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heung tidal flat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5초

위성영상 분석기술을 이용한 시흥갯벌의 지형 및 노출시간 분석 (Analysis on Topography and Exposure Duration of Siheung Tidal Flat Using Remote Sensing Techniques)

  • 구본주;김민규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5권4호
    • /
    • pp.291-298
    • /
    • 2013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topography and exposure duration of the Siheung tidal flat, tidal ranges and DEM constructed by remote sensing techniques were analyzed. A cross-sectional diagram of the intertidal area reveals that it is relatively flat in the upper zone and then abruptly plunges into the bottom of the main channel where elevations increase in an upstream direction. The waterline during the Highest Low Water (HLW) is drawn back to the bottom of the channel at the middle part of the tidal flat and is formed along the slant of the channel during the Lowest High Water (LHW). The intertidal zone is located between -410 cm and 510 cm in terms of elevation and its total area is $0.65km^2$. An area between the Highest High Water (HHW) and Lowest High Water (LHW), occupying about 80% of the total area, occupies $0.52km^2$ of total area and accounts for 56% of the exposure duration. The boundary of wetland protection area in the Siheung tidal flat did not exactly coincide with the intertidal regime and differs by more than 15%. This study, which precisely analyzed the tidal flat area, tidal environment, and topography, would be useful in making a conservation plan and in learning how to use a wetland protection area in a sustainable manner.

조간대 내에서 칠면초(Suaeda japonica) 종자의 분포 및 매토 특성 (Seed Distribution and Burial Properties of Suaeda japonica in Tidal-flat)

  • 민병미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8권3호
    • /
    • pp.141-147
    • /
    • 2005
  • 조간대 내 칠면초 종자의 분포 및 매토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1999년 3월부터 2000년 10월까지 경기도 시흥시 월곳동에서 매토 종자의 수직 및 수평 분포와 게에 의한 저토의 굴착량을 추정하였다. 칠면조 종자는 94%가 모체의 수관 아래 분포하였으며, 나머지 6%만이 수관밖에 위치하였다. 저질 내 유기물 함량은 칠면초가 있는 지역에서는 6 cm 깊이까지 평균 17%로 높았지만 이것이 없는 지역에서는 8%로 낮았다. 한편, 식생지에서 유기물 함량은 표토(1 cm 깊이)가 19%이었으며 하층으로 갈수록 감소하여 6 cm 깊이에서는 14%이었다. 칠면초 종자는 표면으로부터 2 mm 이내에 45%가 매토되어 있었고 하층으로 갈수륵 급격히 감소하여 12 mm깊이 이후에는 없었다. 갑각류의 서식밀도는 식생지는 비식생지보다 높았으며 특히, 세스랑게류의 겉은 약 8 배이었다. 식생지에서 갑각류가 하층으로부터 파낸 저질의 양을 추정한 결과 2,409 $cm^3{\cdot}m^{-2}$이었으며 이는 저토의 높이를2.4 mm 상승시킬 수 있는 양이었다. 따라서 칠면초 종자는 자신의 고사체와 갑각류가 구멍을 형성하는 동안 파낸 저토에 의해 매토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식생지는 비식생지보다 많은 양의 갑각류가 서식하는 결과에 의하면 갑각류는 칠면초로부터 일부 이득을 얻는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