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adow Area

검색결과 295건 처리시간 0.027초

KOMPSAT-3 영상을 활용한 도심지 그림자 영역의 탐지 및 보정 방법 (Shadow Detection and Correction Method for Urban Area using KOMPSAT-3 Image)

  • 박숭환;이규석;정형섭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3권6_3호
    • /
    • pp.1197-1213
    • /
    • 2017
  • 본 연구는 KOMPSAT-3 위성영상의 도심지역에 나타나는 그림자 영역을 보정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인공구조물에 의해 나타나는 그림자 영역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여 그림자 영역을 본그림자와 반그림자로 구분하였으며, 각각의 영역을 정확하게 탐지하여 오분류의 가능성을 줄이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본그림자 영역으로부터 반그림자 영역과 비그림자 영역을 각각 탐지하였으며, 선형상관보정방법과 과보정 저감계수를 적용하여 탐지된 그림자 영역에 대한 보정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시각적으로 자연스러운 보정된 영상을 획득할 수 있었으며, 프로파일 분석을 통하여 정량적으로도 그림자 영역이 효과적으로 보정됨을 확인하였다.

임의의 모양을 가지는 면광원 하의 실시간 부드러운 그림자 생성 방법 (A Real-time Soft Shadow Rendering Method under the Area Lights having an Arbitrary Shape)

  • 전영재;오경수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77-84
    • /
    • 2014
  • 면광원에 의한 부드러운 그림자의 표현은 가상 장면을 보다 사실적으로 보이도록 한다. 하지만 부드러운 그림자의 계산은 매우 느리게 수행되기 때문에 실시간 3차원 응용 프로그램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가속화가 요구된다. 우리는 기존의 실시간 부드러운 그림자 방법들이 가정했던 면광원의 모양과 색상을 보다 일반적으로 확장하여 임의의 모양과 색상을 갖는 면광원에 대한 부드러운 그림자 생성 방법을 제안한다. 그림자 매핑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그림자 맵은 픽셀과 면광원 간의 가시성 검사를 근사하기 위해 사용되며 픽셀 주변의 그림자 복잡도에 따라 근사의 정도를 결정하였다. 그 결과 보다 일반적인 형태와 색상의 면광원에 대한 부드러운 그림자를 실시간에 표현할 수 있었다.

GRABS 이용한 그림자 영역에서의 정규식생지수의 오차보정 : 청주시를 대상으로 (Calibration of NDVI Error at Shadow Areas with GRABS : Focused on Cheong City)

  • 반영운;나상일;이태호
    • 환경영향평가
    • /
    • 제19권3호
    • /
    • pp.297-305
    • /
    • 2010
  • This study has intended to analyze the nature of the errors that occur as a result of shadows during the process of NDVI calculation using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s of Cheongju City, in order to calibrate such errors, and to verify the results. This study has calibrated the shadow errors by utili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reenness above Bare Soil (GRABS) calculated through Tasseled-Cap transformation and the original NDVI. To verify the accuracy of the results, this study has compared the shadow area extracted by the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calibration of NDVI, with the original shadow area. The NDVI value converged on the value of -1.0, representing water, because shadow areas could not accept the reflection value from each band. However, after performing Tasseled-Cap transformation, the NDVI of shadow areas that had converged on -1.0 prior to calibration had increased to a level similar to the NDVI of neighboring areas. In addition, the average NDVI in general had increased from -0.08 to -0.01. Finally, the shadow area drawn out was almost matched to the original one, meaning that the NDVI calibration method employed turned out to be highly accurate in extracting shadow areas.

A method of generating virtual shadow dataset of buildings for the shadow detection and removal

  • Kim, Kangjik;Chun, Junchul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49-56
    • /
    • 2020
  • Detecting shadows in images and restoring or removing them was a very challenging task in computer vision. Traditional researches used color information, edges, and thresholds to detect shadows, but there were errors such as not considering the penumbra area of shadow or even detecting a black area that is not a shadow. Deep learning has been successful in various fields of computer vision, and research on applying deep learning has started in the field of shadow detection and removal. However, it was very difficult and time-consuming to collect data for network learning, and there were many limited conditions for shooting. In particular, it was more difficult to obtain shadow data from buildings and satellite images, which hindered the progress of the research.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for generating shadow data from buildings and satellites using Unity3D. In the virtual Unity space, 3D objects existing in the real world were placed, and shadows were generated using lights effects to shoot.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get all three types of images (shadow-free, shadow image, shadow mask) necessary for shadow detection and removal when training deep learning networks. The method proposed in this paper contributes to helping the progress of the research by providing big data in the field of building or satellite shadow detection and removal research, which is difficult for learning deep learning networks due to the absence of data. And this can be a suboptimal method. We believe that we have contributed in that we can apply virtual data to test deep learning networks before applying real data.

전주교통방송 가청권 확대를 위한 음영 지역 해소 방안 (On Reducing the Shadow Region for Extending the Service Area of TBN-Jeonju Broadcasting)

  • 김태훈;이문호;이미성;조계문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1352-1370
    • /
    • 2010
  • 본 논문은 전북권내 6개 시, 8개 군에 대하여 전주교통방송 FM 102.5 MHz의 전계 강도 실측 데이터를 통해 현재 송출되는 프로그램들의 방송 수신에 관한 음영 지역들을 조사하였는데, 그 결과, 전북권내 동부 산악 지역(남원, 순창, 무주, 진안, 장수)의 전계 강도 측정치가 매우 낮았다. 아울러 102.5 MHz(전주교통방송)과 100.7 MHz(전주 KBS) 및 99.1 MHz(전주 MBC), 라디오 채널 3사 간의 전계 강도를 측정 및 비교, 분석한 자료를 통해 방송국 송신 공중선 출력의 차이가 음영 지역 해소에 있어서 어떤 상관 관계가 있고, 어느 정도의 영향력이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했다. 그 결과, 전주교통방송의 공중선 출력 증강의 안은 동부 산악 지역의 음영 지역 해소를 위한 해결책이 될 수 없었다. 또한, 본 논문은 전주교통방송과 전북권내 동부 산악 지역 및 고창군에 다수의 FM 중계소를 확보하고 있는 EBS 106.9 MHz(중계 주파수는 이와 다름)와의 전계 강도 데이터를 측정 및 비교, 분석하는 과정을 수행했다. 그 결과, 다수의 중계소를 확보하고 있는 EBS의 경우, 동부 산악 지역에서 음영 지역 발생이 거의 없음을 전계 강도 측정 데이터를 통해 알 수 있었다. 따라서 EBS와 KBS의 사례에서 확인했듯이 전주교통방송의 가청권(기준 48 $dB{\mu}V/m$) 확대를 위한 동부 산악 지역의 음영 지역 해소를 위한 최적의 방법으로써 전주교통방송 FM 팔공산 중계소 설치를 제안했다.

아파트단지의 입지유형별 주동향에 따른 일조분석 (An Analysis of Sunshine According to the Blocks Direction by Location Type in Apartment Complex)

  • 장승재;박민용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4권5호
    • /
    • pp.11-17
    • /
    • 2003
  • This study is aimed at analyzing on the sunshine according to the blocks direction by location type of apartment complex in Busan, to propose a planning on the decision of blocks direction and the improvement of architectural law in sunshine environ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On the basis of winter solstice in "□ block type", the average of ratio of shadow area in flat site is 51 % in apartment with a southern exposure, 39% in apartment with a south-eastern exposure. The average of ratio of shadow area in the descended site toward the north is 49% in apartment with a southern exposure, 34% in apartment with a south-eastern exposure. The average of ratio of shadow area in the descended site toward the south is 66% in apartment with a southern exposure, 53% in apartment with a south-eastern exposure.

와이브로 네트워크에서 음영지역에 대한 중계방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f Relay scheme for shadow area in WiBro network)

  • 손성찬;오정균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 2008년도 정보통신설비 학술대회
    • /
    • pp.394-397
    • /
    • 2008
  • Recently WiBro network is installed for high speed wireless internet service by tele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however WiBro service is not provided in the region of mountain or difficult region to install network infra. Fixed repeater is used to resolve those shadow area problem in current WiBro network. This paper study introducing Ad-hoc based multi-hop relay instead of using fixed repeater in order to resolve those shadow area problem. Cost down of fixed repeater and active network expansion is possible to resolve shadow area problem by introducing multi-hop relay technology.

  • PDF

음영 지역을 위한 다중 중계기 기반의 주파수 공간 블록 부호화 OFDMA 전송 시스템 (Space-Frequency Block Coded OFDMA Transmission System using Multiple Relays for Shadow Area)

  • 원희철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1-8
    • /
    • 2014
  • 음영 지역 해소 및 셀 커버리지 확대를 위하여 중계기를 활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이 널리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중계기를 통해 다중 경로가 확보된 음영 지역에서 주파수 공간 블록 부호를 적용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전송 시스템을 제안한다. 다중 중계기에서 복원된 전송 신호에 대하여 주파수 공간 블록 부호를 적용하여 재전송함으로서 음영 지역 내 단말기의 수신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실험을 통해, 제안된 주파수 공간 블록 부호화 OFDMA 전송 시스템의 성능이 기존의 단일 경로 OFDMA 전송 시스템의 성능보다 우수함을 확인한다.

그림자효과 보정을 통한 향상된 도시정보 인식 (Enhanced Urban Information Recognition through Correction of Shadow Effects)

  • 손홍규;윤공현;박효근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87-190
    • /
    • 2003
  • Due to complexity of diverse features in urban area, accurate feature extraction is laborious task in aerial and satellite imagery. Especially occlusion by buildings, and image distortion of shadow effects make processing more difficult work. In this study, algorithm was presented to correct of shadow effects in aerial color images. This algorithm enables user to accurately interpretate urban information by correction of shadow effects in aerial color images

  • PDF

영상의 그림자 영역 경계 검출 및 복원 연구 (Extracting Shadow area and recovering of image)

  • 최연웅;전재용;박정남;조기성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69-173
    • /
    • 2007
  • Nowadays the aerial photos is using to get the information around our spatial environment and it increases by geometric progression in many fields. The aerial photos need in a simple object such as cartography and ground covey classification and also in a social objects such as the city plan, environment, disaster, transportation etc. However, the shadow, which includes when taking the aerial photos, makes a trouble to interpret the ground information, and also users, who need the photos in their field tasks, have restriction. This study, for removing the shadow, uses the single image and the image without the source of image and taking situation. Also, this study present clustering algorism based on HIS color model that use Hue, Saturation and Intensity, especially this study used I(intensity) to extract shadow area from image. And finally by filtering in Fourier frequency domain creates the intrinsic image which recovers the 3-D color information and removes the shadow.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