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same protein

검색결과 109건 처리시간 0.025초

참깨와 들깨 단백질의 기능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Sesame and Perilla Protein Isolate)

  • 박현숙;안빈;양차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50-356
    • /
    • 1990
  • 참깨와 들깨 단백질을 알칼리에서 추출시킨 후 참깨는 pH6.0, 들깨는 pH4.0에서 침전시켜 분리 단백질을 제조하여 그들의 기능성 즉, 용해도, 유화성, 기포성, 유지 및 수분 흡착력 등을 pH와 염농도를 달리하여 측정하였다. 단백질 용해도는 참깨 단백질이 pH6.0에서, 들깨와 대두 단백질은 pH4.0에서 가장 낮아 등전점을 보이었고, pH2.0과 pH8.0 이상에서는 크게 증가하였다. 0.1M NaCl 첨가시에는 참깨 단백질과 들깨 단백질의 경우 전 pH 범위에서 단백질 용해도가 증가하였다. 유화력은 각 시료 단백질의 등전점 부근에서 가장 낮았으며 0.1M NaCl 첨가시에는 모든 시료들의 유화력이 증가되었으나 0.5M NaCl 농도에서는 오히려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유화안정성은 유화력과 비슷한 크기로 나타나, $80^{\circ}C$에서 30분 가열에서도 이들 단백질이 열에 안정함을 보이었다. 기포 형성력은 참깨와 들깨 단백질이 대두 단백질에 비해 현저히 낮았으며, 0.1M NaCl과 0.5M NaCl 첨가시에는 모두 그 값이 증가되는 경향을 보이었다. 기포 안정성은 대두 단백질이 10분 이내에 크게 감소된 반면 참깨와 들깨 단백질은 30분까지 완만하게 감소하였다. 유지 흡착력은 들깨 단백질이 가장 높은 값을 보였고, 수분 흡착력은 시료간에 차이가 없었다.

  • PDF

산지에 따른 참깨종자의 이화학적 특성 비교 (The Comparison i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esame Seeds by Producing Areas)

  • 이민정;김기홍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8권2호
    • /
    • pp.128-131
    • /
    • 2005
  • 국내산과 수입산 참깨의 이화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일반성분 분석, 지방산 조성 및 리그난 함량을 분석한 결과, 국내산, 수입산 참깨의 일반성분 분석결과 단백질함량은 국내산 참깨가 높았으며, 지방함량은 나이지리아산 참깨가 약간 높게 나타났다. 올레산과 리놀레산을 합한 총 양질 불포화지방산은 국내산 85.69%, 수입산 $83.06{\sim}85.05%$로 국내산 참깨가 양질의 지방산을 다량 함유하였다. 참깨 중 세사민과 세사몰린 성분 분석결과 국내산 참깨가 수입산 참깨보다 높은 함유량을 나타내었다. 참깨의 일반성분 분석결과 국내산, 수입산 참깨간에는 미미한 차이였지만 세사민과 세사몰린의 리그난 성분에서 국내산 참깨가 높은 수준으로 나타나 이화학적 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효소처리한 참깨박 농축단백질의 가수분해정도에 따른 기능성 (functional Properties of Sesame Protein Concentrate as Degree of Hydrolysis by Enzyme Treatments)

  • 윤시혜;박정륭;전정례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87-96
    • /
    • 199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ydrolysis by proteolytic enzymes on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sesame protein concentrate. Sesame protein concentrate was hydrolyzed with papain, pepsin and trypsin to obtain 10% and 20% degree of hydrolysis. The nirogen solubility in water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degree of hydrolysis. Bulk density was increased by enzymatic hydrolysis but water absorption capacity was increased only in the case of pepsin-hydrolyzed SPC. Higher fat absorption capacity was found in SPC with 10% DH than SPC with 20% DH. Emulsifying activity was also increased by enzymatic hydrolysis except SPC with 10% DH by papain.

  • PDF

Bacillus sp. CW-1121이 생성하는 효소를 처리한 참깨박 단백질의 기능성 (Functional properties of protein from defatted sesame meal using the enzyme from Bacillus sp. CW-1121)

  • 최청;천성숙;조영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6권3호
    • /
    • pp.172-177
    • /
    • 1993
  • 참깨박에 함유되어 있는 불용성 형태의 단백질을 Bacillus sp. CW-1121이 생성하는 효소를 이용하여 가용성 형태의 단백질로 용출시키기 위하여 효소를 작용시켰다. 효소 처리 참깨박 단백질의 기포 형성력은 염용성 단백질이 수용성 단백질에 비해 현저히 낮았다. 기포 안정성은 염용성 단백질이 10분 이내 크게 감소된 반면 수용성 단백질의 기포 안정성은 30분 까지 완만하게 감소하였다. 유화력은 각 단백질의 등전점 부근에서 가장 낮았으며, 염용성 단백질이 수용성 단백질에 비해 낮았다 유화 안정성은 유화력과 비슷한 크기로 나타나 $80^{\circ}C$에서의 30분 가열에서도 이들 단백질이 열에 안정함을 보였다. 유지 및 수분 흡착력은 염용성 단백질이 수용성 단백질 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 PDF

Antitumor Activity of Crude Sesaminol in Sesame Seed

  • Ryu, Su-Noh;Lee, Bong-Ho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168-171
    • /
    • 1998
  • Sesaminol in sesame seed was postulated to have antitumor activity.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characterize the role of crude sesaminol extracted from sesame seed (Sesame Crude Sesaminol; SCS) on inhibiting the in vitro growth of human leukemia HL-60 cells. SCS inhibited the growth of human leukemia HL 60 cells in culture and macromolecular synthesis in a dose and time dependent manner. The cytostatic range of SCS concentration was found to be 60 to 100 $\mu\textrm{g}$/ml. SCS concentration greater than 200 $\mu\textrm{g}$/mlwere cytocidal to HL-60 cells. When SCS concentraction was 6 $\mu\textrm{g}$/mland 50 $\mu\textrm{g}$/ml the synthesis of HL-60 cells was inhibited by 35% for DNA, 6% for RNA and 5% for protein and 83% for DNA, 76% for RNA and 60% for protein. Of specific interest was the irreversible effect of SCS in inhibiting DNA synthesis of HL-60 cells. This was evidenced from the fact that, even after washed with PBS three times, preincubated HL-60 cells still showed the inhibited DNA synthesis.

  • PDF

단백질 추출 pH가 참깨 농축단백질의 기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rotein Extraction pH on the Functional Properteis of Seasame Protein Concentrates)

  • 박정륭;김은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619-624
    • /
    • 1995
  • Sesame protein concentrate(SPC) was prepared from defatted sesame flour(DSF) at several different pH(2.0, 7.0, 9.0, 11.0) for protein extraction. Some of their functional properties were determined in order to compare the effects of pH during preparation of concentrates. Compared with DSF, nitrogen solubility was markedly improved in all SPC, and SPC extracted at pH 11.0 showed the highest solubility at all pH leaves examined. Fatabsorption was increased in all SPC prepared, but water absorption was decreased as the extraction pH of protein increased. The emulsifying properteis and foaming properties of SPC were remarkably higher than DSF. As the extraction pH of protein was increased, the emulsion activity was also increased, but emulsion stability was decreased. SPC extracted at pH 7.0 showed the highest foaming capacity on the other hand, the highest foaming stability was shown in SPC extracted at pH 2.0. As the protein extraction pH increased, the viscosity of the protein solution was increased. SPC extracted at pH 11.0 showed highest viscosity at all protein concentrations tested.

  • PDF

방사선 조사에 의한 참깨박 단백질의 용출 및 기능성 변화 (Change of Physical Properties and Extraction of Sesame Meal Protein by Gamma Irradiation)

  • 조영제;김진구;차원섭;박준희;오상룡;변명우;천성숙;김순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924-930
    • /
    • 1999
  • 폐단백질을 활용하는 방도의 하나로 참깨박으로부터 불용성 단백질의 분리 효율성을 높이고 기능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실온에서 5 kGy에서 20 kGy까지 방사선을 처리하였다. 조사선량 5 kGy에서 참깨박 단백질의 용출율은 최대를 나타내었으며 그 이상의 고선량에서는 용출율이 다소 감소하였다. 방사선처리된 참깨박단백질은 거품형성력과 거품안정성이 대조구에 비해 증가하였고, 유화력과 유화안정성도 방사선처리구가 비처리구에 비해 증가하였다. 수분흡착력은 별다른 변화가 없었으나, 유지흡착력은 방사선처리구가 비처리구에 비해 감소하였다.

  • PDF

Phytase와 Protease 혼합처리에 의한 참깨박 단백질 용출 및 기능성 변화 (Change of Functional Properties and Extraction of Sesame Meal Protein with Phytase and Protease)

  • 천성숙;조영제;조국영;최청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895-901
    • /
    • 1998
  • 폐단백질을 활용하는 방도의 하나로 참깨박으로부터 불용성 단백질의 분리 효율성을 높이고 기능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미생물이 생성하는 phytase와 protease를 처리하였다. 이때 참깨박 단백질의 용출을 위한 최적 pH, 최적 온도, 최적 처리시간과 최적 첨가효소량은 pH $10{\sim}12$까지의 알칼리 영역, $60^{\circ}C$, 11시간, phytase 900 unit+protease 60 unit이었다. 효소처리된 참깨박단백질은 거품 형성력과 거품 안정성이 대조구에 비해 크게 증가하였고, 유화력과 유화 안정성 및 유지 흡착력과 수분 흡착력도 효소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매우 증가하였다.

  • PDF

참깨의 품질평가 현황과 전망 (Current Status and Prospects of Quality Evaluation in Sesame)

  • 류수노;김관수;이은정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7권
    • /
    • pp.140-149
    • /
    • 2002
  • Sesame (Sesamum indicum L.) is probably the most ancient oilseed crop known in the world. Sesame seed is known for its high nutritional value and for having oil (51%) and protein (20%) content.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sesame oil is palmitic acid (7.8%), stearic acid (3.6%), oleic acid (45.3%), and linoleic acid (37.7%). Sesame oil is characterized by a very high oxidative stability compared with other vegetable oils. Two lignan-type compounds, sesamin and sesamolin, are the major constituents of sesame oil unsaponifiables. Sesamol (a sesamolin derivative) can be present in sesame seeds and oils in very small amount. Other lignans and sesamol are also present in sesame seeds and oils in very small amount as aglycones. Lipid oxidation activity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sesamolin-fed rats, which suggests that sesamolin and its metabolites contribute to the antioxidative properties of sesame seeds and oil and support that sesame lignans reduce susceptibility to oxidative stress. Sesaminols strongly inhibit lipid peroxidation related to their ability to scavenge free radical. The sesame seed lignan act synergistically with vitamin I in rats fed a low $\alpha$-tocopherol diet and cause a marked increase in a u-tocopherol concentration in the blood and tissue of rats fed an $\alpha$-tocopherol containing diet with sesame seed or its lignan. The authors are reviewed and discussed for present status and prospects of quality evaluation and researched in sesame seeds to provide and refers the condensed informations on their quality.

참깨에 대한 식품영양학적인 연구 - 제1보 탈피(脫皮)과정이 참기름 및 박(粕)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 (Chemical and Nutritional Studies on Sesamum indicum - I. Effects on the Quality of Sesame Oil and its Meal by Decortication -)

  • 신효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13-118
    • /
    • 1973
  • 한국산의 참깨를 탈피(脫皮) 한 것과 탈피(脫皮) 하지 않은것, 이들을 각각 채유(採油)한 기름 및 박(粕)에 대하여 일반성분, 기름의 성상(性狀), 지방 조성, 아미노산 조성, 특수 미량성분 및 oxalate 의 함량 들을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탈피(脫皮)참깨 및 그 박(粕)은 탈피(脫皮)하지 않은 전(全)참깨 및 박(粕)보다 조섬유, 조회분, 산불용성회분의 함량이 더 적었다. 2) 탈피(脫皮)참깨기름은 전(全)참기름 보다 비중, 굴절률, 옥소가, 비검화물, 불용성잡물의 함량이 더 컸었다. 3) 탈피(脫皮)참기름과 전(全)참기름의 지방상 조성은 서로 비슷하였으나 전자는 후자보다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다소 적었다. 4) 탈피(脫皮)참깨박(粕)은 전(全)참깨박(粕)보다 단백질 함량이 매우 높았다. 그리고 아미노산 조성은 서로 거의 비슷하였으며 이들의 박(粕)은 모두 methionine, Cystine, tryptophan 은 풍부하나 lysine 의 함량이 적었다. 5) 탈피(脫皮)참깨기름과 전(全)참깨기름중의 sesamol, sesamolin 및 sesamin 의 함량은 서로 차이점이 없었다. 6) 탈피(脫皮)참깨 및 그박(粕)은 전(全)참깨 및 그박(粕)보다 oxalate 및 calcium 의 함량이 적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