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ort cylinder

검색결과 94건 처리시간 0.025초

조선시대 남자(男子)의 수식(首飾) 연구(I) (A Study on Korean Man's Head Ornaments in the Joseon Dynasty)

  • 장숙환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99-116
    • /
    • 2008
  • This study reviewed pertinent literature and examined relics of manggon(a headband worn to hold a man's topknot hair in place), donggot(a topknot pin), and chigwan(a topknot cover). Before the modernized short hair style, wearing a gat was an important custom. Therefore, manggon, which was used to hold a man's hair in place under the gat, was considered an essential part of the man's official dress code. Donggot is a pin that held the topknot hair in place. It was a must have for a married man, like the binyeo, a lod-like hairpin, for a married woman. Unlike gwanja, it had nothing to do with official rank, but materials were of a variety of materials, including jade and gold. The structure of the donggot was studied in three parts-head, neck and body. Major forms for the head include the mushroom, bean and ball. Bullet and half-cut bullet forms were also found. Forms for the neck include straight-neck and curved-neck. A neck with a belt around a double chin was also found. Forms for the body include the tetrahedron, octahedron and cylinder. The most popular form for silver and white bronze donggot heads was the mushroom, followed by bean and pile forms. Chigwan is also called chipogwan, chichoal, choalgyesogwan, noingwan and sangtugwan. In poetry it was called chichoal, and it used to be called taegogwan in the past as well. Chigwan was so small that it managed to hold a topknot. According to confucian custom in the Joseon period, by wearing chigwan, men didn't display their bare topknot even when they didn't dress up. When they went out, they wore another official hat over the chigwan.

  • PDF

황소개구리 (Rana catesbeiana)와 참개구리 (Rana nigromaculata) 정자의 미세구조 (Sperm Ultrastructure of Rana nigromaculata and Rana catesbeiana)

  • 이정훈;박기룡
    • Applied Microscopy
    • /
    • 제35권4호
    • /
    • pp.32-41
    • /
    • 2005
  • 본 연구는 개구리과 (Ranidae)에 속하는 황소개구리(Rana catesbeiana)와 참개구리 (Rana nigromaculata)에 대한 정자의 형태적 특징을 알아보기 위하여 광학 및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황소개구리와 참개구리의 정자 모두 두부의 형태는 긴 원통형이었다. 정자의 전체길이는 참개구리 ($51.2{\mu}m$)가 황소개구리($44.6{\mu}m$) 보다 더 길며, 이들 두 종 모두는 긴 머리와 매우 짧은중편부 및 아주 긴 주편부를 가지고 있었다. 이들 두 종 모두 핵내에는 글리코겐 과립을 함유하고 있었으며, 경부 (Neck)는 잘 발달되어져 있지 않은 반면, 축사구조는 9+2 구조로 구성되어져 있었다. 중편부의 미토콘드리아 수는 포유동물 정자의 그것에 비해 매우 적으며, 축사를 중심으로 다소 불규칙하게 감겨져 있었다. 이러한 사실로 미루어 보아, 황소개구리와 참개구리는 정자두부, 경부 및 중편부 그리고 미토콘드리아의 위치와 축사구조가 매우 유사함으로 이들 두 종은 유연관계가 깊은 군이라 여겨진다.

Tensile Properties of Fiber Reinforced Concrete

  • Cho, Baik-Soon;Back, Sung-Yong;Park, Hyun-Jung
    • KCI Concrete Journal
    • /
    • 제12권2호
    • /
    • pp.85-93
    • /
    • 2000
  • Potentially significant mechanical improvements in tension can be achieved by the incorporation of randomly distributed, short discrete fibers in concrete. The improvements due to the incorporation fibers significantly influence the composite stress - strain ($\sigma$-$\varepsilon$) characteristics. In general incorporating fibers in a plain concrete has relatively small effect on its precracking behavior. It, however, alters its post-cracking behavior quite significantly, resulting in greatly improved ductility, crack controls, and energy absorption capacity (or toughness). Therefore, a thorough understanding the complete tensile stress - strain ($\sigma$-$\varepsilon$) response of fiber reinforced concrete is necessary for proper analysis while using structural components made with fiber reinforced concrete. Direct tensile stress applied to a specimen is in principle the simplest configuration for determining the tensile response of concrete. However, problems associated with testing brittle materials in tension include (i) the problem related to gripping of the specimen and (ii) the problem of ensuring centric loading. Routinely, indirect tension tests for plain concrete, flexural and split-cylinder tests, have been used as simpler alternatives to direct uniaxial tension test. They are assumed to suitable for fiber reinforced concrete since typically such composites comprise 98% by volume of plain concrete. Clearly since the post-cracking characteristics a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reinforcing parameters and interface characteristics, it would be fundamentally incorrect to use indirect tensile tests for determining the tensile properties of fiber reinforced concrete. The present investigation represents a systematic look at the failure and toughening mechanisms and macroscopic stress - strain ($\sigma$-$\varepsilon$) characteristics of fiber reinforced concrete in the uniaxial tension test. Results from an experimental parametric study involving used fiber quantity, type, and mechanical properties in the uniaxial tension test are presented and discussed.

  • PDF

소규모 밭 관개용수 확보를 위한 소류천 빗물 집수장치의 현장 평가 (On-site Evaluation of Rainwater Harvesting Device for Securing Irrigation Water in Small Fields)

  • 최용훈;김영진;김민영;전종길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60권1호
    • /
    • pp.31-36
    • /
    • 2018
  • A rainwater harvesting device was developed for runoff flow harvesting in a small stream or channel and its performance was evaluated in small fields. The rainwater harvesting device has slits on its side of cylindrical volume in 15 cm diameter and 70 cm length, which is designed to increase its water flow harvesting capacity. The maximum collectable water quantity was about 0.0022 ton/sec (130 L/min). Rainwater harvesting device were installed in two locations (P1, P2). P1 is a point for rainfall runoff flow harvesting. P2 is a point for ordinary flow harvesting. During this study, total rainfall depth was 334.5 mm. Runoff of 1,722 ton and 7,984 ton occurred in P1 and P2, and 273 ton and 125 ton were collected by this rainwater harvesting device. Harvesting efficiency was calculated as 15.85 % and 1.57 % in P1 and P2. Clogging of screen filter media in the cylinder due to soil and suspended solids has lowered the harvesting efficiency. However, it was possible to harvest 30 ton/month of rainwater harvesting and it is expected that it will help to solve short-term water shortage.

이옥(李鈺)의 글에 나타난 18세기 조선시대 복식 (The Costumes of 18th Century Joseon Dynasty from Lee Ok's Writings)

  • 최지희;홍나영
    • 복식
    • /
    • 제63권5호
    • /
    • pp.18-34
    • /
    • 2013
  • This paper examines the costumes of 18th century Joseon dynasty that appears in the writings of Lee Ok(李鈺, 1760~1815). The main characteristics that can be inferred about the clothing from his writings are as follows. 1) It suppose that the color of first grade(一品) official uniform was purple. The popular color for the bride's ceremonial dress was red. 2) It was likely that only bridesmaids or married women were allowed to wear Jokduri(ceremonial coronet). 3) White clothes were only preferred in Yeongnam-udo, whereas other regions mainly wore blue, which differs from the national preference for white clothes that was prevalent in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4) Once cotton was harvested, it only took 5 days to convert it into cotton cloth and be sold on the market. Cotton cloth was one of the most important products during the latter half of the Joseon dynasty. It was common practice in markets to sell expensive costume materials as counterfeits or fungible goods with the intent to cheat. 5) The buddhist monk's hat is various that short cylinder form(短桶帽) and jade or gold headband button(玉圈 金圈) attached shape, etc. Consequently, Lee Ok's writing is a suitable reference for researching Joseon dynasty clothing, since it includes detailed and various descriptions of everyday clothing worn by strict noblemen, which is difficult to find elsewhere.

재생 PET 섬유가 혼입된 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구조거동 (Structural Behavior of Fiber Reinforced Concrete Mixed with Recycled PET Fiber)

  • 김성배;김현영;이나현;김장호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9권5A호
    • /
    • pp.543-550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재활용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로 만든 플라스틱 단섬유의 구조재료로서의 사용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서 가장 널리 상용되는 합성섬유인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섬유와 비교하였으며, 섬유의 혼입률을 0%, 0.5%, 0.75%, 1.0%로 변화시켜 혼입률에 따른 영향을 함께 검토하였다. 실험으로는 압축강도, 쪼갬인장강도 등의 재료 특성과 재생 PET(recycled PET fibers; RPET) 섬유가 혼입된 RC 부재에서의 극한성능과 연성을 평가하기 위해 RC보의 휨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압축강도는 섬유의 혼입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기존 PP섬유와 유사하였다. 반면 쪼갬인장강도는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구조 부재에 적용하였을 경우에는 RPET을 혼입한 RC 보의 극한강도, 상대 연성비, 에너지 흡수능력이 OPC 시편에 비해 확연히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극한 휨강도와 연성비가 증가하는 현상은 PP 섬유를 혼입한 콘크리트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RPET 섬유는 콘크리트 부재의 보강섬유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기능성누진렌즈 구매고객의 구매동향 및 양안시기능값 상관성 분석 (The Purchasing Trends of Purchase of Functional Progressive Addtions Lenses and Correlation Analysis of Binocular Function Value)

  • 김동민;이기영;박현주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55-261
    • /
    • 2015
  • 목적: 기능성누진렌즈 구매자의 구매실태 및 동향을 파악하고, ADD 결정에 필요한 양안시기능값의 변수 상관성을 분석하여 향후 판매와 처방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방법: 2011년부터 2014년까지 기능성누진렌즈를 처방받은 298명의 처방전을 바탕으로 데이터를 분석하고 SPSS(Ver. 20.0)를 사용하여 통계처리를 실시하였다. 결과: 구매고객은 평균 나이 $27.66{\pm}11.55$ 세이며, 가입도는 $+0.73{\pm}0.36D$, ADD $+0.75{\pm}0.28D$의 처방을 받아 사용한 고객이 132명(44.33%)으로 가장 높았다. 폭주근점은 대부분이 10 cm 이내로 276명(92.62%)였다. 조절근점이 10 cm 이내로 검사된 고객의 수는 134명의 44.97%, 11~15 cm 이내는 122명의 40.94%로 두가지 검사 모두 정상 범위가 대다수이나 폭주근점에 비하면 조절근점의 측정거리가 먼 경우가 많았다. 이는 대부분의 고객들이 조절이 부족하기 보다는 조절에 도움을 요구하는 구매자들이 많았음을 시사한다. FCC(Fused cross cylinder)검사값과 ADD(가입도)검사 값은 강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주었으며(p=0.00), NPC와 NPA도 p=0.001로, NPC(Near Point of Convergence)와 ADD의 상관관계는 p=0.003으로, 또한 NPA(Near Point of Accommodation)와 ADD도 p=0.005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조절근점과 허성상대조절력, 실성상대조절력과의 상관관계는 모두 p=0.00로 유의하게 조사 되었으며, ADD에 따른 근거리 관련 변수인 NPC, NPA, 나이 역시 서로 편상관관계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결론: 대상자들의 양안시기능값은 서로 높은 상관성을 보여 정확한 검사에 의한 처방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으며, 나이가 젊은 사람들이 주로 근업에 불편감을 느껴 낮은 ADD값을 처방받음을 알 수 있다. 그래서 초기 노안자나 조절이 부족한 경우 외 정상적인 조절을 가지고 있지만 잦은 근업으로 인해 피로도를 느끼는 고객에게 기능성누진렌즈의 설계에 따른 기대효과, 특징의 정확한 고지가 필요하다.

벼 품종별 입형분리기 최적 가동조건 (The Optimum Operating Conditions of Indented-Cylinder Length Grader to Remove Broken Rice based on Varietal Characteristics)

  • 이춘기;송진;윤종탁;서종호;이재은;김정태;정건호;김정곤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366-374
    • /
    • 2009
  • 벼 품종특성을 고려한 입형분리 최적조건을 설정하기 위하여 다양한 입형 특성을 갖는 41품종의 쌀을 입형분리의 체눈 직경 3.5, 3.8 및 4.2 mm, 싸라기 수거함의 각도 5, 15, $30^{\circ}$ 조건에서 싸라기 분리능을 비교시험 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싸라기 제거율은 기기적 측면에서 체눈의 직경과 깊이 및 싸라기 수거함의 각도, 품종적 측면에서 쌀알의 폭, 길이 및 천립중에 의해 주 영향을 받았다. 2. 싸라기 수거함의 각도는 지면과의 수평한 입형분리체 원통직경을 0도로 할 때 +5도와 +15사이에서 분리능이 좋았으며, +5도 이하에서는 완전미손실율 증가하고 각도가 높아질수록 완전미 손실율은 감소하나 분리된 싸라기 량도 감소되었다. 3. 기존 벼 품종에서 쌀알 기준으로 폭과 길이가 각각 2.9와 5.2 mm이상이고, 천립중이 22g 이상일 경우 4.2 mm이상, 폭이 작고 소립인 경우 3.8 mm, 그 밖의 중소립종은 3.8~4.2 mm의 체눈 직경이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4. 립장이 작고, 립폭은 상대적으로 크면서 두께가 얇은 품종은 그렇지 않은 품종보다 싸라기 분리능이 떨어지는 경향이었으며, 품종에 따라 입형분리기 체눈의 직경은 크고 깊이는 얕은 체 눈 규격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5. 싸라기 비율이 상대적으로 지나치게 높을 경우에는 다소 완전미율의 소실이 있더라도 권장 체눈 크기보다 큰 쪽을 택하는 것이 싸라기 제거량을 높일 수 있었다.

당근의 체세포배로부터 발생한 이상자엽 유식물의 유관속 조직의 구조적 특성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Vascular Tissue in Carrot Seedlings with Anomalous Cotyledon Developed from Somatic Embryos)

  • 홍성식;소웅영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69-74
    • /
    • 1998
  • 당근(Daucus carota L cv. Hongshim)의 체세포배를 MS 기본배지에서 4주간 현탁배양하여 얻어진 유식물들은 자엽수에 따라 유형별로 구별되었고, paraffin method에 의한 영구표본을 제작하여 유관속 구조를 관찰하였다. 자엽의 엽육은 책상조직과 해면조직으로 뚜렷한 분화가 되어 있지 않았다. 모든 유형의 자엽에서 유관속은 독립된 병립유관속으로 배열되어 있지 않고, 서로 연결되어 있거나 부분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자엽기부는 대부분의 유형에서 짧은 원통상 구조를 보인다. 자엽기부와 자엽절에서 유관속의 배열은 주발형자엽 및 1자엽배에서는 환상으로 연결되므로서 외사관상중심주의 형태를 보이는 경우가 많고, 5자엽배에서도 가끔 관찰되었다. 2자엽, 3자엽 및 4자엽배의 자엽기부와 자엽절에서는 주로 독립적으로 배열된 진정중심주가 관찰되었다. 배축에서 유관속의 배열은 주발형자엽, 1자엽 및 5자엽배에서는 4-6원형 목부가, 2자엽배에서는 4원형 목부가 많고, 3자엽배에서는 3원형 목부가 많았다. 자엽절-배축에는 대부분의 경우에 피층유관속이 산재하며, 드물게 이중유관속도 나타난다. 2자엽배에서는 대부분이 2원형 목부이며, 3자엽배에서는 3원형 목부가 절반정도 관찰되며, 나머지에서도 주로 2원형 목부이지만 드물게 4원형 목부도 관찰되었다.

  • PDF

고선량률 근접 방사선 치료에서 기존의 필름 방법과 CT 재구성 방법의 비교 연구 (Comparison Study of Conventional Film-based and CT-reconstruction method in HDR Brachytherapy)

  • 장지나;이형구;윤세철;서태석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5권2호
    • /
    • pp.63-69
    • /
    • 2004
  • 고선량률 근접치료는 저선량률 근접치료와 비교하여 짧은 시간에 많은 선량이 조사되며, 치료를 위한 최적화가 물리적 요인, 방사선 파라미터, 최적화 알고리즘 같은 여러 복잡한 요인들과 연관되어 있으므로 정확한 선량 전달을 위해서는 정확한 검증 과정을 필요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앞선 연구에서 제작하였던 선량 검증용 팬톰의 단점을 보완하고 CT나 MRI 시스템에서도 이용할 수 있는 구조를 추가시켜 고선량률 근접 치료의 위치 및 선량 검증을 위한 새로운 자궁경부암용 팬톰을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된 팬톰을 이용하여 고선량률 근접치료에서의 기존의 필름에 기반한 orthogonal 방법의 위치 확인에 대한 점증을 수행하였다. 위치 확인에 대한 철증은 CT 시스템에서의 좌표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수행되었다. 제작된 팬톰은 자궁경부암 환자를 대상으로 환자의 해부학적 구조를 모사하여 제작하였기 때문에 방광과 직장을 모사한 구와 원기둥의 구조물을 포함하고 있으며, C-arm과 CT 영상을 정확하게 획득하기 위한 localizer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C-arm 및 CT 좌표 비교 수행을 위하여 알고리즘에 기반한 재구성 프로그램을 직접 IDL 5.5를 이용, window 환경에서 개발하였다. 좌표 비교를 수행한 결과, CT의 좌표가 정확한 좌표라고 가정했을 때 필름에 기반한 방법은 모든 점에서 1.0 mm 이내에서 일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우리는 현재 사용하고 있는 Plato (Nucletron, Netherlands) 근접치료 기기의 위치 확인 알고리즘에 대한 검증을 자체적으로 수행할 수 있었다. 이번 연구에서 새롭게 제작된 팬톰과 소프트웨어는 근접치료의 Qual Assurance (OA) 분야에서 효율적이고 강력한 QA 도구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