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ared territory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3초

한.일 주거 공간에서의 거주요소와 그 이용 상황 (Residential Factors and Use Conditions in the Living Spaces of South Korea and Japan)

  • 박지연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2권4호
    • /
    • pp.1-9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lies in providing basic data for appropriate territorial adjustment within the family by understanding the relation to family members and how 'territorial dislocations' caused by differences in personal space and behavioral domains are used and controlled as living elements. As a result, the following data could be obtained. 1. General usage conditions of living elements. When the order of usage conditions of living elements is reviewed, the living elements interspersed at the personal space and behavioral territory in public and private spaces show a high usage rate, and in the case where living elements are shared with other families, many living elements are controlled by each family. Also, for living elements with a high possibility of sharing, a high consciousness for public usage is shown rather than elements controlling the territory, and the usage rate as territory controlling living elements is not high. 2. Compared to Japan, in Korea elements that can be placed at a certain location are often used as elements that resolve 'territorial dislocation', using furniture rather than objects. On the other hand, in Japan 'territorial dislocation' is often resolved by establishing a personal territory within the living space. Lastly, compared to Japan, in Korea 'territorial dislocation' is often resolved by maintaining a personal territory spatially rather than territorially.

Concept Establishment of Territoriality of External Public Space of Housing Complex - Focusing on review of previous research -

  • Kim, Jin-Soo;Kim, Jin-Mo
    • KIEAE Journal
    • /
    • 제15권5호
    • /
    • pp.59-66
    • /
    • 2015
  • Purpose: Recently, Housing area plan has tried to reflect a public space of various forms. However, most of cases are indiscriminately developments, which don't reflect the diverse needs of residents. In addition, a subject of the public space is not clear and consistently stable of the management, so the residents don't have an interest enough to take advantage of it. Method: In order to make a plan of the public space of a residential complex, an architect designer needs to take a few things into consideration. One is a physical facility in needs. And other one is a management of keeping a social place stably and consistently, which allows residents to be able to interact with each other. It should be regarded for residents to form a sense of belonging, while minimizing the interface friction. When all these problems are fulfilled, an interaction will be made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living environment. Result: Therefore, in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define the meaning of territoriality of the external public space of housing complex. This study makes it possible to improve the relationship of neighborhood and the quality of the life for the residents, depending on the time. This is the first step as 'the research for the territoriality of the external public space of housing complex', in order to define about the concept, function, characteristic of territory(the base of territoriality) and to establish the territoriality that can form the physical or psychological boundary in public space.

협업설계를 위한 가상업무공간 구축에 관한 연구 (A Conceptual Framework of Virtual Workplace for Collaborative Design)

  • 정다운;김미정;김현경;조명은;이현수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0년도 학술발표대회논문집
    • /
    • pp.159-165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virtual office design in a 3D digital environment which involves a consideration of what people do and need in a virtual workplace and then translating that into a virtual environment for collaborative design. Areas in a virtual design office are defined according to different uses or activities in a physical office. The workplace includes a hall and information desk, working area, a conference room, a library, an entertainment room and a management room. It is important to define areas considering shared territory and personal territory.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amonge designers are provided over the World Wide Web.

  • PDF

Geo-Crowdsourcing Contributions for Cultural Mapping

  • Ribeiro, Vitor;Remoaldo, Paula;Pereira, Miguel;Goja, Ricardo;Matos, Olga;Freitas, Isabel;Alves, Juliana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8권1호
    • /
    • pp.56-67
    • /
    • 2020
  • Over the years, cultural mapping methods have been used in several applications and contexts, for diverse cultural assets and to create new conditions for the development of local and regional resources. These methods were inspired by the development of big urban centres and regions, which have been the great engine of cultural mapping growth. The main objectives of the present paper are to provide a literature review on cultural mapping methodologies and to develop exploratory research on crowdsource tools on creative tourism which were applied to one Portuguese municipality in 2017. The research was supported by the implementation and integr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GIS) and web mapping, which will become part of the solution for the growth of less developed territories and to make more interactive tourist activities. Web mapping's contribution to enhance crowd participation was measured via analysis of 12 digital photos shared through crowdsourcing. The originality of this research lies in the attempt to develop a new model for creative tourism, trying to extend the implementation of Web Mapping crowdsourcing to deprived low density territories. Results show how public participation can be amplified for the tourism market by crowdsourcing tools. These tools look very promising since they can help several members of the public at different ages to contribute to territorial knowledge, engage in activities, and collaborate through digital tools. It is a step to fulfil the lack of studies in this subject and it contributes to the way we think about future studies.

무인기 체계와 지상전투차량 간 전술정보 연동 검토 (An Analysis of the Tactical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Unmanned Air Vehicles and Ground Fighting Vehicles)

  • 최일호;임경미;백인철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794-802
    • /
    • 2017
  • Unmanned Aerial Vehicles (UAVs) have been considered as valuable aerial reconnaissance systems and our army wants capability-enhanced UAVs installed in our territory, hoping that the UAVs will provide enemy information in detail. The enemy information acqcuired by UAVs would be shared by our army's legacy systems. In this article, we made a research on the interoperability between UAVs and Ground Fighting Vehicles (GFVs), laying emphasis on what kinds of tactical information could be exchanged by two different weapon systems. Also, it needs to be addressed that their upper-level commanding systems play a significant role in such operation.

해외 집합주택의 공유공간 계획특성 연구 - 유럽, 일본, 중미지역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Communal Spaces in multi-family Houses - Focused on Case Studies on Europe, Japan and Middle America -)

  • 이민석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2권3호
    • /
    • pp.174-182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applicable design characteristics of communal spaces in multi-family houses. With this goal, international multi-family housing projects are selected and their communal spaces are identified. The purpose of study lies in analyzing on recent 10 years trends of shared space of multi-family houses in Europe, Japan, central America.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al spaces are analyzed with a special focus on the four Aspects such as Organization of space, access roads, parking, pedestrian movement In terms of the framework for analysis, community, rest, separability, rambling, territory, distribution, entrance, openness, view, prospect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are reviewed. As a result, the communal space of the analysis are integrated in plans and sections throughout the multi-family houses. Openness and connection with surrounding urban environments are articulated by communal spaces. Communal identities and aesthetics are emphasized by various space for dweller and the other inhabitant. For a further research, it is necessary to combine a design method study with new multi-family houses for the future.

디지털융합시대의 U-City서비스 공간화 방안 (U-City Service Space Realization Strategies in Digital Convergence Era)

  • 조춘만;정문섭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8권2호
    • /
    • pp.77-88
    • /
    • 2010
  • U-City 서비스로 대표되는 첨단 공간서비스는 그동안 10여년의 많은 노력과 예산투자의 결과로 가시화된 국토정보화(National Digitalization)의 결실로서 평가될 수 있다. U-City서비스는 정보통신기술을 근간으로 하고 있으나 현실공간의 지능화 측면에서 그 개념상 공간정보와 또 그것을 기반으로 국토공간을 분석하고 활용하기 위한 국토 공간계획과 긴밀한 연계관계를 갖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아직까지 U-City서비스는 기존의 공간정보 및 공간계획과 명확한 상호관계 설정 및 각 분야간 계획, 구축 및 관리간 연계가 미흡한 실정에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디지털융합시대의 국토 유비쿼터스화라고 하는 큰 명제하에 U-City서비스가 국토 공간정보 및 공간계획과 상호 유기적 연계관계를 가지고 발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디지털융합공간(Digital Convergence Space)의 신개념을 제안하고 그 구현을 위한 제도적 정비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김창흡과 간챠잔을 통해서 본 18·19세기 한일 한시의 한 면모 (Aspects of Chinese Poetry in Korea and Japan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as Demonstrated by Kim Chang Heup and Kan Chazan)

  • 최귀묵
    • 고전문학과교육
    • /
    • 제34호
    • /
    • pp.115-147
    • /
    • 2017
  • 이 논문에서 필자는 한국의 김창흡과 일본의 간챠잔의 시론과 한시 작품을 비교 검토했다. 본론에서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김창흡과 간챠잔은 의고주의 비판에 동조했다. 두 사람은 다음과 같은 점에서 일견이 일치했다. 성당시를 일방적으로 모방하지 않는다. 눈앞의 (소소하기까지 한) 경물에 눈길을 주고, 거기서 촉발된 차분한 정감을 담는다. 과장된 언어가 아닌 실다운 언어를 사용한다. 모름지기 시는 사실적이어야 한다. 두 사람의 차이점 또한 주목된다. 김창흡은 정감과 경물은 천리를 매개로 하여 작품 안에서 만나게 되며, 둘을 매개하는 언어 표현은 철학적인 성격을 띠게 된다고 했다. 반면 간챠잔은 정감과 경물을 매개하는 천리를 상정하지 않았다. 간챠잔은 경물을 섬세하게 관찰하고 세밀하게 표현하는 데 작시의 이상이 있다고 했다. 요컨대 김창흡은 경물을 통해 이치를 표현하는 데까지 나아가고, 간챠잔은 경물 자체를 표현하는 데 머문 차이가 있다. 또한 김창흡은 시는 천리의 표현이면서 국가의 정치에 대한 관심을 담아내는 고차원의 언어활동이라고 했다. 사대부로서 문학의 위상을 높이 두고, 문학이 할 수 있는 일이 많고 크다고 했다. 반면 간챠잔은 문학은 오락이라고 하면서 문학은 철학과 정치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자기 고유의 영역이 있다고 보았다. 김창흡은 문학은 학문과 가까운 자리에 있다고 했다면 간챠잔은 문학은 문예여야 한다고 한 것이다. 김창흡과 간챠잔의 시학이 각자 개인의 성취라고 볼 것인가, 아니면 두 나라 한시사의 기저에 놓여 있던 특성이 두 사람을 만나서 표면화한 것인가 생각해 볼 수 있다. 필자는 두 사람의 시학은 좁게는 한시, 나아가는 두 나라 문학 일반의 특성을 표면화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전범에 매이지 말고 실경을 개성적으로 그리라는 요구는 오랜 기간 성장해 온 두 나라 문학의 특성이 드러나는 계기로 작용했다고 보는 것이다.

동궐도상의 존덕정 영역에 나타난 무편액 건물의 조영사적 고찰 (Historical Studies on the Nameless Buildings at the Jondeokjeong Area in Donggwoldo)

  • 정우진;심우경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5권1호
    • /
    • pp.148-173
    • /
    • 2012
  • 창덕궁과 창경궁이 공유하는 후원인 동궐 후원은 조선왕조의 시대상을 반영하는 기술과 사상이 집약된 후원으로서 단연코 한국 조경문화의 백미라고 할 수 있다. 왕실의 휴식공간이었을 뿐만 아니라 국가의 상징적 의례와 인재양성의 장이 되었던 동궐 후원은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상당부분 훼철되어 과거의 면모가 일축되었다. 창경궁 북쪽의 후원권역은 일제에 의해 완전히 변형되어, 현재는 주합루에서 옥류천에 이르는 몇 개소의 영역이 후원으로서의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이중에서 본 연구의 대상이 되는 존덕정 영역은 인조 연간에 옥류천 개발이 완료된 직후부터 화원(花園)으로 조성된 정원으로서, 심추정, 척뇌당, 폄우사, 망춘정, 천향각, 청심정 등의 정자가 존덕정을 중심으로 승경의 요점지에 자리 잡은 화목류와 연지 중심의 공간이었으나 현재 존덕정과 심추정, 폄우사만이 남아 있고, 그 외의 정자들은 멸실되거나 변형된 상태로 존재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각 건축물에서 감상되는 수요소, 식생, 점경물 등을 분석함으로써 원형적인 조영의도를 구명하는데 주력하였으며, 동궐 후원의 진정성 있는 복원 정비와 조경 시설물을 둘러싼 환경의 보전에 관한 기초적인 지식정보 구축을 위하여 존덕정 영역의 정자인 심추정, 망춘정, 척뇌당, 천향각, 청연각의 5개 정자의 역사적 기록과 조영실태가 고찰되었다. 이들은 "궁궐지"와 실록에는 명칭이 언급되어 있지만 "동궐도"에는 그 이름이 나타나지 않는데, 관련된 문헌자료가 망라되어 고증이 시도되었다. 이중 척뇌당과 심추정은 동궐도상에서 추정 건물을 뚜렷하게 밝힐 수 있었고, 존덕정 서북쪽에 위치한 용도가 불분명한 건물은 천향각 내지는 망춘정이었다고 추정하였으며, 태청문의 담장이 본래 청연각에 둘러쳐져 있었던 담장이었다는 가설도 제시하였다. 뿐만 아니라 이제껏 동궐도와 동궐 후원연구에서 난관으로 여겨졌던 창덕궁 동북쪽 모퉁이에 위치한 용도와 명칭이 불분명한 건물일곽에 대해서는 연산군과 숙종이 사용했던 기록이 발견되었고, 궁궐 사람들 모르게 유희생활을 하는 임금만의 별당이었음을 밝힐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