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rub Structure

검색결과 199건 처리시간 0.024초

보문산 삼림(森林) 군집(群集)의 구조(構造)와 동태분석(動態分析) (II) (The Structural and Dynamic Analysis of the Forest in Mt. Bomun (II))

  • 김지문;송호경
    • 농업과학연구
    • /
    • 제10권1호
    • /
    • pp.22-27
    • /
    • 1983
  • 보문산의 관목시(灌木尸)을 대상(對象)으로 수종(樹種)의 종군(種群) 분류(分類)와 천이(遷移) 계열(系列)을 추정(推定)하기 위하여 $5{\times}5m$의 quadrat 22개소(個所) 선정(選定)하였다. 관목(灌木)의 분석(分析)에는 reciprocal averaging(RA) ordination 방법(方法)을 사용(使用)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보문산에 출현(出現)한 관목수종(灌木樹種)은 45종(種)이었으며 우세종(優勢種)은 Quercus aliena, Quercus serrata, Rhododendron mucronulatum 등(等)이다. 2. RA ordination으로 분석(分析)한 결과(結果) 보문산의 관목(灌木)은 Zanthoxylum schinifolium에서 Spiraea prunifolia for. simpliciflora-Rubus crataegifolius 를 거쳐 Quercus류(類)로 천이(遷移)되며, 또 하나는 Stephanandra incisa-Corylus heterophylla에서 Lespedeza maximowiczii를 거쳐 Quercus류(類)로 천이(遷移)된다.

  • PDF

비슬산(琵瑟山) 산림식생(山林植生)의 군락구조(群落構造) (Community Structure of forest vegetation in Mt. Bislsan)

  • 이중효;서승희;홍성천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23권
    • /
    • pp.9-18
    • /
    • 2005
  • Vegetation composition and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Mt. Bislsan, Dalseung-Gun, Daegu in Korea, were studied using a qualitative with a quantitative approach and its vegetation types and various ec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importance values, species diversity of the major component species analyzed. The forest vegetation were classified into 2 community group, 14 community, 6 group, and total of 18 vegetation units. Pinus densiflora distributed mainly from lower at the sea level, while Quercus mongolica tended to distributed upper altitude in Physiognomical vegetation. the species diversity values showed mostly 0.8 and Quercus dentata, Quercus serrato and Cornus controversa Community and so on highly showed to 1.0 and 1.1. According to the results of importance value analysis, the I.V. of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mongolica highly showed in the tree and subtree layer, and Rhododendron mucronulatum and Lindera obtusiloba and so on highly showed in the shrub.

  • PDF

Species Composition and Structure of the Oriental Arbor-vitae (Thuja orientalis L. Forest in Daegu, Southeastern Korea

  • Cho, Hyun-Je;Bae, Kwan-Ho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4권4호
    • /
    • pp.205-211
    • /
    • 2001
  • The floristic composition and structure of the Oriental Arbor-viate forest, natural monument no. 1, were investigated in the Daegu city, southeastern Korea. Vegetation stratification have four layers including tree (>5m), subtree (2m-5m), shrub (1m-2m) and herbs (<1m), which occupied 63.8%, 10.7%, 12.1% and 49.4%, respectively. The vegetation of the study area were divided into Artemisia keiskeana - Quercus variabilis and Pyrrosia linearifolia-Thuja orientalis (OAV) communities. Frequency distribution for diameter classes of the Oriental Arbor-vitae population showed a reverse-J shape. The result suggests that the OAV forest of this site might maintains continuously the present state. The annual radial growth of OAV,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variabilis, the dominant species of the present site showed 0.29, 1.01 and 1.28 mm/year, respectively. Competition of OAV with theh other species including P. densiflora and Q. variabilis could influence negatively on the growthand survival of OAV forest in this site.

  • PDF

오대산 월정사지역 전나무림의 생태학적 연구 (Ecological Research of Abies holophylla Forest at Wol-jong Temple(Mt. Odae, Kangwon-do))

  • 남성열;유석인;박완근;한상섭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16권1호
    • /
    • pp.69-81
    • /
    • 2000
  • 본 연구는 오대산 국립공원내 월정사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전나무림의 식생구조를 분석하여 이 지역 전나무림의 관리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그 결과 전나무림의 층위구조는 교목층(2종류), 아교목층(20종류), 관목층(46종류) 그리고 초본층(87종류)으로 구성되어있었다. 조사지역에 출현한 전체식물의 중요치는 전나무가 34.09%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당단풍(23.07%), 청시닥나무(14.44%), 고광나무(10.72%), 오리방풀(8.49%), 복자기 (7.80%), 고추나무(7.65%), 산거울(6.79%), 방아풀(5.76%), 고로쇠나무 (5.47%), 개다래(5.4%)의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나무의 치수가 전혀 없어 앞으로 아교목층과 관목층을 형성하고 있는 단풍나무류, 참나무류, 피나무류 등의 경쟁에 의하여 천이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내장산국립공원 굴거리나무군락의 생태적 특성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Daphniphyllum macropodum Miq. Community in Naejangsan National Park)

  • 최송현;오구균;조현서;강현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75-188
    • /
    • 2011
  • 내장산국립공원 금선계곡을 중심으로 식생구조를 파악하여 굴거리나무의 생태적 특성을 밝히고자 37개의 조사구(단위면적 $100m^2$)를 설치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Classification분석 중 TWINSPAN기법을 이용하여 군락분리를 시도한 결과, 군락 I과 군락 II는 서어나무군락, 군락 III은 낙엽활엽수군락, 군락 IV는 느티나무군락으로 최종 분리되었다. 식생구조 분석결과 내장산국립공원 내의 금선계곡지역의 굴거리나무는 교목층에서는 출현하지 않은 반면 아교목층과 관목층에서 주로 관찰되었으며, 추후에는 굴거리나무가 점차 세력을 확장하여 아교목층 및 관목층에서 주요종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임령분석결과 금선계곡부에서 서어나무와 느티나무가 우점종인 산림은 약 50여년 내외인 것으로 밝혀졌으며, 굴거리나무는 20여년의 수령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공원 구조 및 식생 조건에 따른 조류 종다양성 분석 - 천안시 26개 도시공원을 대상으로 - (Analysis of Bird Species Diversity Response to Structural Conditions of Urban Park - Focused on 26 Urban Parks in Cheonan City -)

  • 송원경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65-77
    • /
    • 2015
  • The urban park has important functions as a habitat for wildlife as well as open space of rest and community for peopl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what factors of structure and vegetation of urban parks could affect forest bird species diversity in Cheonan city. The study surveyed bird and vegetation species in 26 urban parks, Cheonan city. 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s were performed to test whether habitat structure and vegetation were the major correlate with species diversity. The results showed the Dujeong park was the most high bird species diversity (H' = 2.13), and the Dujeong-8 park (H' = 2.02) and the Cheongsa park (H' = 1.73) were considerably higher than the other urban parks. The variables that were strongly correlated with bird species diversity were park area, number of subtree species, canopy of shrub, number of shrub species, shape index, canopy of subtree, canopy of tree, and impervious surface ratio. The regression of bird species diversity against the environmental variables showed that 3 variables of park area, canopy of subtree, and canopy of tree were included in the best model. Model variable selection was broadly similar for the 5 optimal models. It means park area and multi-layer vegetation were the most consistent and significant predictor of bird species diversity, because urban parks were isolated by built-up areas. Especially the subtree coverage that provides shelter and food for forest birds was an important variable. Therefore, to make parks circular-shaped and abundant multi-layer vegetation, which could be a buffer to external disturbances and improve the quality of habitats, may be used to enhance species diversity in creation and management of urban parks.

입지환경에 따른 잣나무 차대검정림 하층식생 구조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Structure for Prolific Open-Pollinated Progeny Stands of Pinus koraiensis by Environmental Factor)

  • 정동준;김홍률;신만용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151-157
    • /
    • 2003
  • 본 연구는 경기도 가평과 충청북도 영동에 조성된 풍매차대검정림의 하층식생에 대한 입지환경에 따른 군락조성 및 구조에 대한 변화와 특성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가평지역의 임분내 경사는 영동지역에 비해 완만했으며, 토양의 화학적 성질을 분석한 결과 가평지역이 전반적으로 영동치역 보다 전체적인 함량 비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임분내 지역별 임상에 도달하는 상대광도는 가평지역보다 영동치역이 매우 높았다. 전반적으로 잣나무의 생장은 가평지역이 영동지역에 비하여 현저히 우수한 생장상태를 보이고 있다. 잣나무 임분의 지역별 관목층의 종구성과 상대 밀도, 빈도, 피도 및 중요치 등에 대한 분석 결과, 가평지역은 신갈나무와 상수리나무가 우점종으로 나타났으며 영동지역은 상수리나무가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하층식생은 가평지역에 출현하는 종들은 대부분 토양이 습윤하며 음지에 볼 수 있는 종들로 구성되어 있다. 영동지역은 가평지역에 비해 적은 종이 출현하며 대부분 경사가 심하고 토양이 건조하며 햇빛이 많이 도달하는 곳에 출현하는 종들로 특히 산딸기가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잣나무임분의 관목층 및 하층식생의 전체 종다양도는 가평지역이 영동지역보다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두 지역간의 지형적인 특성인 경사도의 상이한 차이로 판단되며, 가평지역은 잣나무 생장을 고려하여 간벌이 시행되어져야 하며, 영동은 하층식생에 대한 무육관리가 시급한 것으로 사료된다.

삼림군집구조 조사를 위한 조사구 크기에 관한 연구(III) -주왕산지역 소나무림의 관목층 적정 조사구 면적- (Plot Size for Investigating Forest Community Structure(III) -Adequate Plot Area of Shrub Stratum in a Pinus densiflora Forest at Chuwangsan Area-)

  • 박인협;문광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50-153
    • /
    • 1995
  • 단일 조사구에 의한 삼림군집구조 조사시 관목층의 적정 조사구 면적을 결정하기 위하여 주왕산지역 소나무림의 관목층을 대상으로 nested design에 의하여 19개의 조사구를 설치한 후 종수-면적 곡선, performance curve 등을 적용하였다. 종수-면적 곡선에 있어서 조사구 면적의 증가율보다 출현종수의 증가율이 낮은 최소 조사구 면적은 900$m^2$이었으며, 조사구 면적의 증가율에 비하여 출현종수의 증가율이 1/2 이하인 최소 조사구 면적은 1,500$m^2$이었다. Performance curve를 작성한 결과 조사구 면적 1,400$m^2$ 이상에서 주요 수종의 중요치가 일정한 경향으로 구분되었다. 전체 조사구 면적에 대한 유사도지수는 조사구 면적 900$m^2$, 625$m^2$ 이상에서 각각 90, 85% 이상의 값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보다 정확성을 요구할 경우 관목층의 적정 조사구 면적은 대체로 1,500$m^2$라고 할 수 있었다.

  • PDF

강원도 원주시 공원녹지의 식재 수종 및 식재밀도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Planting Density and Planting Species Characteristic Analysis of Park and Green Space in Wonju, Gangwon Province)

  • 한봉호;최진우;노태환;최태영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50-160
    • /
    • 2014
  • 본 연구는 강원도 원주시 도심지역인 행정동에 조성된 전체 공원과 녹지를 대상으로 식재 수종 및 식재밀도 특성을 분석하였다. 원주시 행정동지역 공원과 녹지에는 교목 침엽수 19종 8,050주, 활엽수 61종 6,037주, 관목 103종 77,609주가 식재되어 있었다. 근린공원, 어린이공원, 완충녹지, 경관녹지 4개 유형 모두 조성시기, 주변 토지이용 요인과 상관없이 침엽수인 스트로브잣나무의 수종 편중이 심하였고, 잣나무, 벚나무, 단풍나무, 느티나무, 소나무 순으로 식재되어 있었다. 공원과 녹지의 평균 식재밀도는 교목 0.03주/$m^2$, 관목 0.18주/$m^2$로 대부분의 대상지는 식재밀도가 낮았고 관목식재가 미흡하였다. 녹지공간 내 잔디식재지가 넓어 식재밀도 증진과 관목류 보식이 필요하였다. 따라서 공원녹지 내 추가로 식재할 수 있는 공간을 구분하여 미식재지역 내 수목 보식, 다층구조 식재, 관목 식재 등 식재밀도 증진을 제안하였다.

함양 대관림의 피해상태 및 식물군집 구조 (The Environmental Impact and the Structure of Plant Community of Daekwanrim I Hanyang)

  • 이경재;조남훈;정영관;조현서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52-64
    • /
    • 1991
  • The actual vegetation and environmental impact grade of Daekwanrim in Hamyang were investigated and the structure of the plant community was analyzed by the classification of TWINSPAN and three kinds of multivariate ordination (PCA, RA, DCA) techniques.Twenty-eight plots were set up by the clumped sampling method in June of 1990. Carpinus laxiflora and C. tschonoskii communities covered 38% and Quercus species communities covered 39% of the total rea. Environmental impact class 3 and 4 area. Twenty-eight plo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degree of damage by TWINSPAN and ordination techniques. The dominant species in the shrub layer of the heavily damaged site and the light damaged site were Styrax japonica and Sasamorpha purporanscens, so the sucessional trends should be disturb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nd scores of DCA and the environmental impact class, they had a tendancy to increase from the light damaged to heavily damaged sit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