도 폭넓은 시사점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체외순환을 이용한 흉부 하행대동맥의 급성 박리증 수술 (Surgical Treatment with Extracorporeal Circulation for Acute Dissection of Descending Thoracic Aorta)

  • 최종범;정해동;양현웅;이삼윤;최순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5호
    • /
    • pp.481-487
    • /
    • 1998
  • 하행대동맥의 급성박리에 대한 외과적 치료에 대해서는 논란이 많다. 하행대동맥의 급성 박리병변이 수술적응이 될 경우 대동맥 차단시간은 30분 이상 소요될 수 있으므로 척수손상을 예방하기 위해 대동맥 차단부위 하방에 혈류를 유지하기 위한 여러 방법이 소개되었다. 저자들은 파열(혈흉) 및 쇼크의 합병증을 동반한 하행 대동맥의 급성 박리증 8예를 체외순환법을 이용하여 수술하고 그 방법에 대한 안전성과 효용성을 찾고자 하였다. 체외순환방법에 있어서는 대동맥병변의 상하에 2개의 동맥카뉼라를 넣어 대동맥 차단으로 수술 도중 상하체의 혈류공급을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였고, 산화기로 정맥혈의 환류를 위해 우심방이나 좌대퇴정맥에 정맥관을 삽입하였다. 비교적 장시간의 대동맥 차단에도 불구하고 수술후 8예 모두에서 척수손상은 없었다. 2예(25%)의 병원사망(각각 술후 31일과 41일)은 비교적 고령에서 지연성 합병증인 폐농양, 호흡부전증 등에 의해 발생했다. 주위조직의 부종 및 연약함 때문에 수술시간이 연장될 수 있는 급성 하행동맥 박리증에서 체외 순환방법하의 인공혈관 대치술은 대동맥 차단시간의 연장에 의한 척수 허혈손상을 피할 수 있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외과적 치료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