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lver diamine fluoride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19초

Evaluation of the Remineralization Capacity of Water-based Silver Fluoride

  • Gwangsuk Kim;Juhyun Lee;Haeni Kim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80-87
    • /
    • 2024
  • Silver diamine fluoride, which can arrest dental caries, is alkaline and may cause mild soft tissue irritation. Water-based silver fluoride has a neutral pH, which is closer to the physiological range, and is biocompatible for use in the oral environment.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water-based silver fluoride on remineralizing early enamel lesions by comparing it with other fluoride agents through microhardness and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 measurements. An in vitro study with intact bovine incisors was performed. Artificial enamel lesions were induced and subjected to microhardness and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 testing. Specimens were randomly divided into 4 groups for treatment. The specimens in group I were treated with water-based silver fluoride and potassium iodide, group II with silver diamine fluoride and potassium iodide, group III with sodium fluoride varnish, and group IV with distilled water. After 8 days of pH cycling, the specimens were subjected to microhardness and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 testing. Water-based silver fluoride and silver diamine fluoride showed the greatest increases in microhardness and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Sodium fluoride varnish also exhibited a significant increase in microhardness and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 but the differences were smaller than those for water-based silver fluoride and silver diamine fluoride. Water-based silver fluoride is considered useful in a clinical setting for remineralizing enamel lesions, with the advantages of no risk of tissue burn and improved taste and smell.

Silver Diamine Fluoride의 치아우식 예방 효과 (The effect of Silver Diamine Fluoride in preventing dental caries)

  • 송지수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6권8호
    • /
    • pp.424-431
    • /
    • 2018
  • Silver diamine fluoride (SDF) is an alkaline topical solution and it derives from the conjunction of silver nitrate and fluoride. It reduces the growth of cariogenic bacteria, inhibits degradation of dentinal collagen, impedes demineralization and enhances remineralization. It is inexpensive due to the low cost of materials and its application to dental surface is very simple and requires relatively short chair time.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the dental caries prevention effect of SDF is superior or similar to topical fluoride application. The main disadvantage of SDF is its esthetic result, and it permanently blacken carious enamel and dentin. The use of SDF has not yet been approved in Korea, but it may be helpful to prevent and treat dental caries in patients with special health care needs and uncooperative young patients.

  • PDF

Antimicrobial Persistence of Silver Diamine Fluoride and Silver Fluoride against Streptococcus mutans

  • Hyeon-Jin Kim;So-Youn An
    • Journal of Korean Dental Science
    • /
    • 제16권2호
    • /
    • pp.164-171
    • /
    • 2023
  • Purpose: To evaluate the antimicrobial persistence of silver diamine fluoride (SDF) and silver fluoride (AgF) on Streptococcus mutans. Materials and Methods: An in vitro experiment was conducted to observe changes in the diameter of the inhibition zone of various materials, including AgF (Riva Star AquaTM step 1; SDI), potassium iodine (Riva star aquaTM step 2; SDI), Fluor protector® (FP, Ivoclar Vivadent), SDF (Riva starTM step 1; SDI), Ampicillin (Sigma-Aldrich), Amphotericin B (Nexstar) and negative control on S. mutans. Result: SDF, AgF and FP exhibited significant antimicrobial persistence over the 4 weeks period (P<0.05). At day 28, the diameter of inhibition zone was larger in SDF than in AgF. Conclusion: SDF and AgF have significant antibacterial durability against bacteria commonly associated with dental caries, with the antimicrobial effect lasting for at least 4 weeks. Further clinical studies are needed to validate these findings in vivo.

Silver diamine fluoride와 sodium fluoride (NaF) 바니쉬의 법랑질 인공우식병소 재광화 효과 (Effect of Silver Diamine Fluoride and Sodium Fluoride Varnish on Remineralization in Artificially Induced Enamel Caries: An in vitro Study)

  • 김소영;이상호;이난영;지명관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66-276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법랑질 인공우식병소에서 silver diamine fluoride (SDF)와 sodiun fluoride (NaF) 바니쉬의 재광화 효과를 비교하는 것이다. 소의 절치를 이용해 인공적으로 법랑질 초기 우식병소를 형성하고 38% SDF와 5% NaF 바니쉬를 도포한 후 인공 타액에 3주동안 보관하면서 pH-cycling을 시행하여 법랑질 표면과 3개 층의 깊이에서 micro-CT를 이용하여 무기질 밀도를 측정하고 SEM-EDS를 이용하여 법랑질 표면의 미세구조를 분석함으로써 두 제제의 재광화 효과를 비교, 평가하였다. 38% SDF군와 5% NaF 바니쉬군 모두 탈회된 법랑질의 무기질 밀도와 정상수준으로 재광화된 법랑질의 부피는 시간 경과에 따라 21일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38% SDF군은 5% NaF 바니쉬군보다 법랑질의 모든 깊이와 경과한 시간대에서 무기질 밀도 증가량(△HUV) 및 정상수준으로 재광화된 법랑질의 부피 모두 컸다(p = 0.001). SEM을 이용해 관찰한 재광화된 법랑질 표면은 38% SDF군이 5% NaF 바니쉬군에 비해 더 부드러웠다. SEM 사진상에서 38% SDF를 도포한 법랑질 표면에서 은 화합물 침착이 관찰되었으며 EDS 분석에서는 은 이온이 검출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38% SDF의 법랑질 인공우식병소에서의 재광화 효과는 5% NaF 바니쉬보다 더 큼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앞으로 SDF가 진행된 우식의 처치에 있어서도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Silver diamine fluoride가 타액 생물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ilver Diamine Fluoride on Salivary Biofilm)

  • 서미경;송지수;신터전;현홍근;김정욱;장기택;이상훈;김영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406-415
    • /
    • 2020
  • Silver diamine fluoride(SDF)는 우식의 정지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효과적이고 경제적인 약제로, 협조가 힘든 환자나 의과적인 문제로 치료를 받기 힘든 경우 등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 연구는 타액 생물막을 이용하여 SDF 의 항미생물효과를 평가하고자 시행되었다. 타액을 이용하여 획득피막 유사 구조를 형성한 후, 타액과 Streptococcus mutans를 첨가하여 우식원성의 타액 생물막을 형성하였다. 타액 생물막에 SDF 를 처리한 결과, 전체 미생물과 S. mutans의 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 < 0.000). CLSM에서도 생물막 내 죽은 세포가 증가하였다. 유치 법랑질과 상아질 시편에 SDF를 처리한 후 우식원성의 생물막을 배양한 결과, SDF 를 처리할 경우 생물막 형성이 저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p = 0.029). 연구 결과 SDF의 뛰어난 항미생물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로 인한 임상에서의 항우식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Silver Diamine Fluoride Compound for Dental Caries and Its Characterisation Using Microscopic Computed Tomography and Nanoindentation

  • So-Youn An;Myung-Jin Lee;Min-Kyung Kang;Youn-Soo Shim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60-67
    • /
    • 2023
  • Background: In our study, a silver diamine fluoride (SDF) compound for the treatment of dental caries was synthesized to characterize its remineralization activity upon direct application to deciduous teeth. This study aimed to use microscopic computed tomography (microCT) and nanoindentation to evaluate whether SDF composite application could effectively arrest dental caries in five exfoliated primary molars. Methods: Carious teeth were extracted and visually examined using quantitative photofluorescence devices (Qraycam and QraypenTM). After performing microCT, the SDF composite was applied to the teeth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instructions. The researchers exchanged and precipitated the irritant saliva once daily for 1 week. The teeth were sectioned longitudinally through the centers of the mesial and distal surfaces, embedded, polished, and measured using nanoindentation. Thereafter, microCT was repeated.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GraphPad Prism software. Results: Following SDF composite application, a remineralized layer was observed on microCT images, and the hardness increased when measured using nanoindentation. We found that demineralized enamel presented with an increased number of irregular crystals in the deep carious lesion group compared with those in the shallow carious lesion group, resulting in a rougher surface. Conclusion: The SDF composite may be used for remineralization of early caries and cessation of advanced caries in primary molars.

Silver Diamine Fluoride와 요오드화 칼륨 도포 후 변화하는 탈회 상아질의 내산성 평가 (Evaluation of Acid Resistance of Demineralized Dentin after Silver Diamine Fluoride and Potassium Iodide Treatment)

  • 김해송;이주현;이시영;김해니;박호원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92-401
    • /
    • 2022
  • 본 연구는 Silver diamine fluoride (SDF)와 요오드화 칼륨(KI)이 이차 우식에 노출된 상아질의 내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실 환경에서 평가하는 것이다. 소의 절치를 이용하여 상아질 시편을 제작한 뒤 인공적으로 초기 우식병소를 형성하여 음성 대조군, 양성 대조군, SDF 도포, SDF 도포 후 KI 도포(SDFKI)의 4개 군으로 나누었다. 음성 대조군을 제외한 각 군 당 4개의 시편 상면에 Streptococcus mutans, Lactobacillus casei 및 Candida albicans를 포함하는 다종 우식원성 세균을 접종하고 28일 간 배양하였다. 음성 대조군은 초기 우식병소 형성 뒤 인산 완충 용액에 담가 28일 간 보관하였다. 모든 시편의 탈회 정도는 micro-CT를 사용하여 분석하여 SDF와 KI가 탈회 상아질의 내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SDF와 SDFKI군에서는 양성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탈회 깊이가 감소하여 SDF와 SDFKI의 도포가 탈회 상아질의 내산성을 증가시켜 이차 우식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킨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KI 도포는 SDF의 항균 효과에 대해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 SDF와 SDFKI 도포는 탈회 상아질의 내산성을 증가시켜 이차 우식의 예방에 효과가 있었다. 또한 KI는 SDF의 항균 효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검은 변색의 가능성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임상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Silver Diamine Fluoride와 요오드화 칼륨 도포 후 상아질 표면 거칠기와 초기 우식원성 세균막 형성 (Surface Roughness of Dentin and Formation of Early Cariogenic Biofilm after Silver Diamine Fluoride and Potassium Iodide Application)

  • 김해니;박호원;이주현;이시영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40-148
    • /
    • 2022
  • 이 연구는 우식원성 세균막 형성과 상아질 표면 거칠기에 대한 Silver diamine fluoride와 요오드화 칼륨(KI)의 영향을 실험실 환경에서 평가하는 것이다. 인공 우식을 유발한 48개의 Bovine dentin 시편을 제작하여 대조군, SDF 도포, SDF와 KI 도포(SDFKI)의 3개 군으로 나누었다. 각 군당 10개의 시편의 상면에 Streptococcus mutans, Lactobacillus casei 및 Candida albicans를 포함하는 다종 우식원성 세균을 24시간 동안 배양 후 세균 수를 측정하였다. 나머지 시편은 원자 힘 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SDF와 SDFKI 도포 시 대조군에 비해 세균 수가 유의하게 감소했으며, KI는 SDF의 항균 효과를 유의하게 저해하지 않았다. 현미경 관찰 시 SDF와 SDFKI 도포 후 생성되는 입자가 상아질 표면에 침착 되는 것을 관찰했으나 표면 거칠기는 세 군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Can silver diamine fluoride or silver nanoparticle-based anticaries agents to affect enamel bond strength?

  • Jaqueline Costa Favaro ;Yana Cosendey Toledo de Mello Peixoto ;Omar Geha ;Flaviana Alves Dias ;Ricardo Danil Guiraldo ;Murilo Baena Lopes ;Sandrine Bittencourt Berger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6권1호
    • /
    • pp.7.1-7.8
    • /
    • 2021
  • Objectives: The aim of the curr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fferent anticaries agents, such as experimental agents based on silver nanoparticles (SNPs) and silver diamine fluoride (SDF), on the micro-shear bond strength (μ-SBS) of composite resin applied to intact enamel (IE) or demineralized enamel (DE). Materials and Methods: Sixty dental enamel fragments were collected from human third molars and categorized into 6 groups (n = 10): positive control (IE), negative control (DE), IE + SDF, DE + SDF, IE + SNP and DE + SNP. Samples from DE, DE + SDF and DE + SNP groups were subjected to pH cycling; superficial microhardness test was performed to confirm demineralization. Resin composite build-ups were applied to the samples (0.75-mm diameter and 1-mm height) after the treatments (except for IE and DE groups); μ-SBS was also evaluated. Samples were analyzed under a stereomicroscope at 40× magnification to identify failure patterns. Data were subjected to one-way analysis of variance, followed by Tukey's and Dunnett's tests (p < 0.05).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IE, IE + SNP, DE + SDF, and DE + SNP groups. The IE + SDF and DE groups recorded the highest and the lowest μ-SBS values, respectively. Adhesive-type failures were the most frequent for all treatments. Conclusions: Anticaries agents did not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μ-SBS of composite resin when it was used on IE or DE.

불화나트륨 바니쉬와 요오드화 칼륨이 Silver Diamine Fluoride의 재광화 효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dium Fluoride Varnish and Potassium Iodide on Remineralization Efficacy of Silver Diamine Fluoride)

  • 이건호;안준용;김종수;한미란;이준행;신지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467-475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silver diamine fluoride(SDF)를 도포할 때 불화나트륨(sodium fluoride, NaF) 바니쉬와 요오드화 칼륨(potassium iodide, KI)이 SDF의 재광화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유치의 법랑질 인공 우식 병소에서 미세경도의 변화를 통해 측정하고, 도포 전과 후의 표면 형태를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을 통해 관찰하여 비교하는 것이다. 발치된 유구치의 인접면에 법랑질 인공 우식병소를 형성하고 비커스 미세경도를 측정한 후, 4개의 군으로 나누어 I군에는 SDF, II군에는 SDF와 NaF 바니쉬, III군에는 SDF와 KI, 그리고 IV군에는 증류수를 처리하였다. 8일 간 pH cycling을 시행한 후 비커스 미세경도를 다시 한번 측정하여 미세경도의 변화량을 계산하였다. 또한 치아 연마 후, 인공 우식 유발 후, 그리고 pH cycling 이후 각 군에 대하여 각각 2개의 시편을 이용하여 SEM를 촬영하여 표면의 형태를 관찰하였다. 연구결과 미세경도는 III군에서 가장 크게 증가했다. I군과 II군 모두 미세경도의 증가를 보였으나 두 군 사이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IV군에서도 미세경도의 증가를 보였으나 그 변화 정도는 가장 적게 나타났다. SEM 관찰 결과 I, II, III군이 우식 유발 직후나 IV군과 비교하여 표면이 더 균일해지고 불규칙성이 감소된 양상을 보였으며, III군에서 무정형의 피막 형태의 침착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보면 SDF만을 도포한 군과 SDF와 NaF, SDF와 KI를 함께 도포한 경우 모두 표면 형태가 균일해지고 미세경도가 증가하였으며 이와 같은 결과를 기반으로 구강 내의 환경에서도 재광화 효과를 가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또한 이 연구의 제한된 조건 하에서 NaF 바니쉬를 사용하였을 때에는 SDF의 재광화 효과를 증가시키지 못했으며, SDF와 KI를 함께 도포한 경우 SDF의 재광화가 효과가 증가되는 결과를 보였으나 추후 실제 구강 내에서의 다양한 상황을 고려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