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i Jing

검색결과 125건 처리시간 0.026초

고대(古代) 경맥병증체계(經脈病證體系)에 있어서 "시동칙병(是動則病)"과 "시주모소생병(是主某所生病)"의 연원(淵源)에 관한 연구(硏究) (The study on the origin of Shi-Dong-Ze-Bing and Shi-Zhu-Mou-Suo-Sheng-Bing)

  • 황민섭;손성철;배대영;김갑성;윤종화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19권2호
    • /
    • pp.14-27
    • /
    • 2002
  •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meaning of Shi-Dong-Bing and Suo-Sheng-Bing through investigating the origin of Shi-Dong-Bing and Suo-Sheng-Bing. Methods : We analyzed and compared the meridian symptoms of "ju Bi Shi Yi Mai Jiu Jing, "Ju Bi", "Yin Yang Shi Yi Mai Jiu Jing" and "Lin Shu Jing Mai". Results : Suo-Sheng-Bing seems to have been originated from the meridian symptoms of "Ju Bi" and Shi-Dong-Bing is different from the meridian symptoms of "Ju Bi". therefore two meridian symptoms differ in the source of formation and they seems to be different concerning recognition system for disease. Conclusion : Shi-Dong-Bing is the meridian symptoms, in case of feeling abnormal beat by pulse diagnosis, and this pulse diagnosis method is comparative pulse diagnosis method that compare all the pulse point of every meridians. Suo-Sheng-Bing seems to be the meridian symptoms describing the disease of somatic surface with making reference to meridian-circulating positions, afterward have been increased to the related internal organ's disease.

  • PDF

소림일다(小林一茶)의 ≪시경≫ 배구화(俳句化) 양상 고찰 (Kobayashi Issa's ≪Shi jing≫ Hiku-ka and that meaning)

  • 유정란
    • 동양고전연구
    • /
    • 제68호
    • /
    • pp.539-570
    • /
    • 2017
  • 이 글은 소림일다(小林一茶)(고바야시 잇사, 1763-1827, 이하 '잇사'라고 칭함)의 ${\ll}$시경${\gg}$ 배구(俳句)(이하 '하이쿠'라고 칭함)화(化) 양상을 살피고 그 의미를 도출한 것이다. 잇사는 1803년 ${\ll}$시경${\gg}$을 공부하고, 이를 하이쿠로 재창작하여 ${\ll}$향화구첩(享和句帖)${\gg}$을 작성했다. 현재까지 이에 대한 국내의 연구는 없으며, 일본과 중국에서 잇사의 ${\ll}$시경${\gg}$ 수용 양상을 다룬 바 있다. 그러나 그 내용은 주로 국풍(國風)에 한정되었으며 연구자들 사이에 용어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는 등 다양한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 작품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번역이라는 관점을 지양하고 배구화(俳句化)라고 명명하였다. 나아가 두 장르간의 심층적인 교류와 영향 관계를 문학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ll}$시경${\gg}$ 배구화(俳句化) 양상을 주제의식의 재현, 시어와 이미지의 변용, 의경 전화와 제목 차용의 층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주제의식의 재현에서는 주로 고향이나 부모를 그리워하는 작품이 선별되어 배구화(俳句化) 되었다. 이때 단순한 주제 차용의 수준이 아니라 핵심 의미를 도출, 주석을 고려하여 해석하거나 잇사 개인의 원작 이해가 많이 개입되었음을 살폈다. 시어와 이미지의 변용에서는 해당 원천들의 의미를 절취하거나 조합하여 자신의 방식대로 해석한 작품이 두드러졌다. 의경 전화에서는 일본적 정경으로 그 분위기를 바꾸는 작품이 있었는가하면, 제목 차용의 수준에 머무르고 있는 작품도 존재했다. 배구화(俳句化)의 의식 지향은 ${\ll}$시경${\gg}$의 감정이나 격앙된 어조, 비난 등을 의도적으로 탈락시키고 이치를 배척하거나 시교(詩敎)의 관점을 탈피한 것, 도덕적 이상을 담아내지 않는 작품에서 찾을 수 있었다. 잇사는 ${\ll}$시경${\gg}$을 하이쿠로 옮겨 올 때 매우 많은 부분에서 하이쿠적인 감상과 습관을 자각적으로 사용한 것이다. 잇사가 ${\ll}$시경${\gg}$을 배구화(俳句化)한 것의 의미는 우리의 ${\ll}$시경${\gg}$ 수용과 대조해볼 때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조선에서는 ${\ll}$시경${\gg}$을 언해하였지만 의역이 아닌 직역을 하였기 때문에 ${\ll}$시경${\gg}$ 원문의 글자가 유지되었다. 일본의 경우도 훈독체로 ${\ll}$시경${\gg}$을 수용하였기 때문에 원 글자가 바뀌지는 않았다. 그러나 잇사는 ${\ll}$시경${\gg}$의 출발점인 민요의 성격을 드러내기 위하여 일본의 민족어 시가 형태로 그 내용을 옮겼다. 동아시아의 보편적인 ${\ll}$시경${\gg}$ 수용 방식을 벗어나 잇사는 민족어 시가로 ${\ll}$시경${\gg}$에 대응한 것이다. 따라서 잇사의 ${\ll}$시경${\gg}$ 배구화(俳句化)의 의미를 본래 ${\ll}$시경${\gg}$의 출발점인 노래 그 자체로 인식하여 받아들인 태도에서 찾아야 할 것이라고 보았다.

조선시대에 간행된 한문본 <시경(詩經)> 판본에 관한 고찰 - 명본(明本) 복각본(覆刻本) 『시전대전(詩傳大全)』을 중심으로 - (A Study on Various Editions of Chinese Version - Focusing on 『Shijundaquan』, the reverse engraved editions from Ming Books -)

  • 안현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267-289
    • /
    • 2017
  • 이 연구는 조선시대에 간행된 현존하는 한문본 <시경>의 판본의 조사를 통해, 판본 42종을 대상으로 형태적 특징에 따라 계통별로 구분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밝혀진 사실은 다음과 같다. 조선에서는 명(明)의 영락판(永樂板) "시전대전(詩傳大全)" 을 저본(底本)으로 한 복각(覆刻)본과 활자본 및 활자본의 복각본이 전체의 69%를 차지해 가장 자주 간인(刊印)되었고 널리 유통되었다. 그 중에서 주류를 이루고 있는 명본 복각본은 14종이 있는데, 초기본부터 임진왜란 직후에 간행된 판본들은 영락판과 거의 동일한 형태적 특징을 보여 주는데 후대로 갈수록 복각이 거듭되면서 영락판의 형태와는 거리가 멀어진 판본도 생겨났다. <시경>은 시기별로는 18세기에 가장 빈번하게 간행되었고, 지역별로는 경기지역과 경상지역에서 가장 많이 간행되었는데 경기지역에서는 활자본이, 경상지역에서는 감영본이면서 명본 복각본이 주를 이루었다.

서목답문의 분류체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systems of the Shu-mu Da-wen)

  • 박재혁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27권
    • /
    • pp.171-209
    • /
    • 1997
  •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Shu-mu Da-wen was selected and compiled by Zhang Zhi Dong at the end of Qing Dynasty as a reading list for students preparing for the state examination and for the purpose of choosing the best from several versions. Whether it was compiled and edited by Zhang was in dispute. But it is almost certain that Zhang was the main editor because Shu-mu Da-wen showed his political, educational and scientific thoughts and knowledge distinctively. The followings are characteristics of Shu-mu Da-wen being compared with Si-ku Quan-shu Zong-mu Ti-yao. 1. In Jing-bu, the Confucian classics are divided into Zheng-jing Zheng-zhu and 'Lie-chao Jing-zhu Jing-shuo Jing-ben kao-zheng. Zheng-shi lei is divided into Zheng-shi fen he ke ben and Zheng-shi zhu bu biao pu kao-zheng. It is the special sorting method to include Du-ben lei in Jing-bu and Chu xue du-ben in Bie-lu in order to provide first learners for reading order. 2. Shi-bu included Gu-shi newly and Di-li lei is divided into Gu Di-li and Jin di-li in Shi-bu. Tian-wen Suan-fa lei is divided into Zhong-fa and Xi-fa in Zi-bu. Zhang distinguished between old books and contemporary ones to find out the origin and include newly published books in the East and the West. 3. Zhou-Qin zhu-zi is newly added to Zi-pu. In Ji-pu, Bie-ji and Zong-ji are categorized according to their style and period respectively. This show the new sorting method which added classifying system concerning academic development. It is the prominent feature in the compiling system to make Bie-lu and Cong-shu respective chapters. With those characteristics the Shu-mu Da-wen had been edited and published several times. It had a wide effect not only on compiling methods of cataloging afterwards and but also on classification systems before decimal classification was introduced in China.

  • PDF

"영추(靈樞).경맥(經脈)"의 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rganization of ‘Ling Shu.Jing Mai’)

  • 박현국;김기욱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18권2호통권29호
    • /
    • pp.159-167
    • /
    • 2005
  • By comparing ‘Jing Mai(${\ulcorner}$經脈${\lrcorner}$)’ and ‘Jin Fu(${\ulcorner}$禁服${\lrcorner}$)’, we are able to see that ‘Jing Mai’ has adopted many of its aspects from ‘Jin Fu’, which also enables us to conclude that ‘Jing Mai’ was made after 'Jin Fu', with the 'Ren Ying Cun Kou Mai Fa(人迎寸口脈法)‘ being considered important. 'Jing Mai' was made relatively late, during the last days of 'Xi Han(西漢)' or early days of 'Dong Han(東漢)'. Also 'Jing Mai' was written after 'Ying Qi(${\ulcorner}$營氣${\lrcorner}$)’. ‘12 Jing Mai’ in ‘Jing Mai’ is based mainly on 'Yin Yang Shi Yi Mai Jiu Jing(${\ulcorner}$陰陽十一脈灸經${\lrcorner}$)‘ and has also referred to other meridian theories, modifying it again by theories of 'Jin Fu' and 'Ying Qi', forming the 'Jing Mai Lian Huan(經脈連環)' part. The major change in '12 Jing Mai' is that '6 Yang Jing(6陽經)' enters the abdominal and thoracic cavity, directly relating to 'Liu Fu(六腑)'. 'Ben Jing(本經)'s connection to 'Ben Zang' is referred to as 'Shu(屬)' and connection to 'Ben Zang(本臟)' is referred to as 'Lou(絡)', clarifying 'Biao Li Guan Xi(表裏關系)' inside and outslde and 'Zang Fu Xiang He(臟腑相合)' congruency. Looking at the pathological condition view of ‘Jing Mai’, the writer of 'Jing Mai Pian' has renewed it and has erased repeated symptoms of 'Suo Seng Bing(所生病)' that appears in 'Shi Dong Bing(是動病)'. If the wrong adoption of theories of previous generations are corrected and parts which do not comply with the text's original meaning and parts that posterities added are deleted, the ancient acupuncture theory preserved in this book is still a precious treasure.

  • PDF

경맥체계(經脈體系)의 형성(形成)과 발전(發展)에 관(關)한 연구(硏究)(I) -『십일맥구경(十一脈灸經)』과 『영추(靈樞)』를 중심으로- (A Study on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Meridian Pulse System(I) -Focusing on 'Shi-yi-mi-jui-jing(十一脈灸經)' and 'Ling-shu(靈樞)-)

  • 손광락;박현국
    • 동국한의학연구소논문집
    • /
    • 제6권1호
    • /
    • pp.35-66
    • /
    • 1997
  • 오늘날의 경락체계(經絡體系)는 "영추(靈樞) 경맥(經脈)"을 표준으로 삼아 이론을 전개하고 있다. 그러나 마왕퇴한묘출토의서(馬王堆漢墓出土醫書)가 발굴되어 종래의 경락체계에 수정을 가할 필요성이 생기게되었다. "족비십일맥구경(足臂十一脈灸經)"과 "음양십일맥구경(陰陽十一脈灸經)"은 서로 연변(演變)된 것이 아니고 각자 독립적으로 발전되어 "영추(靈樞)"의 경맥이론에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즉 향심맥계(向心脈系)와 순환맥계(循環脈系)로 형성되어 "영추(靈樞)"에 반영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과정을 추구한 것이 본 논문에서 전개한 중심과제이다.

  • PDF

석씨성경과 천상열차분야지도의 이십팔수 수거성 관측 연도의 통계적 추정 (Statistical estimation of the epochs of observation for the 28 determinative stars in the Shi Shi Xing Jing and the table in Cheonsang Yeolcha Bunyajido)

  • 안상현
    • 천문학회보
    • /
    • 제44권2호
    • /
    • pp.61.3-61.3
    • /
    • 2019
  • 석씨성경과 천상열차분야지도 도설에 있는 이십팔수 거성들의 좌푯값을 측정한 연도를 두 가지 방법을 써서 추정하였다. 이 두 표에 있는 좌푯값들은 자오선 관측 기기를 가지고 측정한 것으로 생각된다. 그래서 이 값들에는 기기 회전축이 어긋나서 생기는 오차와 랜덤 오차가 들어 잇다. 우리는 푸리에 방법을 받아들이고, 또한 최소자승법을 새로 고안하였다. 우리는 관측 연돗값의 분산을 구하기 위해 부트스트랩 리샘플링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우리는 두 성표가 모두 기원전 1세기 즉 전한 후기에 만들어졌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석씨성경의 관측 연도가 천상열차분야에 들어 있는 좌푯값보다 약 15-20년 정도 앞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그 두 연돗값의 분산이 너무 커서 석씨성경은 기원전 77년 무렵에, 또한 천상열차분야지도의 성표는 기원전 52년에 측정된 것이라는 추정은 확인할 수 없었다. 자료 개수가 더 있거나 또는 측정 오차가 절반 정도라면 검증을 통해 결정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점에 비추어 우리는 석씨성경에 수록되어 있는 120개의 별들의 좌표 등에 관해 논의해볼 것이다.

  • PDF

초기 경맥명칭을 통해 살펴본 경락음양개념의 의의 (The Significance of Yin-yang Theory in Meridians Observed through the Earlier Names)

  • 정혜진;백유상;구성태;임사비나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32권4호
    • /
    • pp.190-198
    • /
    • 2015
  • Objectives : Through comparison between Mawangdui Silk Manuscripts and Huangdi's Internal Classic, this study aimed to put an emphasis on clinical significance of Yin-yang theory in Meridians. Methods : We investigated the documents recorded in Yin Yang Shi Yi Mai Jiu Jing, Zu Bi Shi Yi Mai Jiu Jing and Miraculous Pivot to compare of the character of meridian names. Results : In the naming of meridians, three yin and three yang were accepted earlier than Viscera and Bowels. Three yin and three yang play important role in relation with division of a human body. Conclusions :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 importance of Yin-yang theory in meridian system.

The Ideal Image of Man of Ancient Chinese in Shi Jing (詩經)

  • Kim, Jin-Goo
    •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Costume Culture
    • /
    • 제13권1호
    • /
    • pp.37-41
    • /
    • 2010
  • It is a universal phenomenon for people to establish ideal images of man according to a specific time, society and race. Thus, people have invested endless endeavor to reach the standard of ideal image. Especially, they made efforts to embody the ideal image of man as a perfect human image using appearance feature like a human body and clothing. Shi jing(詩經) is considered as a very valuable source book which reveals the life style, customs, thinking, ideas, and emotion of people of that perio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deal image of man and woman which ancient Chinese pursued, focusing Shi jing(詩經). The results are as following. The ideal image of man is nice, handsome, dignified, generous and gentle. Besides, he should have adequate sense of humor, tall height. clear eye, broad forehead, moderate and upright behavior, outstanding horsemanship and marksmanship and braveness. Meanwhile, the ideal image of woman was described as gentle, decent, and graceful. Also, she should have tall height, light complexion, pretty hand, long neck, broad forehead, clear eyes, and charming black hair. The ideal beauty of woman included nobility and elegant personality in addition to the good physical appearance.

  • PDF

마왕퇴(馬王堆) 출토(出土) 의서(醫書) 중 《맥법(脈法)》에 관(關)한 연구(硏究) -경맥(經脈)과 맥진(脈診)과의 상관성(相關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Maek-beop, 脈法》 the oriental medicine scription from the tomb on Ma-wang-toe(馬王堆))

  • 서용원;윤종화;김갑성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19권1호
    • /
    • pp.210-224
    • /
    • 2002
  • Objective : A study on $\ll$Maek-beop$\gg$ which is the first scription of pulse diagnosis method in history. Method : A translation of contents in $\ll$Maek-beop$\gg$ into modern concepts on the basis of researched books and the explanation of difficult characters and paragraphs to general concepts. Result : The pulse diagnosis method by comparison, moxibustion method, venesection method, a treatment of an abscess and the succession of treatment in $\ll$Maek-beop$\gg$ are delivered from $\ll$Sumen, 素問$\gg$, $\ll$Lingchui, 靈樞$\gg$. Conclusion : A $\ll$Maek-beop$\gg$ is the scription of the diagnosis of meridian and therapeutic method in $\ll$Zu bi shi yi mai jiu jing, 足臂十一脈灸經$\gg$, $\ll$yin yang shi yi mai jiu jing, 陰陽十一脈灸經$\g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