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lphidae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8초

제주도산 넓적송장벌레 (딱정벌레목: 송장벌레과) 에 대한 분류학적 검토 (Taxonomic Status of Silpha perforata(Coleoptera: Silphidae) from Jejudo Is., Korea)

  • Cho, Young-Bok;Park, Sei-Woong;Massaki Nishikawa;Kwon, Yong-Jung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0권1호
    • /
    • pp.63-71
    • /
    • 2004
  • 제주도산 넓적송장벌레의 개체군에 대한 분류학적 위치를 검토하기 위해 한국, 일본 및 중국지역의 105 개체의 성충을 대상으로 수리분석과 수컷 생식기 비교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제주도산 송장벌레 개체군은 지역적 특성의 형태적 차이를 보여 주는 넓적송장벌레(Silpha perforata) Gebler 의 종내 변이로 나타났다.

비행간섭트랩에 포획된 속리산국립공원내의 송장벌레류 종구성 및 풍부도의 계절적 변동 (The effects of seasonal changes on the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Silphids (Coleoptera: Silphidae) captured by FIT at Mt. Sokrisan National Park, Chungbuk Province)

  • 오광식;김도성;조영복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209-214
    • /
    • 2011
  • 곤충 군집의 변화는 서식지 환경의 변화를 파악할 수 있는 척도가 된다. 속리산국립공원에서 2003년부터 2007년까지 월별(4월-10월)로 Flight Interception Trap (FIT)을 이용하여 송장벌레류의 종 구성과 풍부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6종 9,704개체가 조사되었는데, 이 중 넉점박이송장벌레(Nicrophorus quadripunctatus)가 8,763개체(90.3%)로 가장 높은 우점도를 보였다. 넉점박이송장벌레를 제외한 나머지 5종은 971개체(9.7%)에 불과하였다. 송장벌레 6종의 계절적 풍부도 변화에 따르면 7월과 8월이 최성기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간 풍부도는 2004년 이후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장기간의 모니터링 결과, 환경지표종으로 활용이 가능한 송장벌레류의 종구성과 풍부도 변화는 속리산의 기후변화를 간접적으로 나타내고 있음을 시사한다.

채집법에 따른 연엽산 일대 딱정벌레목의 출현상 비교 분석 (Comparison of Occurrences of Coleoptera by Three Sampling Methods in Mt. Yeonyeop Area, Korea)

  • 정종국;이승일;최재석;권오길
    • 환경생물
    • /
    • 제23권3호
    • /
    • pp.228-237
    • /
    • 2005
  • 2004년 4월부터 9월까지 총 6개월 동안, 강원대학교 학술림내 연엽산 일대의 딱정벌레목의 출현상을 채집방법에 따라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Sweeping에 총35과 151종 690개체가 나타났고, light trap에 30과 148종 689개체가 출현하였으며, 그리고 pitfall trap에는 총18과 112종 1674개체가 채집되었다. 채집방법별 건중량은 pitfall trap (181.46 g), light trap (39.85 g), 그리고 sweeping (10.89 g)의 순으로 나타났다. Light trap으로는 크기가 작고, 비행성이 강한 Coccinellidae, Nitidulidae, Scarabaeidae 등이 주로 출현하였으며, 7월에 종수가 가장 많았다. 또한 pitfall trap의 경우, 크기가 크고, 육식성 또는 부식성인 Carabidae, Silphidae, Staphylinidae종류가 많이 출현하였다. 특히 가장 많은 개체수가 채집되었지만, 종수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그리고 sweeping의 경우 식식성이거나 미소 곤충을 포식하는 작은 크기의 Chrysomelidae, Curculionidae, Coccinellidae등이 많이 출현하였고,5월에 종수가 가장 많았다. 채집방법간 유사도 분석 결과, Jaccard's index의 값이 light trap-pitfall trap에서 0.07, light trap-sweeping에서 0.10,그리고 pitfall trap-sweeping에서 0.01로 상관성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각 채집방법에 따른 효과는 모두 달랐으며, 다양성 연구 시 세 가지 방법 모두를 사용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본다.

보행성 딱정벌레류의 다양성 및 풍부도에 관한 연구 -경북 상주시 갑장산- (Diversity and Abundance of Ground-beetles (Coleoptera) in Mt. Gabjangsan, Korea)

  • 박종균;연화순;담휴착
    • 한국토양동물학회지
    • /
    • 제8권1_2호
    • /
    • pp.32-36
    • /
    • 2003
  • 상주시에서 위치한 갑장산(805.7 m)을 대상으로 고도 200m부터 800m까지 100m 간격으로 7개의 시험구를 설정하여 2001년 8월부터 2001년 10월까지 당밀을 이용한 pitfall trap를 설치하여 고도별, 계절별 다양도 및 우점도 지수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먼지벌레와, 딱정벌레과 그리고 송장벌레과에 속한 곤충들이 채집되었고, 전체 6,304개체 중 먼지 벌레과가 6,163개체로 98% 이상을 차지하였다. 고도 200m부터 700m까지 점차적으로 개체수의 증가추세를 보이다가 800m에서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고도 700m에서 심슨의 우점도지수는 0.66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800m에서 0.47로 가장 낮게 나났다. 반면 심슨의 다양도 지수는 800m에서 0.5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계절별 우점도 및 다양도 지수는 0.54에서 0.55로 큰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으며, 과 별 다양도지수는 먼지벌레과에서 가장 높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