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mocephalus vetulus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19초

한국산 시모물벼룩속(새각강, 이지목, 물벼룩과) 종들의 분류학적 검토와 요술시모물벼룩 (Simocephalus mixtus)의 재기재 (Taxonomic Review of the Cladoceran Genus Simocephalus (Branchiopoda, Anompoda, Daphnidae) in Korea, with Redescription of Simocephalus mixtus)

  • 김원;윤성명
    • 생태와환경
    • /
    • 제33권2호통권90호
    • /
    • pp.152-161
    • /
    • 2000
  • 1981년 5월부터 1999년 6월까지 남한의 97개 지소의 다양한 담수역에서 채집된 표본들에 근거하여 요술시모물벼룩(Simocephalus mixtus Sars)을 재기재하였으며, 한국에서의 시모물벼룩속 종들의 과거 기록들을 검토하였다. 이 종은 최근까지 극동아시아 지역에서 긴눈시모물벼룩(S. vetulus (O.F. Muller)) 및 S. vetuloides Sars와 분류학적으로 혼동되었거나 오동정되었던 종이다. 본 종은 갑각의 후배각이 낮고 넓게 돌출하였고, 갑각의 등쪽 가장자리의 뒷부분이 팽창하였으며, 머리의 부리에 가까운 배쪽 가장자리 부위가 깊게 함몰되어 있고, 길쭉한 모양의 단안을 가지며, 후복부 발톱의 기부에 빗모양의 가시군이 없다는 점에서 근연종들과 구별된다.

  • PDF

한국산 물벼룩의 먹이조건별 번식영향 (Effects of algae on chronic assessment endpoints observed with Korean freshwater Cladocerans)

  • 김병석;박연기;신진섭;김진화;안용준
    • 농약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17-128
    • /
    • 2004
  • 농약 등 화학물질의 생태독성평가에서 주요 이용되는 수서무척추동물로 국제적으로 추천하고 있는 물벼룩은 D. magna이다. 하지만 D. magna는 국내에 서식하지 않는 종이므로 우리나라 환경에 적합한 생태 위해성평가를 위해서는 국내에 서식하는 대표종에 대한 독성시험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에 서식하는 물벼룩 중에 농업환경에서의 대표종 4종(Daphnia obtusa, Daphnia sp., Moina macrocopa, Simocephalus vetulus)을 선정하여 이들 종에 대한 최적실내사육조건을 확립하고자 3종의 조류를 배양한 후 냉장보관 하면서 먹이의 종류 및 양에 따른 물벼룩의 생육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시험에 사용된 국내산 물벼룩은 국제적인 추천종인 D. magna에 비해 먹이의 양이 절반 정도 수준에서도 잘 생육하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특히 Chlorella가 가장 적합한 먹이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Chlorella의 최적 투여농도는 $25\times10^4\sim50\times10^4$cells/mL 이었다.

표준생태독성시험법 개발을 위한 한국산 물벼룩의 최적 사육수 선발 (Selection of Optimal Culture Media for Developing Standard Ecological Toxicity Test Methods using Korean Freshwater Cladocera)

  • 김병석;박연기;박경훈;김진경;신진섭;김진화;윤성명;안용준
    • 농약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89-195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표적인 한국 담수산 물벼룩을 대상으로 농약의 생태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표준 시험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국내환경에서의 대표성, 실내사육가능성 및 독성시험에 적합한 크기 등을 고려하여 선발된 4종의 한국산 물벼룩(Daphnia sp., Daphnia obtusa, Moina macrocopa, Simocephalus vetulus)과 국제표준종인 Daphnia magna를 대상으로 실내사육에 적합한 최적 사육수를 선발하고자 하였다. 국내산 물벼룩은 사육수의 경도가 $80{\sim}100$ mg $L^{-1}(CaCO_3)$인 hard water와 $40{\sim}48$ mg $L^{-1}(CaCO_3)$인 soft water 에서 가장 우수한 생육을 보였으나, 우리나라 강물의 경도가 $60.2{\sim}127.2$ mg $L^{-1}(CaCO_3)$의 범위에 있는 점과 칼슘부족이 동물성플랑크톤 갑각류의 종 번식과 군집구조에 중대한 결정요소인 점을 감안하여 우리나라 물벼룩의 실내사육을 위한 최적 사육수로 경도가 $80{\sim}100$ mg $L^{-1}(CaCO_3)$인 hard water를 추천하고자 한다.

표준생태독성시험법 개발을 위한 한국산 물벼룩의 최적사육온도 구명 (Optimal temperature conditions of Korean freshwater Cladoceran for development of standard toxicity test methods)

  • 김병석;박연기;박경훈;신진섭;김진화;안용준
    • 농약과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21-230
    • /
    • 2005
  • 국내에 서식하는 주요 물벼룩에 대한 독성시험기준 마련의 필요성에 따라 국내환경에서의 대표성, 실내사육가능성 및 독성시험에 적합한 크기 등을 고려하여 선발된 4종의 한국산물벼룩(Daphnia sp., Daphnia obtusa, Moina macrocopa, Simocephalus vetulus)과 Daphnia magna를 대상으로 사육온도(16, 20, 24, $28^{\circ}C$)에 따른 번식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실험에 사용한 5종 물벼룩 모두 온도가 높을수록 탈피횟수, 새끼출산수 및 내적자연증가율이 증가하고 성체가 되는데 걸리는 기간과 생존율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높은 온도조건에서 높은 내적자연증가율을 보여줌에도 불구하고 고온에서의 높은 모체사망율을 고려한다면 대부분은 $20^{\circ}C$ 내외가 가장 적절한 사육온도임을 알 수 있었다. 다만 D. obtusa의 경우에는 $16^{\circ}C$에서 더 높은 모체생존율을 보여주었으며 내적자연증가율도 $20^{\circ}C$와 비교하여 큰 차이가 없어 $16^{\circ}C$ 내외가 더 적절한 온도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계절적인 강우와 기온의 변화에 따른 동물플랑크톤의 반응 종에 관한 연구 (Study on Response-Species of Zooplankton to the Seasonal Changes of Precipitation and Temperature)

  • 송영희;이원철;곽인실
    • 생태와환경
    • /
    • 제36권1호통권102호
    • /
    • pp.9-20
    • /
    • 2003
  • 2002년 5월부터 11월까지 한강지류를 대상으로 강우와 기온에 따라 반응하는 분류군과 종을 조사하였다. 윤충류 (Rotifer) 23종, 지각류 (Cladocera) 10종, 요각류(Copepoda) 8종 그리고 원생동물(Protozoa) 1종으로 총42종이 조사되었다. 조사기간 중 5월이 가장 높은 풍부도와 다양한 종이 출현하였다. 조사지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여름 강우로 지각류와 윤충류의 풍부도가 크게 감소하였다. 가장 높은 풍부도를 보였던 윤충류의 5월 우점종은 Brachionus urceolaris, Euclanis dilatata, Lecane luna, Brachionus quadridentatus, Brachionus calyciflorus였다. 8월에는 Monostyla bulla, Conochilus unicornis가 11월에는 Brachionus quadridentatus, Euclanis dilatata, Lecane luna가 다수 출현하였다. 지각류는 5월에 Moina weismanni, Simocephalus vetulus, Scapholebris mucronata, Chydorus sphaericus가 8월에는 소수의 Chydorus sphaericus, Scapholebris mucronata가 11월에는 Chydorus sphaericus, Alona rectangula가 우점을 이루었다. 클러스트링 (nearest neighbour clustering)을 통해 5월과 11월의 조사지에 따른 유형은 유사하였으나 8월은 다른 양상을 보였다.

한국 담수산 지각류의 분류학적 연구 (A Systematic Study on the Freshwater Cladocera from Korea)

  • 윤성명;김훈수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권2호
    • /
    • pp.175-207
    • /
    • 1987
  • A taxonomic Study was carried out on the freshwater cladocerans from Korea during the period from August 1985 to May 1987. Materials consist of both the specimens deposited at Department of Zoology, College of Natural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those collected at the freshwater regions such as rivers, lakes, ponds, bogs, rice fields, etc. During the perio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speciemens collected at the 123 locations in South Korea, 31 species of 7 families were identified and classified. In this paper, the authors submit the figures of the 31 species, of which the following 13 species were descirbed as hitherto unrecorded species in Korea : Diaphanosoma Leuchtenbergianum Fisher, 1858 : Simocephalus vetulus 9O.F.Mller, 1776) ; S. esxpinosus (koch, 1841); Ceriodaphnia reticulata (Jurine, 1820) ; Scapholeberis mucronata (O.F. Mller, 1785) ; Moina weismanni Ishikawa, 1896 : Ilyocryptus agilis Kurz, 1878 ; Biapertura affinis (Leydig, 1860) : Camptocercus rectirostris Schodler, 1862 ; alona costata Sars, 1862 ; Disparalona rostrata (Koch, 1841); Pseudochydorus globosus (Barird, 1843) ; Leptodora kindtii(Focke, 1844)

  • PDF

메소코즘을 이용한 지각류, 요각류 및 패충류의 섭식 성향 분석; 탄소, 질소 안정동위원소비의 믹싱모델 (R package SIAR)을 이용한 정량 분석 (Feeding Behavior of Crustaceans (Cladocera, Copepoda and Ostracoda): Food Selection Measured by Stable Isotope Analysis Using R Package SIAR in Mesocosm Experiment)

  • 장광현;서동일;고순미;;남귀숙;최종윤;김민섭;정광석;나긍환;김현우
    • 생태와환경
    • /
    • 제49권4호
    • /
    • pp.279-288
    • /
    • 2016
  • 탄소와 질소 안정동위원소비를 이용한 먹이망 구조 해석 기법은 수생태계 연구에서 폭 넓게 활용되고 있으며, 먹이원의 정량적 기여율을 분석하는 믹싱모델에 적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Bayesian 모델을 이용한 믹싱모델의 적용이 가능한 통계 패키지(R, SIAR package)의 사용방법을 제시하고, 사용 예로 저수지 및 메소코즘 배양조에서의 동물플랑크톤과 먹이원의 탄소, 질소 안정동위원소비를 이용한 섭식 성향 분석 방법 및 결과를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국내 저수지 및 대형하천 등에서 주로 우점하는 Daphnia galeata는 소형의 POM (<$50{\mu}m$)을 주로 섭식하는 것으로 나타나, 부영양화된 환경에서 녹조 발생시 먹이로의 활용이 용이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논 생태계 등에서 빈번히 출현하는 패충류의 경우 D. galeata와 유사한 섭식 성향을 나타내었다. 반면 습지 등에서 주로 출현하는 Simocephalus vetulus의 경우, 부착성 POM이 아닌 부유성 POM을 주로 섭식하며 Microcystis를 포함하는 대형의 POM (>$50{\mu}m$)을 섭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실내사육조건에서 한국산 물벼룩 종간 life cycle 비교 (Comparison of Life Cycle of Several Korean Native Freshwater Cladocerans in Laboratory Culture Conditions)

  • 김병석;박연기;박경훈;신진섭;김진화;윤성명;안용준
    • 농약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96-200
    • /
    • 2006
  • 국내서식 물벼룩종을 이용한 표준생태독성시험법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국내환경에서의 대표성, 실내사육가능성 및 독성시험에 적합한 크기 등을 고려하여 선발된 4종의 한국산 물벼룩 Daphnia sp., Daphnia obtusa, Moina macrocopa, S.imocephalus vetulus과 Daphnia magna에 대한 실내사육조건에서의 life cycle을 조사하였다. 국내산 물벼룩 4종과 D. magna에 대한 실내사육조건에서의 전 생애에 걸친 생육특성을 조사한 결과 D. magna가 어미 1마리당 평균 358마리의 새끼를 출산하였고 국내산 물벼룩 중에는 Daphnia sp.가 297마리의 새끼를 출산하여 가장 출산새끼수가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M. macrocopa, S. vetulus, D. obtusa 순이었다. 평균수명은 D. magna가 50일로 가장 길었으며 국내산 물벼룩 중에는 Daphnia sp.가 39일로 조사되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S. vetulus, D. obtusa M. macrocopa, 순이었다. 특히 M. macrocopa의 경우 번식력이 우수하면서도 세대기간이 짧아 기존의 번식독성시험법에서 제시하는 21일보다 짧은 10일 정도의 단기간에 번식영향을 평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 생물종을 이용한 생태독성평가 기반연구 : (II) 물벼룩류 (Fundamentals of Ecotoxicity Evaluation Methods Using Domestic Aquatic Organisms in Korea : (II) Water Flea)

  • 안윤주;남선화;이우미
    • 생태와환경
    • /
    • 제40권3호
    • /
    • pp.357-369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수계에 서식하고 있는 수서생물을 대상으로 수행된 바 있는 국내외 독성 시험법의 노출 기간, 종말점 등 시험 세부 조건을 수렴하여, 향후 국내생태 독성시험법 개발을 위해 각 생물종별 시험 세부 조건별 범위와 생태독성평가기법 구축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기존에 국내 생물종을 대상으로 국내외에서 수행된 바 있는 독성 시험법에 대한 연구 사례를 검토한 결과, OECD등의 표준시험법에서 추천한 시험종을 대상으로 한 독성자료가 상당 부분을 차지하였다. 또한 표준시험법의 공시종 이외에도 국내 생물종에 대한 소량의 연구 자료가 있었으나, 대체로 표준시험법을 개별 상황에 맞게 수정 적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노출기간 및 배양액은 생물종마다 상이한 조건으로 수행된 바, 물벼룩류 독성시험에 있어서 가장 유의해야 할 조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국내 생물종을 이용한 생태독성평가 기반이 미비한 현 시점에서 보다 체계적인 국내생태독성시험법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향후 실험 조건과 동일한 조건에서 생활사를 측정하여 보다 명확한 노출기간을 설정, 본 연구에서 선정한 물벼룩류 9종을 대상으로 도출된 생태독성시험기법에 대한 검증 그리고 기존 연구에서 사용되지 않았던 새로운 시험종 개발 및 각각의 시험종에 따른 최적 실험 조건 규명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생물종을 대상으로 한 독성시험기법 및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국내 수생태계 실정 및 먹이 연쇄를 통한 생물종 간 상호 관련성 등을 고려할 수 있는 국내 시험종 및 그에 따른 시험법 개발을 위한 중요한 기반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산 물벼룩 표준생태독성시험법 확립을 위한 10종 용매대조물질에 대한 독성반응 비교 (Comparison of Toxic Response of Cladocerans to Organic Solvents to Establish the Standard Test Guidelines Using Korean Native Species)

  • 김병석;박연기;양유정;홍순성;박경훈;정미혜;김세리;박경훈;예완해;김두호;윤종철;홍무기;경기성;안용준
    • 농약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0-15
    • /
    • 2010
  • 국내서식 물벼룩종을 이용한 표준생태독성시험법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4종의 한국산 물벼룩 Daphnia sp., Daphnia obtusa, Moina macrocopa, Simocephalus vetulus과 국제표준종 Daphnia magna대한 10종 유기용매에 대한 급성독성을 조사하여 독성이 낮으면서도 농약의 용해도가 좋은 유기용매를 시험에 사용하도록 제안하고자 하였다. 한국산 물벼룩에 대해 급성독성이 가장 강한 유기용매는 ethyl acetate로 조사되었으며 DMF, dioxane, isopropanol 3종은 무영향 농도가 EPA에서 급성독성시험에 추천하는 최고 사용농도인 0.5 ml/L 이하로 조사되어 다른 유기용매에 비해 독성이 강하였다. 따라서 독성이 낮으면서 수용해도가 높고 농약원제의 용해성이 좋은 acetone, methanol, ethanol, acetonitrile을 권장 시험용매로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