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rvice Quality Evaluation Model Of Online Information Service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2초

온라인 정보 서비스 품질평가모델에 대한 귀납적 연구 : 국가 온라인 정보 서비스 NTIS와 NDSL을 중심으로 (An Inductive Study on the Service Quality Evaluation Model of Online Information Service : Focusing on the National Online Information Service NTIS and NDSL)

  • 허주연;김상국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71-87
    • /
    • 2020
  • As diverse online information services are introduced and the use of them are increasing, the importance of the quality control over the online information services is also increasing. Therefore, studies are being attempted to derive quality evaluation models for online information services, but these showed many limitations.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previous studies and create more appropriate quality evaluation model, this study analyzed 408 data collected through the interviews with the users of Korea national online information services (NDSL, NTIS) using content analysis and the coding method of ground theory. Through the analysis, we identified the quality evaluation model (13 elements, 6 dimensions) of online information services and the description and insights of each elements. And the priorities of the most significant element(amount of information) and other key elements(such as the usefulness of the information, the diversity of the field, etc.) were figured out through the frequency analysis. Through these inductive methods based on the responses of users, the quality control model could be derived, which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researches. This study is the first study which derived the quality evaluation model of online information service through the inductive way based on 408 interview responses from users.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helpful to the post researchers who conduct studies on the quality of online information service, etc. Moreov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references of frame for decision-making of working-level officials who have to manage the quality of online information services.

다차원 ASP 서비스 품질 평가와 고객만족, 인식된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Multi-dimensional ASP Service Quality and Its Effects on User Satisfaction and Perceived Firm Performance)

  • 김성홍;김진한;김길선
    • 한국경영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45-73
    • /
    • 2008
  • Quality has long been considered as an important factor in creating competitive advantage, and researches on quality have not been limited to off-line products but actively extended to e-services and information goods. However, given the nature of multi-dimensional aspect of quality, the systematic study on the quality of online service is still in its early stage. Especially, studies on the quality of ASP services have been rare in academic and professional journals despite the growth of ASP industry in its size and the rapid expansion in the range of application. In this paper we clarified the multi-dimensional quality aspects of the ASP service using a Garvin's framework (1984) which encompasses the service aspects of Products, and developed a measurement model for ASP service qualify. Then we empirically tested the effects of ASP service quality on user satisfaction and perceived firm performance using the data from 240 Korean small firms with less than 50 employees that had experienced the ASP service. Our results show that there are positive relationships among ASP service quality and personal performance, user satisfaction and perceived firm performance, and that product and service-related aspects of ASP service exert differential effects on performance measures so that the product-related aspects of the ASP service such as performance, features, reliability and conformance are considered to be more important in evaluating benefits from ASP services. Contrary to the approaches In literature where only the quality of online services is evaluated, our result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differentiating Product and service-related aspects of ASP service and provide a basis for more comprehensive evaluation of ASP service quality.

Why Do Customers Purchase from a Website? Activity-based Web Presence Readiness Model

  • Kang, Kyungwoo;Kim, Yong Jin;Shin, Seung Kyoon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23권4호
    • /
    • pp.85-102
    • /
    • 2013
  • This study proposes a web presence readiness model based on pre-payment service functions and a post-payment service function both of which embrace the major concerns of customers in the online purchasing context. Based on the concept of customer utility from the product itself and instrumental utility, the research model suggests four antecedents including, Perceived Economic Benefits, Product Search Support Quality, e-Shopping Method Diversity, and Post-Payment Support Quality. We empirically examined a proposed research model using data collected from online rating company websites. Among the four antecedents, post payment support quality is found to be the most influential determinant of customer evaluation on e-commerce websites. Based on the empirical results, the current study proposes an alternate model of web presence readiness. The findings of this study may provide an insight to field practitioners designing commercial websites. The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further discussed.

소셜미디어 어낼리틱스 기반 서비스품질 평가: 항공산업을 중심으로 (Service Quality Evaluation based on Social Media Analytics: Focused on Airline Industry)

  • 한명기;최병구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24권1호
    • /
    • pp.157-181
    • /
    • 2022
  • 항공산업의 경쟁이 치열해짐에 따라 효과적인 항공사 서비스 품질 측정은 주요 과제 중 하나가 되었다. 특히 빅데이터 어낼리틱스가 새로운 연구 패러다임으로 각광받게 됨에 따라 소비자가 직접 작성한 온라인 리뷰 분석을 통한 항공사 서비스 품질 측정 연구들이 새롭게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은 리뷰 제목을 분석에 활용하지 않았다는 점, 학습 데이터 셋 구축을 위한 레이블링(labeling)에 있어 사람의 개입이 많이 요구되는 지도 학습(supervised learning)에 의존한다는 점, 서비스 품질 차원 분류에 있어 항공사 특성을 고려하지 못한다는 점 등이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기존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제목과 본문을 포함한 온라인 리뷰 전체를 자가학습(self-training)과 감성 분석을 활용해 AIRQUAL 서비스 품질 차원으로 분류함으로써 객관적이고 정교한 서비스 품질측정을 시도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서비스 품질 차원이 서비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온라인 리뷰로부터 AIRQUAL의 다섯 가지 서비스 품질 차원을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었으며 각 서비스 품질 차원은 모두 서비스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리뷰 제목이 서비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또한 유의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는 항공산업의 특성을 반영한 서비스 품질 차원 측정 및 이의 효과에 대한 분석이라는 측면에서 학문 및 실무적 의의가 있다.

중국 레저푸드 전자상거래의 서비스 품질이 소비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분석 (Empirical Analysis on the Influence of Service Quality of Leisure Food E-Commerce in China on Consumer Satisfaction Degree)

  • Liu, Zi-Yang;Meng, Jia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9년도 제60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7권2호
    • /
    • pp.407-408
    • /
    • 2019
  • This thesis determines the research framework and scale design of leisure food E-Commerce consumer satisfaction degree by referring to previous theoretical model of customer satisfaction degree, the universal satisfaction evaluation index system, and the characteristics of leisure food E-Commerce in China. In this research, consumers who have bought leisure food online are taken as the research object, data are collected by questionnaires, and exploratory factor method is used to screen valid sample data. Through the Empirical Analysis which include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Reliability and Validity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t is concluded that website design, logistics delivery service, commodity quality, and after-sales service are the main service quality on which the Leisure food E-Commerce enterprises should take focus. The service quality has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s on satisfaction degree. On the other hand consumer satisfaction has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customer loyalty, which will create more earnings for the Leisure food E-Commerce enterprises.

  • PDF

온라인에서 신선식품 구매 시 소비자 품질 선택요인의 상대적 중요도 (Relative Importance of Consumers' Quality Selection Factors for Fresh Food through Online Purchase)

  • 이정승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8권2호
    • /
    • pp.35-41
    • /
    • 2021
  • This study sought to find importance factors for the quality of Mongolian consumers' evaluation for fresh food through online purchase. To compare the priorities of factors determining the choice of service quality of online purchase for fresh food, this study used a decision model using the appropriat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Through a prior study, the main factors of quality were classified as delivery quality, product quality, marketing, and system quality,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HP the quality of deliver information and deliver duration time under delivery quality are the main factor, followed by hygiene and freshness of product quality were the next highest. When consumers purchase fresh food through an online market. they considered deliver information, delivery duration time, hygiene, freshness, and deliver cost as important factors.

디지털전환 기반의 교육서비스품질 경쟁우위전략 : W사를 중심으로 (Competitive Advantage Strategy of Educational Service Quality on Digital Transformation : Focusing on W-Company)

  • 진희수;이동원;이돈희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843-861
    • /
    • 2022
  • Purpose: This study explores the impact of digital transformation (DT) strategies on gaining a competitive advantage in interactive educational services. Methods: We develop a service value proposition model by analyzing educational service elements to confirm the impact of DT in the classroom through case studies. This study focuses on educational services that DT has a positive impact on organizational competitiveness by providing opportunities for customers to engage in operational processes. This case study summarizes competitiveness using SWOT (strengths, weaknesses, opportunities, and threats) analysis. Results: The findings of the case study indicate that DT-enabled competitive factors contribute to an organization's competitive advantage. The study results present key resource as social cloud services, data combination, content sharing, and products/services. The online application that collects user data about education and shares class and evaluation information creates a new class operational process in the field of educational service for a value proposition of collection-merging-sharing with social cloud functio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good guideline for educational service providers interested in applying DT for improved customer satisfaction and educational organizations' competitiveness. In addition, the study findings provid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n SWOT approaches to changing the educational service provision ways through digital transformation.

온라인 서비스품질에 대한 자신의 인지적 평가와 타인의 구전효과가 고객만족도와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 패밀리 레스토랑 웹사이트를 대상으로 (The Effect of Perceived e-Service Quality and Other-Word of Mouth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 In a Family Restaurant Website)

  • 문윤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2157-2167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패밀리 레스토랑 웹사이트 상에서 웹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품질에 대해 사용자 자신이 인지하는 서비스품질 평가와, 자신이 아닌 타인 사용자의 평가에 기반을 둔 구전효과의 영향효과가 고객만족도 및 웹사이트에 대한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서비스품질, 구전효과, 고객만족도, 그리고 재방문의도의 4가지 구성개념을 기반으로 연구모형이 제시되었으며, 연구모형은 수도권 3개 대학의 175명의 대학생 설문지를 대상으로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검증 하였다. 검증결과, 서비스품질은 고객만족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구전효과는 서비스품질과 고객만족도 간 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가 있음이 나타났다. 또한 고객만족도와 재방문 의도 간 관계는 유의한 것으로 드러났다. 결론적으로 패밀리 레스토랑 업체는 웹사이트를 고객관계관리의 효과적인 수단으로 활용하기 위해서 서비스품질요인과 더불어 온라인 구전효과와 같은 사회적 영향 효과를 함께 관리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LibQUAL+를 활용한 국내 대학도서관 서비스 품질 측정 사례 조사 (Service Quality Assessment of University Libraries in Korea using LibQUAL+ : A Case Study)

  • 심원식;이은철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45-268
    • /
    • 2013
  • 본 연구는 마케팅 분야에서 개발된 서비스 품질 모형인 SERVQUAL을 도서관의 실정에 맞게 적용한 ARL(Assoication of Research Libraries) LibQUAL+ 평가 프로그램에 국내 대학도서관 한 곳이 공식 참여한 과정과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LibQUAL+ 시행을 위해 영문으로 된 설문지의 번역, 설문 대상자 표본 선정, 설문 버전의 선택 등을 포함한 절차를 설명하고 있다. 또한 설문의 시행 결과로 입수되는 설문 데이터에 대한 설명 및 응답과 관련된 제반 사항에 대한 검토 결과를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설문 데이터를 통해 이용자 집단간, 타기관과의 다양한 비교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LibQUAL+ 프로그램은 단순한 설문도구가 아닌 총체적인 도서관 서비스 품질 평가 시스템이다. LibQUAL+ 프로그램에 참여함으로써 보다 체계적이고 국제화된 평가를 시행할 수 있을 것이다. 설문도구로서 LibQUAL+에 대한 비판에도 불구하고 LibQUAL+ 프로그램에 참여함으로써 국내 대학도서관은 새로운 평가 및 서비스 개선 노력을 경주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입과 관련해서는 개별적인 참여 대신 다수의 도서관이 컨소시엄을 구성해서 참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도서관을 중심으로 학습공동체를 구성해서 워크샵, 사례발표 등을 통해 한 단계 높아진 평가 활동을 할 수 있다.

K-MOOC 학습자의 학습행태 분석 및 서비스 방향성 연구 (The Learning Behavior of K-MOOC Learners and K-MOOC Service Recommendations)

  • 안준후;이지연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21-252
    • /
    • 2020
  • MOOC 서비스의 플랫폼을 이어받아 국내에서 2015년부터 서비스를 개시한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orea-Massive Open Online Course, K-MOOC)는 지난해까지 서비스의 양적인 성장에 주력하여 강좌 수와 수강자 수의 확보에 집중하였던 반면, 2020년부터는 새로운 강좌 커리큘럼과 묶음강좌의 개발, 서비스 제공기관의 확대를 통한 폭넓은 주제 분야의 강좌 제공 등 서비스의 질적인 성장을 도모하기 위해 다양한 시도를 진행하고 있다. 설문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K-MOOC 서비스의 방향성을 교수자와 강좌 관리자, 서비스 플랫폼 개발자의 측면에서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강좌를 제공하는 교수자는 다양한 주제분야의 강좌를 제공하기 위해 강좌개발 전략을 구상하여야 한다. 둘째, 강좌를 제공하는 교수자와 K-MOOC 학습을 지원하는 관리자는 전공학습지원 수강동기를 가진 학습자들이 강좌 내 콘텐츠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셋째, K-MOOC 플랫폼 개발자는 좀 더 학습자의 학습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방향으로 현재의 시스템을 개선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