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mapro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1초

Life Cycle Impacts of Flexible-fiber Deep-bed Filter Compared to Sand-Filter including Coagulation and Sedimentation in Water Treatment Plant

  • Uh, Soo-Gap;Kim, Ji-Won;Han, Ki-Back;Kim, Chang-Won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13권1호
    • /
    • pp.1-7
    • /
    • 2008
  • Recently a new technology called the flexible-fiber deep-bed filter (FDF) claimed to replace the conventional sand filter including coagulation and sedimentation filter (CSF) processes in the water treatment plant. Therefore the life cycle assessment (LCA) approach was applied for evaluating the life cycle impacts of FDF compared with those of CSF. The used LCA softwares were the Simapro 6 and PASS and their life cycle impact assessment (LCIA) methodologies were the Eco-indicator 99 and the Korean Eco-indicator, respectively. The goal of this LCA was to identify environmental loads of CSF and FDF from raw material to disposal stages. The scopes of the systems have been determined based on the experiences of existing CSF and FDF. The function was to remove suspended solids by filtration and the functional unit was $1\;m^3$/day. Both systems showed that most environmental impacts were occurred during the operation stage. To reduce the environmental impacts the coagulants and electricity consumptions need to be cut down. If the CSF was replaced with the FDF, the environmental impacts would be reduced in most of the impact categories. The LCA results of Korean Eco-indicator and Eco- indicator99 were quite different from each other due to the indwelling differences such as category indicators, impact categories, characterization factors, normalization values and weighting factors. This study showed that the life cycle assessment could be a valuable tool for evaluating the environmental impact of the new technology which was introduced in water treatment process.

목조주택 온실가스 배출량 평가를 위한 간이 전과정평가 툴 개발 (Evaluation of Greenhouse Gas Emission for Wooden House Using Simplified Life Cycle Assessment Tool)

  • 장윤성;김세종;손휘림;정순철;신현경;심국보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5호
    • /
    • pp.650-660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목조건축 전과정평가의 접근성과 활용성을 높이고자 간이 전과정평가 툴(simplified LCA)을 개발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전과정평가(LCA) 상용프로그램(Simapro.7)과의 비교를 수행하였다. 전과정목록을 바탕으로 환경영향을 평가한 결과, 대상 목조주택 1동의 전과정평가 결과와 간이 전과정평가 툴의 결과는 약 1% 정도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이 전과정평가 툴을 통한 목조건축의 온실가스 배출량 분석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사용자 편의를 기반으로 사례추가를 통한 국내 목조건축 환경영향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목조건축 건설에 따른 온실가스 저감효과는 시공단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53%를 상쇄하는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목조주택의 친환경적 이미지 제고를 통한 목조주택 보급확대 정책을 지원할 수 있는 근거로써 임업분야 신기후체제 대응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전과정평가(LCA)기법을 이용한 농업수리시설의 환경영향 분석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of Agricultural Water Facilities using LCA Technique)

  • 김영득;최요한;김해도;조진훈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0년도 학술발표회
    • /
    • pp.1656-1660
    • /
    • 2010
  • 저수지와 양수장은 우리나라에서 용수공급면적기준으로 전체 공급량의 78%를 차지하는 중요한 용수 공급시설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저수지와 양수장의 환경영향을 LCA기법을 이용해 비교 분석함으로써 두 시설들의 환경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데 있다. 연구대상 수리시설로서 경기도 안성에 위치한 이동저수지와 은산양수장을 선정하여 각각에 대하여 농업수리시설의 전과정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를 위하여 네덜란드 Pre사가 개발한 소프트웨어 Simapro 7.1를 이용하였다. 두 시설에 대한 원료물질 취득 단계부터 건설, 운영, 유지관리 및 폐기단계까지 전과정의 환경영향을 분석한 결과, 두 종류의 시설 설치에 따른 토지이용, 상 하류의 생태적 영향 등이 고려되지 않았지만 저수지에 의한 농업용수 공급이 양수장에 의한 용수 공급보다 환경친화적이라고 볼 수 있다. 저수지의 경우 건설단계의 환경영향이 크고, 양수장의 경우, 운영단계에 환경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단계별로 환경영향은 저수지는 건설단계에 건설재료 예를 들어 레미콘, 시멘트 등이 환경부하를 크게 발생시키기 때문이고, 양수장은 이용 단계에서 용수공급을 위한 전력사용에서 기인하는데, 이는 전력생산시 화석연료와 같은 자원소비가 많기 때문이다. 이번 연구는 토목시설물중 농업 용수 공급시설의 전과정에서 환경영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데 LCA가 활용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향후 하드웨어적인 시설뿐만 아니라 농업용수 공급에 따른 전과정평가를 수행하고, 농업용수 LCI D/B 구축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PDF

LCA기법을 이용한 PET의 환경성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nvironment Assessment of Wast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by LCA)

  • 박찬혁;정재춘;최석순;김성환
    • 유기물자원화
    • /
    • 제13권1호
    • /
    • pp.115-123
    • /
    • 2005
  • 본 논문은 PET의 하나인 물질재활용에 대해 전과정평가기법을 이용하여 환경성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내에서 재생업체를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여 목록분석을 실시한 후 Eco-Indicator 95의 영향평가방법을 사용하여 각 영향범주별 환경영향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폐플라스틱의 물질재활용공정에서 가장 영향을 미치는 것은 지구온난화로 밝혀졌다. 이는 폐플라스틱인 PET에 대해 물질재활용의 각 단위공정별 환경영향평가 결과에서 전력과 에너지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용융 및 재생원료화공정의 환경부하가 매우 높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오염물질 배출량을 살펴보면 $CO_2$가 매우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은 NOx이었다. 이는 전력사용과 수송과정의 경유사용에 기인한 것이다. 폐플라스틱의 물질재활용에 대한 영향평가결과는 오존층 파괴의 영향을 제외한 거의 모든 영향범주들이 음(-) 값이며 이는 환경성이 매우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PET를 물질재활공정과 이를 다시 재생원료로서 사용할 경우를 비교할 때 환경부하삭감효과는 매우 크게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