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rvice support

검색결과 5,440건 처리시간 0.027초

서비스 제공자 공감능력의 영향요인과 결과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Empathy Ability of Service Employee)

  • 김유경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4권1호
    • /
    • pp.121-142
    • /
    • 2015
  • 본 연구는 서비스종업원의 공감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과 결과요인에 대한 연구로서 서비스 기업의 입장에서 서비스 제공자의 공감능력을 강화시킴으로써 조직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를 높이고, 부정적인 효과는 감소시키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구체적인 연구의 목적을 제시하면, 첫째 서비스 종업원의 공감능력 즉, 인지적 공감과 정서적 공감의 영향요인으로 사회적 지원인 상사지원과 동료지원, 그리고 자기 위로능력의 요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즉, 사회적 지원과 자기위로 능력이 서비스 종업원의 공감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둘째, 서비스 종업원의 공감능력인 인지적 공감과 감정적 공감이 그들이 지각하는 직무스트레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가설을 검증한 결과, 첫째, 사회적 지원은 상사지원과 동료지원으로 구분하였고, 공감능력은 인지적 공감과 감정적 공감으로 분류하였다. 사회적 지원과 공감능력간의 관계를 규명한 결과, 상사지원은 인지적 공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지 않았고, 반면, 동료 지원은 인지적 공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상사지원은 감정적 공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동료지원은 감정적 공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서비스 종업원의 자기위로능력은 공감능력에 즉, 자기 위로능력은 인지적 공감과 감정적 공감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서비스 종업원의 공감능력(인지적 공감, 감정적 공감)은 서비스 종업원의 직무스트레스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서비스 종업원의 공감능력이 그들의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요인으로써 중요한 전략적 수단이 될 뿐만 아니라 서비스기업이 제공하는 사회적 지원과 서비스 종업원의 자기 위로능력이 종업원의 공감능력을 이끌어내는 의미있는 변수로써 작용할 것이다.

  • PDF

챗봇서비스의 지원품질이 사용자 만족, 충성도 및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사회적 실재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Support Quality of Chatbot Services on User Satisfaction, Loyalty and Continued Use Intention: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Presence)

  • 김정태;최도영
    • 서비스연구
    • /
    • 제12권4호
    • /
    • pp.106-124
    • /
    • 2022
  • 본 연구는 고객이 챗봇서비스를 통하여 제공 받는 사회적 지원(정서적 지원, 정보적 지원)이 고객이 느끼는 챗봇서비스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 이 챗봇서비스의 만족이 충성도와 챗봇서비스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였다. 그리고, 챗봇서비스의 사회적 실재감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사회적 실재감을 높게 인식하는 그룹과 낮게 인식하는 그룹으로 나누어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총 300개의 유효 데이터를 얻었다. 분석결과 사회적 실재감을 높게 인식하는 그룹에서는 정서적 지원에서 챗봇서비스의 만족으로의 경로가 지지되었고, 사회적 실재감을 낮게 인식하는 그룹에서는 정서적 지원에서 챗봇서비스 만족으로의 경로가 지지되지 못하였으며 가설 경로계수에서도 차이가 확인되었다. 이는 사회적 실재감이 인간의 정서적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는 사회적 지원의 두 가지 요인인 정보적 지원과 정서적 지원을 챗봇서비스에 적용하여 챗봇 이용자가 느끼는 챗봇의 사회적 실재감 정도에 따른 만족도, 충성도, 지속적 이용 간의 관계를 실증하였다는 점에서 챗봇서비스의 사회적 실재감의 기능에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다.

호텔 식음료부서에서 조직지원, 조직몰입, 직무만족과 서비스품질의 인과관계 평가 (Evaluating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Organizational Support,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and Service Quality in the Hotel F & B Department)

  • 강종헌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55-164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in a service context, construct validity and generalizability of widely used and accepted measures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service duality, and to test each measures' predictive utility in this context with path analysis. Of 350 subjects, 309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ie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zero-order partial correlation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significantly influenced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service quality. Second, Job satisfaction had a directional impact up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service quality. Third, organizational commitment showed to have a predictive impart on service quality. Finally, the results of the study provide some insight into the types of internal marketing strategies that can be applied successfully by operators of hotel F & B departments.

A Study on Mediation Effect of Support System in Job Stress and Coping Behavior of Social Workers

  • Jang, Chun-Ok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7권1호
    • /
    • pp.14-19
    • /
    • 2019
  • Stress affects the type of adaptation required for each case and the type of social support is also different. In order for social support to have a buffer effect on stress, we want to understand how to measure social support and support according to specific stress situation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coping behaviors of community service workers exposed to these job stresses and examines the effect of support system (family support, peer support, superior support) on coping behavi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tress, coping resources and coping behaviors of community service workers. In this study, self - report method was used to investigate the questionnaire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In this study, the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for data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노인돌봄서비스 제공기관의 돌봄제공자 정서지원서비스 현황 및 영향요인 (Current Status and Associated Factors of Emotional Support Services among Care Providers in Elderly Care Service Agencies)

  • 김유미;유선주;전경숙;김묘경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79-93
    • /
    • 2018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and factors associated with emotional support services among care providers in elderly care service organizations. Methods: A total of 87 elderly care service agencies nationwide were recruited for the survey. Agencies' characteristics and emotional capacity monitoring activities; and program-building operations among care providers were measur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n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Emotional capacity monitoring activities and program building were generally low. Factors associated with emotional capacity monitoring activities were region, welfare regulations, and vacation and annual leave provisions, while those associated with emotional capacity building programs were identified as vacation and annual leave provisions. Conclusions: The agencies' vacation and welfare system seems to affect emotional support service activities among care providers. It is necessary to prevent emotional exhaustion of care providers and promote quality improvement of care through social and systematic emotional support services.

법정 스마트도시서비스 지원기관의 발전방향 (Development Direction of Smart City Service Supporting Institutions)

  • 장환영;김남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397-407
    • /
    • 2017
  • 본 연구는 스마트시티의 발전과 고도화를 위해 스마트도시서비스 지원기관이 나아가야 할 발전방향에 대해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첫째, 스마트도시서비스 지원기관의 필요성과 법적근거, 주요기능 등에 대해 이론적으로 검토하였다. 둘째, 스마트도시서비스 지원기관의 기능영역별 현황을 검토하고 기능영역별 상대적 중요도 도출 및 의견수렴을 위한 전문가 심층인터뷰를 수행하였다. 셋째, 이론적 검토와 기능별 현황파악, 우선순위 도출, 전문가 의견 수렴 등을 종합한 스마트도시서비스 지원기관의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국내 스마트시티 사업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예상되는 스마트도시서비스 지원기관의 역할과 기능, 그리고 향후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기업지원서비스의 융복합 요인에 관한 연구 : 충남·세종 기업을 대상으로 (A Study on Corporate Support Service Convergence Factors that Influence Corporate Performance: Targeting Corporations in Sejong City and Chungnam)

  • 노희경;이상철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193-200
    • /
    • 2017
  • 본 연구는 지역산업진흥정책의 기업지원서비스 수혜기업을 대상으로 기업지원사업을 통해 제공받은 서비스의 융복합 요인이 종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종합만족도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기업지원 서비스 품질 요인 중 지원품질을 제외한 지원과정 및 지원결과 요인은 종합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종합만족도는 기업성과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업지원 서비스 품질 중 종합만족도 및 기업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보완되어져야 하는 서비스의 융복합 요인의 판단 근거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니고 있다.

학교 영양(교)사의 학교급식지원센터 이용에 대한 만족도 및 니즈 (School Dietitians' Satisfaction with and Needs for School Meal Service Support Centers)

  • 조혜영;권수연;이영미;윤지현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94-204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chool dietitians' satisfaction with and needs for School Meal Service Support Centers. A web-based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1,102 nutrition teachers or school dietitians using four School Meal Service Support Centers during the summer of 2011. The data from 578 respondents (52.5%), consisting of 165 (44.4%), 334 (53.4%), 41 (67.2%), and 38 (86.4%) dietitians using Seoul, Gyeonggi, Suncheon and Gyeongju centers, respectively, were analyzed. The main reason for using the centers was subsidies from local governments. The dietitians using the metropolitan centers, which were Seoul and Gyeonggi centers, tended to buy agricultural products through the centers only, and those using local centers, which were Suncehon and Gyeongju centers, bought those products from the private suppliers as well as from the centers. The dietitians' overall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centers was not high showing 3.3 out of 5 points; it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operating system and services of the centers such as system efficiency, delivery accuracy,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provision rather than the agricultural products provided by the centers. The dietitians preferred joint operation of the centers by local governments and producers' groups. They wanted School Meal Service Support Centers to be evaluated every year. It was suggested that efforts should be made to improve the operation system and service of School Meal Service Support Centers for improving dietitians' satisfaction with the centers. In addition, an evaluation system for School Meal Service Support Centers should be implemented soon based on school dietitians' needs.

예비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관련변인 간의 관계 구조분석 (A Structural Analysis on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Teaching Efficacy and Its Related Variables)

  • 신고운;김정민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41-160
    • /
    • 2020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related to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teaching efficacy.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408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child studies. The students completed questionnaires assessing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teaching efficacy,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satisfaction level for childcare practicum. Statistical methods for the data analysis were the SPSS 19.0 and AMOS 20.0. And the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method was used to model fit. Goodness of fit was evaluated using the SRMR, RMSEA and its 90% confidence interval, CFI, and TLI. Results: First,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satisfaction level for childcare practicum were found to affect their teaching efficacy directly. Also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social support was found to affect their self-esteem and satisfaction level for childcare practicum directly.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is theoretically meaningful in that it shows that high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satisfaction level for childcare practicum can be the main factors that can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teaching efficacy.

국내 대학도서관의 체계적 문헌고찰 서비스 구축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Systematic Review Service for University Libraries in Korea)

  • 이혜영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137-168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국외 대학도서관의 SR(Systematic Review, 이하 SR) 지원서비스 사례조사를 통하여 국내 대학도서관에서의 SR 지원서비스 구축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총 119개 국외 대학도서관을 대상으로, 전(全) 주제(학문) 분야와 의학 분야로 구분하고 서비스 분야, 서비스 대상자, 홍보, 사서역할(상담자, 협업자), 교육, 사서소개, 팀 구성, 신청양식, SR 이론적 내용, 기타 등 총 10개 영역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 조사대상 대학도서관의 SR 지원서비스는 의학 분야를 시작으로 자연과학, 공학, 사회과학 등의 학문 분야로 확대되고 있으며, SR 서비스를 담당하는 사서의 역할을 상담자와 협업자 역할로 구분하여 각각의 사서역할에 따라 지원 시간과 서비스 내용 및 공동저자 인정 여부에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SR 지원서비스 이용자를 대상으로 검색전략·기술에 대한 내용을 중심으로 교육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SR 지원서비스의 홍보는 담당사서의 서비스 주제분야 및 학과와 연구를 위한 팀 구성에서 사서가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조사 분석을 통해 국내 대학도서관에서도 SR 지원서비스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어야 하며 교육과정에서 전문적인 검색교육이 강화되어야 하고, KERIS 등과 같은 대학도서관 유관 단체에서 사서를 대상으로 체계적인 SR 교육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