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lent Message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9초

A Beacon-Based Trust Management System for Enhancing User Centric Location Privacy in VANETs

  • Chen, Yi-Ming;Wei, Yu-Chih
    • Journal of Communications and Networks
    • /
    • 제15권2호
    • /
    • pp.153-163
    • /
    • 2013
  • In recent years, more and more researches have been focusing on trust management of vehicle ad-hoc networks (VANETs) for improving the safety of vehicles. However, in these researches,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location privacy due to the natural conflict between trust and anonymity, which is the basic protection of privacy. Although traffic safety remains the most crucial issue in VANETs, location privacy can be just as important for drivers, and neither can be ignored. In this paper, we propose a beacon-based trust management system, called BTM, that aims to thwart internal attackers from sending false messages in privacy-enhanced VANETs. To evaluate the reliability and performance of the proposed system, we conducted a set of simulations under alteration attacks, bogus message attacks, and message suppression attacks.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system is highly resilient to adversarial attacks, whether it is under a fixed silent period or random silent period location privacy-enhancement scheme.

MMS를 이용한 암묵적 모바일 컨텐츠 전송 및 제어 기법 (Silent Mobile Content Delivery and Control Scheme using Multimedia Message Service)

  • 김규원;김문정;엄영익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6C권4호
    • /
    • pp.527-534
    • /
    • 2009
  • 대부분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 간에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MMS를 지원한다. MMS는 다양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합하게 설계되었고 이미 무선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동작하고 있으므로 MMS를 이용한 모바일 컨텐츠 제공 방법은 효율적일 수 있다. 그러나 이동통신 사업자가 사용자에게 모바일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기존의 MMS를 그대로 이용하는 방법은 몇 가지 단점을 가진다. 본 논문은 이를 해결한 데이터 전송 및 제어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은 새로운 프로토콜 설계 없이 기존 MMS 시스템의 일부 소프트웨어적인 수정만으로 사용자들에게 보다 쉽게 모바일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이동통신 사업자는 제안된 기법을 통하여 이미 제공한 모바일 컨텐츠를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모바일 일간 뉴스, 자동 S/W 업그레이드 서비스, 모바일 광고 등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시뮬레이션을 통해 MMS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사업자 스스로 사용자에게 모바일 컨텐츠를 전송하고 제어할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Comparison of the Operational Speed of Hard-wired and IEC 61850 Standard-based Implementations of a Reverse Blocking Protection Scheme

  • Mnguni, Mkhululi Elvis Siyanda;Tzoneva, Raynitchka
    •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10권3호
    • /
    • pp.740-754
    • /
    • 2015
  • This paper focuses on the reverse blocking busbar protection scheme with aim to improve the speed of its operation and at the same time to increase operational reliability, flexibility and stability of the protection during external and internal faults by implementation of the extended functionality provided by the IEC61850 standard-based protective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s (IEDs). The practical implementation of the scheme by the use of IEC 61850 standard communication protocol is investigated. The proposed scheme is designed for a radial type of a distribution network and is modeled and simulated in the DigSILENT software environment for various faults on the busbar and its outgoing feeders. A laboratory test bench is built using three ABB IEDs 670 series that are compliant with the IEC 61850 standard, CMC 356 Omicron test injection device, PC, MOXA switch, and a DC power supplier. Two types of the reverse blocking signals between the IEDs in the test bench are considered: hard wired and Ethernet communication by using IEC 61850 standard GOOSE messages. Comparative experimental study of the operational trip response speeds of the two implementations for various traffic conditions of the communication network shows that the performance of the protection scheme for the case of Ethernet IEC 61850 standard-based communication is better.

백제금동대향로의 조형성분석에 관한 연구(중국 금상감박산향로와 비교분석) (A study on a plasticity analysis for the Gilt-bronze Incense Burner of Baekje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with Chinese Inlaid Gold Boshan Xianglu-)

  • 신대택;박승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9호
    • /
    • pp.325-331
    • /
    • 2013
  • 1993년 12월 23일 부여 능산리 고분군과 나성(羅城, 궁성을 감싸고 있는 성곽 사이 절터)에서 발견된 금동대향로(金銅大香爐)는 지금까지 상상조차 할 수 없던 찬란한 백제미술의 진수였다. 이 사건은 1400년 동안 적막했던 세월의 시공을 뛰어넘어 우리에게 다가온 백제금동대향로는 마치 무덤 속에 누워있던 조상이 몸을 일으켜 우리 앞에 현신(現身)한 것처럼 무엇인가 강력한 힘으로 우리에게 메시지를 전달 한 것이다. 21세기는 문화의 시대라고 말한다. 그러나 그 문화란 민족적이면서도 또한 민족을 뛰어넘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것이 이 시대의 요청이다. 한마디로 민족없는 문화는 존재할 수 없지만, 민족만을 앞세운 문화 역시 존재할 수 없다는 것이다. 그것을 슬기롭게 헤쳐 나가는 길은 우리의 정체성을 회복하고 그 중심에서 다양한 문화를 포용하고 융화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백제금동대향로의 조형적 특징을 인식하고, 향로에 내제된 백제인의 정신세계를 이해하며, 조형성을 현대적으로 재구성하여 백제문화상품에 접목 우리의 금속공예를 세계에 알리는 동시에 잊혀져가는 한국공예문화의 정체성과 한국공예가 나아가야할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