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ckness Impact Profile(SIP)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5초

동기강화 프로그램이 노년기 여성의 건강행위, 심혈관질환 위험요인 및 기능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otivation-Enhancing Program on Health Behaviors,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nd Functional status for Institutionalized Elderly Women)

  • 송라윤;전경자;노유자;김춘길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858-870
    • /
    • 2001
  • Purpose: This study was to compare changes in health behaviors, motivational factors,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nd functional status (SIP) after implementing the 6-month motivation-enhancing program to institutionalized elderly women. Methods: Sixty-four elderly women participated. Face to face interviews with blood sampling and anthropometric assessment were conducted at the pretest, 10 weeks and 6 months during the program. Results: 1. The program participants showed significantly better health behaviors over 6 months. The mean motivational level was also significantly improved, especially for perceived benefits, perceived barriers, and emotional salience. 2. The mean of cardiovascular risk factors for the participants was 21.8 at the level of low to moderate risk. After completing the program, total risk scor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to 18.7 at 10 weeks, and further to 17.7 at 6 months. A significant reduction was also found in HDL and LDL-cholesterol levels, blood pressure, obesity, inactivity, and stress. 3. The functional status (SIP) was 11% at the baseline and significantly changed in positive direction at 10 weeks(M=9.3) and at 6 month(M=6.3). The significant improvement was also found in physical and psychosocial dimensions and sleep/rest dimension. Conclusion: The motivation enhancing program was effective to reduce cardiovascular risks and to improve the functional status of institutionalized elderly women by motivating them to perform better health behaviors.

  • PDF

외상성 뇌 손상 환자의 삶의 목적 수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urpose-in-Life Level in Patients with Traumatic Brain Injury)

  • 노승호;김성우
    • 정신신체의학
    • /
    • 제7권2호
    • /
    • pp.184-195
    • /
    • 1999
  • 연구목적 : 외상성 뇌 손상은 정신과 신체에 만성적 후유증을 남기기 때문에 환자들이 남은 생애를 의미 있는 삶으로 가꾸어 가고자 할 때 그들은 그 동안 추구해 왔던 삶의 의미와 목표를 수정하여 새로운 목표를 세워야 할 것이다. 이에 손상의 증상과 장해가 고정된 후 환자들의 삶의 질과 미래에 대한 심리적 준비 상태는 어떤지, 그러고 이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은 무엇인지를 조사하여 재활치료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방법 : 경도 또는 고도의 뇌 손상을 받은 후 12개월 이상 경과한 16~65세 사이의 환자 32명, 그리고 환자들과 연령, 성별 및 교육수준이 비슷한 정상 대조군 32명을 대상으로 삶의 목적 검사(PIL)와 주관적(SIP, HISC) 및 객관적 삶의 질 척도들(QOLI, NRS) 을 사용하여 삶의 목적 및 삶의 질 수준을 평가하고, 집단간의 차이와 각 변인들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결과 : 1) 뇌 손상군의 삶의 목적 및 삶의 질 수준은 증상이 안정된 후에도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1. p<.01). 2) 뇌 손상 환자군의 삶의 목적 수준은 $58.8{\pm}23.2$로서 실존적 공허 수준에 머무르고 있었다. 3) 뇌 손상군의 삶의 목적 수준과 삶의 칠 수준간에는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p<.01). 4) 뇌 손상 환자 중 여자 환자의 삶의 목적 수준은 남자보다 유의하게 낮았고(p<.05), 삶의 목적 수준이 낮은 집단은 높은 집단보다 여자의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p<.05). 5) 뇌 손상군에서 외상의 심도(갱도와 고도), 결혼상태(결혼과 비결혼), 외상 전 직업상태(고용과 비고용)에 따라 분류한 하위 집단간 삶의 목적 수준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 외상성 뇌 손상 환자들의 삶의 목적 수준은 증상이 안정된 후에도 실존적 공허의 수준에 머무르고 있었고, 삶의 질 수준 역시 현저히 낮았으며, 삶의 목적 수준이 낮을수록 삶의 질도 낮았다. 그리고 성별 차이 외에 인구통계 및 임상적 변인들은 삶의 목적 수준에 영향을 주자 않았다. 따라서 놔 손상 환자들의 효과적인 재활치료를 위해서는 우선 환자들이 자신의 장애를 받아들이고 새로운 삶의 목표를 세우는 데 중점을 두어야 할 것으로 여겨졌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