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mple skull radiography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2초

Clinical Comparison of the Predictive Value of the Simple Skull X-Ray and 3 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for Skull Fractures of Children

  • Kim, Young-Im;Cheong, Jong-Woo;Yoon, Soo Ha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52권6호
    • /
    • pp.528-533
    • /
    • 2012
  • Objective : In the pediatric population the skull has not yet undergone ossification and it is assumed that the diagnostic rate of skull fractures by simple X-rays are lower than that of adults. It has been recently proposed that the diagnostic rates of skull fractures by 3-dimensional computer tomography (3D-CT) are higher than simple X-rays. The authors therefore attempted to compare the diagnostic rates of pediatric skull fractures by simple X-rays and 3D-CTs with respect to the type of fracture. Methods : One-hundred patients aged less than 12 years who visited the Emergency Center for cranial injury were subject to simple X-rays and 3D-CTs. The type and location of the fractures were compared and Kappa statistical analysis and the t-test were conducted. Results : Among the 100 pediatric patients, 65 were male and 35 were female. The mean age was $50{\pm}45$ months. 63 patients had simple skull fractures and 22 had complex fractures, and the types of fractures were linear fractures in 74, diastatic fractures 15, depressed fractures in 10, penetrating fracture in 1, and greenstick fractures in 3 patients. Statistical difference was observed for the predictive value of simple skull fractures' diagnostic rate depending on the method for diagnosi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Kappa value was noted in the diagnosis of depressed skull fractures and diastatic skull fractures. Conclusion : In the majority of pediatric skull fractures, 3D-CT showed superior diagnosis rates compared to simple skull X-rays and therefore 3D-CT is recommended whenever skull fractures are suspected. This is especially true for depressed skull fractures and diastatic skull fractures.

일반촬영에서 kVp와 mAs의 변화에 따른 농도와 환자 선량 비교 (A Comparison of Density and Patient Doses According to kVp and mAs Changes in General Radiography)

  • 강은보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987-994
    • /
    • 2019
  • 일반촬영의 저관전압 촬영에서 발생되는 저 에너지 X-선은 신체에 흡수가 많고 영상 품질 향상에는 도움을 주지 못한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 촬영에서 적정 농도를 유지하면서 환자의 피폭 선량을 줄이기 위해 농도에 따른 관전압 15%법칙과 농도에 비례하는 관전류량을 이용하여 면적 선량과 입사표면선량을 측정하여 환자의 피폭선량을 비교하였다. Hand, Knee, Abdomen, Skull 촬영에서 kVp를 115%까지 증가하면서 mAs를 50%까지 감소시키고, kVp를 85%까지 감소시키고 mAs를 200%까지 증가시키면서 면적선량과 입사표면선량을 측정하여 각각의 선량을 비교하였다. 그리고 각 영상의 5군데를 정하여 농도를 측정하고 Kruskal wallis H 검증을 하여 집단-간의 유의확률을 알아보았다. 농도를 일정하게하기 위해 관전압을 115%로 증가하고, 관전류를 50%로 감소시킨 조건에서 각 부위별 평균 면적선량과 입사표면선량을 측정한 결과 기준 선량을 100%로 할 때 각각 58.68%, 59.85%로 감소하고, 관전압을 85%로 감소하고 관전류를 200%로 증가시킨 조건에서 각각 147.28%, 159.9%로 증가하였다. 농도 변화를 비교한 결과 Hand, Knee, Abdomen, Skull 촬영 모두 유의확률 >0.05 나타나 농도 변화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상력과 대조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적정한 계산을 통해 관전압을 증가시키고 관전류를 낮게 해서 촬영하는 것이 적정농도를 유지하면서 환자의 피폭 선량을 줄이는 간단한 방법으로 사료된다.

Multifocal intraosseous calvarial hemangioma misdiagnosed as subgaleal lipoma

  • Kim, Joo-Hak;Ahn, Chang Hwan;Kim, Kyung-Hee;Oh, Sang-Ha
    •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81-185
    • /
    • 2019
  • Intraosseous hemangioma is a rare, slow-growing, benign tumor of blood vessels. Primary hemangioma of the skull is a benign lesion that may appear as a palpable mass or accidentally detected during image evaluation. Simple radiography is the most commonly used technique to localize a lesion and computed tomography (CT) may help determine the effect of a lesion. We report a case of multifocal intraosseous calvarial hemangioma developed in the subgaleal plane of an elderly male patient. Ultrasonography examination revealed hyperechoic striated septae parallel to the skin and discontinuity of the focal cortex, however, the underlying bone cortex appeared relatively intact. No significant flow is observed on Doppler ultrasonography. Based on these evaluations, the mass was interpreted by a radiologist as a subgaleal lipoma. This case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additional CT examination in a patient presenting with a scalloping sign of the underlying calvarium. Clinicians also should be aware of the possibility of intraosseous calvarial hemangiomas in lesion. Furthermore, the proper choice of congenital vascular malformation term is still quite confusing with misconception present in the literature.

Spontaneous Pneumocephalus Caused by Pneumococcal Meningitis

  • Kim, Hyun Sook;Kim, Seok Won;Kim, Sung Hoo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53권4호
    • /
    • pp.249-251
    • /
    • 2013
  • Pneumocephalus is a condition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air in the cranium, and it is mainly caused by trauma or a neurosurgical procedure. In the absence of head trauma or a neurosurgical procedure, meningitis is an extremely rare cause of pneumocephalus. Here, the authors present a rare case of spontaneous pneumocephalus caused by pneumococcal meningitis, in which simple lateral radiography and computed tomography (CT) findings of the skull suggested the diagnosis. Cerebrospinal fluid analysis showed bacterial meningitis which later revealed streptococcus pneumonia.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antibiotics and responded remarkably well. Repeat CT performed after 2 weeks of treatment showed complete resolution of the intracranial gas. Here, the authors report an unusual case of a pneumocephalus caused by meningitis in the absence of head trauma or a neurosurgical procedure.

Formation of ghost images due to metal objects on the surface of the patient's face: A pictorial essay

  • Ramos, Barbara Couto;da Silva Izar, Bruna Raquel;Pereira, Jessica Lourdes Costa;Souza, Priscilla Sena;Valerio, Claudia Scigliano;Tuji, Fabricio Mesquita;Manzi, Flavio Ricardo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46권1호
    • /
    • pp.63-68
    • /
    • 2016
  • Panoramic radiographs are a relatively simple technique that is commonly used in all dental specialties. In panoramic radiographs, in addition to the formation of real images of metal objects, ghost images may also form, and these ghost images can hinder an accurate diagnosis and interfere with the accuracy of radiology reports. Dentists must understand the formation of these images in order to avoid making incorrect radiographic diagnoses. Therefore, the present study sought to present a study of the formation of panoramic radiograph ghost images caused by metal objects in the head and neck region of a dry skull, as well as to report a clinical case in order to warn dentists about ghost images and to raise awareness thereof. An understanding of the principles of the formation of ghost images in panoramic radiographs helps prevent incorrect diagnoses.

유골 골종의 치료 (Treatment of Osteoid Osteoma)

  • 한정수;조창현;조영린;조남수;임찬택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22-29
    • /
    • 2000
  • 목적 : 유골 골종의 치료에서 소파술 및 절제술을 이용한 치료 결과를 보고하고 영상증폭 장치하에 K-강선을 경피적으로 삽입후 핵을 Halo-mill로 제거하는 수술을 시행한 경우에도 양호한 결과를 얻어 치료법의 하나로 사료되어 보고한다. 대상 및 방법 : 1990년 3월부터 1998년 1월까지 유골 골종으로 진단하고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가 14례, 여자가 6례였으며 연령분포는 7세부터 42세 까지 평균 20.8세였다. 추시기간은 최저 1년에서 최고 5년 6개월로 평균 3년 2개월이었다. 발생부위는 대퇴골이 9례로 가장 많았고, 경골이 6례, 척추 2례, 척골 1례, 상악골 1례 그리고 두개골이 1례였다. 대퇴골에 발생한 9례중 근위 골간단부는 5례, 경부가 2례, 그리고 골간부가 2례였다. 경골에 발생한 6례는 근위 골간단부와 원위 골간단부에 각각 1례 발생하고 나머지 4례는 골간부에 발생하였다. 정확한 진단과 병소를 찾아내기 위한 방사선학적 검사는 단순 방사선촬영, 골주사, 전산화 단층촬영과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하였다. 수술방법은 절제술과 소파술이외에 Halo-mill을 이용해 경피적으로 병소를 절제해 내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한편 척골에 발생한 1례의 경우에는 인공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하였다. 결과 : 단순 방사선촬영 소견상 골 경화의 중심부에 투명상을 나타내는 핵을 보이는 전형적인 소견을 보인 경우는 방사선 자료의 검토가 가능했던 15례중 10례였으며 나머지는 골피질의 경화소견만 보였다. 골주사는 14례에서 시행되었으며 전례에서 비정상적인 방사능 섭취의 증가가 나타났다. 전산화 단층촬영과 자기공명영상을 시행한 각 10례와 4례 중 병소를 확인하지 못한 경우는 전산화 단층촬영에서 1례가 있었다. 치료는 소파술 6례, 절제술 11례,Halo-mill을 사용한 경피적 절제술 2례, 그리고 인공 주관절 치환술 1례를 시행하였다. Halo-mill을 사용한 2례에서 모두 7mm 크기의 Halo-mill을 사용하여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추시 결과 모든 례에서 증상의 소실을 보였으며 재발한 경우는 없었다. 조직학적 소견상, 특징적인 병소를 확인하지 못하고 과골화 소견을 보인 1례를 제외하고는 모든 례에서 특징적인 병소를 확인하였다. 결론 : 유골 골종의 완치를 위해서는 병소를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를 위한 방법으로 보편적인 소파술이나 절제술이 사용될 수 있으나, 핵의 정확한 위치 및 크기가 확인되고 경피적으로 도달가능하며 Halo-mill로 핵을 제거할 수 있는 경우에는 Halo-mill을 이용한 경피적 병소 제거술의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