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ckness

검색결과 366건 처리시간 0.023초

Association of Amplitude and Stability of Circadian Rhythm, Sleep Quality, and Occupational Stress with Sickness Absence among a Gas Company Employees-A Cross Sectional Study from Iran

  • Zare, Rezvan;Choobineh, Alireza;Keshavarzi, Sareh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8권3호
    • /
    • pp.276-281
    • /
    • 2017
  • Background: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sickness absence and occupational stress, sleep quality, and amplitude and stability of circadian rhythm as well as to determine contributing factors of sickness absence. Methods: This cross 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on 400 randomly selected employees of an Iranian gas company.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Karolinska sleepiness scale, circadian type inventory, and Osipow occupational stress questionnaires. Results: The mean age and job tenure of the participants were $33.18{\pm}5.64years$ and $6.06{\pm}4.99years$, respectively. Also, the participants had been absent from work on average 2.16 days a year. According to the results, 209 participants had no absences, 129 participants had short-term absences, and 62 participants had long-term absences. The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hort-term absenteeism and amplitude of circadian rhythm [odds ratio (OR) = 6.13], sleep quality (OR = 14.46), sleepiness (OR = 2.08), role boundary (OR = 6.45), and responsibility (OR = 5.23). Long-term absenteeism was also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mplitude of circadian rhythm (OR = 2.42), sleep quality (OR = 21.56), sleepiness (OR = 6.44), role overload (OR = 4.84), role boundary (OR = 4.27), and responsibility (OR = 3.72). Conclusion: The results revealed that poor sleep quality, amplitude of circadian rhythm, and occupational stress were the contributing factors for sickness absence in the study population.

가상현실 렌더링 지연시간 보상에 따른 떨림 현상과 멀미 간 관련성 연구 (Relation between jittering from compensation for latency and VR sickness)

  • 윤원배;한정현
    •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 /
    • 제23권1호
    • /
    • pp.1-8
    • /
    • 2017
  • 가상현실 기기의 지연시간이 유발하는 멀미는 가상현실 대중화에 큰 걸림돌이었다. 이 지연시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대부분의 HMD 기기들은 PC와 HMD의 영상 전송에 유선 케이블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유선 케이블은 공간상의 제약을 주어 사용자의 몰입을 방해하고 불편함을 느끼게 한다. 사용자가 가상현실에서 느끼는 몰입감을 극대화 하기 위해서는 무선 영상 전송 시스템이 필요하다. 그러나 무선 영상 전송 시스템은 유선 케이블에 비하여 영상이 전송되는데 더 긴 시간이 소모되어 지연시간이 늘어나게 된다. 이렇게 늘어난 지연시간은 사용자가 경험하는 가상현실 멀미에 악영향을 준다. 늘어난 지연시간은 예측 알고리즘을 통하여 줄일 수 있으나 긴 지연시간에 대한 예측 알고리즘은 떨림 현상을 야기한다. 이러한 떨림 현상이 사용자의 가상현실 멀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예측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떨림 현상이 사용자의 가상현실 멀미를 심화시키는 것을 실험을 통해 증명했다. 앞으로의 예측 알고리즘은 떨림 현상 또한 고려하여 설계되어야 한다.

가상환경에서의 HMD사용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an Using Effect of Head Mounted Display to the Body in Virtual Environments)

  • 이창민;정진희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3권4호
    • /
    • pp.389-398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PDS시스템 -HMD와 기타 VDU-이 가상환경에서 인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조사하였다. 연구에 관련된 실험은 HMD나 VDU를 착용하고 한시간 정도의 3차원 게임을 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정량적인 측정 및 분석 도구로는 SSQ와 RSSQ, 실험전후의 자세 테스트, 그리고 시각 테스트가 실행되었다. 실험 결과는 피 실험자간의 개인적 차이는 있지만 자세 안정성 테스트 결과와 SSQ 와 RSSQ TS 간의 관계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HMD의 SSQ, RSSQ 의 TS는 VDU의 TS 보다 1.5배 높았고, 특히 넓은 시야를 가진 MRG 3C의 TS는 SS를 일으킬 가능성이 2배나 많았다. 시뮬레이터의 통제 정도에 따른 Sickness 정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수동적 환경과 능동적 환경에서 실험한 결과 PDS간 유의성은 보이지 않았으며 같은 환경의 반복적인 경험을 통하여 sickness유발 가능성이 감소할 것이라는 가정도 유의성이 크지 않았다. 방향감각 상실 증상군과 안구운동 불편 증상군의 TS가 높게 나타났으며 또한 RSSQ를 통하여 긴장/당황증상군의 TS도 높게 나타났다. 이는 가상환경에 노출시 개인적 두려움도 sickness 가능성을 유발하고 있다고 유추할 수 있었다.

  • PDF

실습선 가야호의 선속 변화에 따른 뱃멀미 지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otion Sickness Incidence due to Changes in the Speed of the Training Ship Kaya)

  • 한승재;하영록;이승철;이창우;김인철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28-233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실습선 가야호를 대상으로 하여 파랑 중 운동성능을 평가하였다. 그리고 쾌적한 승선감을 확보하기 위하여 실제 해상에서 운항중인 선박의 선내 위치별 수직가속도 성분을 선체운동 계산 기법을 통해서 구하고, 수직가속도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가야호의 선속변화에 따른 가속도 계산 결과를 뱃멀미 지수(MSI; Motion Sickness Incidence)의 가이드라인과 비교 검토하여 멀미의 정도를 표시하였다. MSI 계산 결과는 선속이 5 knots, 10 knots, 12 knots로 커지는 순서대로 수직가속도의 가중치가 높게 나타나며, 입사각은 $180^{\circ}$$150^{\circ}$에 비해 선수사파인 $120^{\circ}$의 경우에 수직가속도의 가중치가 높게 나타났다.

가상현실 미디어 기술동향과 VR 멀미저감 방안 (Overview of VR Media Technology and Methods to Reduce Cybersickness)

  • 문성철;황민철;박상인;이동원;김홍익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3권6호
    • /
    • pp.800-812
    • /
    • 2018
  • 본 논문은 최신 가상현실 미디어 기술동향과 다양한 분야에서 시도해 온 VR 멀미저감 방안을 리뷰하여, 가상현실 사용자의 인지적 수용성을 높이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를 통해 최신 미디어 기술의 사용자 가치제안 방식을 분석하고 Social VR 플랫폼의 인지적 수용성을 개선하는 효율적 방안을 제안하였다. 생체신호 모니터링, VR 콘텐츠 적합도 분석, 멀미 메커니즘 조절, 신체동요측정 기반 멀미예측 등 다양한 멀미저감 방식 중 개발 비용과 사용자 수용성 측면에서 가장 효율적인 신체동요측정 기반 멀미예측 기술의 테스트 결과를 기술하고 적용 방안을 구체화하였다. 가상현실 체험 전 미세한 신체동요가 많은 사용자일수록 VR 멀미 민감도가 크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개인의 멀미 민감도를 반영하는 본 측정 결과를 다양한 가상현실 환경에서 테스트하고 개인특성에 따른 VR 멀미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면 AI 기반의 멀미 예측기술을 구현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시선 추적기법을 활용한 시선 유도와 사이버 멀미 관계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aze guidance and cybersickness using Eyetracking)

  • 이태구;안찬제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3호
    • /
    • pp.167-173
    • /
    • 2022
  • 가상현실 시장의 규모는 해마다 성장하고 있으나 가상현실에서 일어나는 사이버 멀미는 아직까지 해결되지 않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가상현실 콘텐츠에서 일어나는 사이버 멀미와 시선 유도와의 관계에 대해 실험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였다. 시선추적기법을 활용하여 시선의 움직임이 사이버 멀미와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시선 유도가 사이버 멀미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두 그룹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또한 사이버 멀미가 성별에 따라 다른 결과를 보이는지 확인하기 위해 두 그룹을 나누어서 결과를 분석하였다. 사이버 멀미를 측정하기 위해 SSQ설문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두 가지 방법을 통해 시선 유도와 사이버 멀미와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실험의 결과 명확한 시선의 유도가 시선의 집중이 일어나게 하였으며 카메라의 회전을 통한 사이버 멀미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이버 멀미를 완화하기 위해서는 시선 유도연출을 통해 시선의 집중을 하게 하는 것이 사이버 멀미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결과가 가상현실을 이용해서 제작하려는 제작자들에게 사이버 멀미를 완화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으로 사용되어 콘텐츠 제작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A Case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tDCS to Reduce Cyber-Sickness in Subjects with Dizziness

  • Chang Ju Kim;Yoon Tae Hwang;Yu Min Ko;Seong Ho Yun;Sang Seok Yeo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36권1호
    • /
    • pp.39-44
    • /
    • 2024
  • Purpose: Cybersickness is a type of motion sickness induced by virtual reality (VR) or augmented reality (AR) environments that presents symptoms including nausea, dizziness, and headach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how cathodal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tDCS) alleviates motion sickness symptoms and modulates brain activity in individuals experiencing cybersickness after exposure to a VR environment. Methods: This study was performed on two groups of healthy adults with cybersickness symptoms.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receive either cathodal tDCS intervention or sham tDCS intervention. Brain activity during VR stimulation was measured by 38-channel functional near-infrared spectroscopy (fNIRS). tDCS was administered to the right temporoparietal junction (TPJ) for 20 minutes at an intensity of 2mA, and the severity of cybersickness was assessed pre- and post-intervention using a simulator sickness questionnaire (SSQ). Result: Following the experiment, cybersickness symptoms in subjects who received cathodal tDCS intervention were reduced based on SSQ scores, whereas those who received sham tDCS showed no significant change. fNIRS analysis revealed that tDCS significantly diminished cortical activity in subjects with high activity in temporal and parietal lobes, whereas high cortical activity was maintained in these regions after intervention in subjects who received sham tDCS.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athodal tDCS applied to the right TPJ region in young adults experiencing cybersickness effectively reduces motion sickness induced by VR environments.

벌독으로 인한 혈청병 양상의 두드러기 및 맥관부종 치험 1례 (A Case of Urticaria and Angioedema Caused from Serum Sickness Reaction by Bee Venom)

  • 김정현;강다혜;김지영;임해원;김자헌;권강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38-146
    • /
    • 2011
  • Objective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prove the effect of the oriental medical treatments on urticaria and angioedema caused from serum sickness reaction by bee venom. Method : We treated one case of urticaria and angioedema with oriental medical treatments such as 8 constitution acupuncture, herbal medicine, venesection therapy and facial pack therapy. We took pictures through the treatment to evaluate the improvement. Six items, itching, burning sensation, pain, wheal, redness, edema were used to diagnose urticaria and angioedema. Result & Conclusion : After treatments the urticaria and angioedema were improved. The symptom of itching, heating, pain, wheal, redness of whole body and facial edema disappeared.

The overall motion sickness incidence applied to catamarans

  • Piscopo, Vincenzo;Scamardella, Antonio
    • International Journal of Naval Architecture and Ocean Engineering
    • /
    • 제7권4호
    • /
    • pp.655-669
    • /
    • 2015
  • The Overall Motion Sickness Incidence is applied to the hull form optimization of a wave piercing high-speed catamaran vessel. Parametric hull modelling is applied to generate two families of derived hull forms, the former varying the prismatic coefficient and the position of longitudinal centre of buoyancy, the latter instead the demi-hull separation. Several heading angles are analysed in a seaway, considering all combinations of significant wave height and zero-crossing period under two operating scenarios. The optimum hull is generated and vertical accelerations at some critical points on main deck are compared with the parent ones. Finally a comparative analysis with the results obtained for a similarly sized monohull passenger ship is carried out, in order to quantify, by the OMSI, the relative goodness in terms of wellness onboard of monohulls and catamarans, as a function of sea states and operating scenarios.

머리착용 디스플레이에 의해 유발된 멀미 증상이 동공 리듬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imulator Sickness Caused by Head-mounted Display on the Stability of the Pupillary Rhythm)

  • 박상인;이동원;문성철;김홍익;황민철
    • 감성과학
    • /
    • 제21권4호
    • /
    • pp.43-54
    • /
    • 2018
  • 본 연구는 멀미증상이 동공 리듬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2D와 HMD를 통해 동일한 가상현실 콘텐츠를 실험참가자에게 15분 동안 경험하게 한 이후에 동공반응을 비교하였고 본 실험에는 16명(남자 8명, 여자 8명, 평균 나이: $25.67{\pm}2.43$세)의 피험자가 참여하였다. 연구 결과, 영상멀미를 경험한 이후에 동공 리듬이 불규칙한 패턴을 나타내었고 이것은 동공 크기(mPD) 및 동공 리듬의 편차(sPD)가 증가하는 결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동공 반응의 결과는 인지부하와 밀접한 관련이 있고 영상멀미를 처리해야 할 시각 정보량의 증가 및 감각정보들 사이의 충돌 혹은 불일치로 인한 인지부하 현상으로 해석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방법은 기존의 센서 기반의 평가 방법에 비해 멀미 증상을 카메라 기반의 비접촉식으로 측정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