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rum osmolality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5초

양식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의 생리조건에 미치는 연속적인 수온 급강하의 영향 (Physiological Responses of Cultured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on Series of towering Seawater Temperature Sharply and Continuously)

  • 장영진;박명룡;강덕영;이복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601-606
    • /
    • 1999
  • 냉수대로 인한 양식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의 생리적 반응을 알아보기 위하여, 4차례의 수온 급강하 조건 (Exp.I$\~$IV)을 설정하여 사육실험을 실시하였다. Exp.I에서는 개시시 $18^{\circ}C$에서 9시간만에 $9^{\circ}C$까지 급격히 수온을 떨어뜨린 다음 3시간만에 $12^{\circ}C$로 상승시켜 3일간 두었다가 다시 6시간만에 개시시 수온인 $18^{\circ}C$로 상승시켰다. Exp.II, III 및 IV에서는 각각 $3^{\circ}C$ ($20^{\circ}C), $9^{\circ}C$ ($23^{\circ}C) 및 $6^{\circ}C$ ($23^{\circ}C)의 수온차를 주어 5일간 둔 다음, 다시 원래의 수온으로 올려 주었고, 수온 구배는 시간당 $1^{\circ}C$씩 하강 또는 상승시켰다. 모든 실험에서 넙치의 혈청 코티졸과 글루코스를 측정하였고, Ht Hb, RBC 및 MCHC는 Exp.I에서, 혈청의 삼투질 농도, 전해질 지수 ($Na^+,\;Cl^-,\;K^+,\;Ca^{2+}$), 총단백질량, 아미노기 전이효소인 ALT 및 AST 활성의 변화는 Exp.II, III 및 IV에서 조사하였다. 코티졸 농도는 모든 실험에서 수온의 급강하에 의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특히 수온변화의 폭이 클수록, 수온이 낮을수록 변화폭이 컸다(Exp.I>III>II>IV). 글루코스 농도는 Exp.I에 있어 유의한 변화 경향을 파악할 수 없었지만, Exp.II에서 수은이 급강하할 때 다소 상승하였고, 수온충격의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Exp.III과 IV) 유의하게 상승하였다. Ht, RBC, Hb는 수온 하강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한 반면, MCHC는 증가하였다. 4차례의 수온급변에 따라 어체의 삼투질 농도는 감소하였고, 전해질 지수는 안정적이지 못하였다. 혈중의 총단백질량은 다소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ALT 및 AST의 활성은 뚜렷한 증감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 PDF

Long-term Tolvaptan Treatment of Autosomal Dominant Polycystic Kidney Disease in Korea

  • Kim, Ha Yeon;Lee, Seung Jin;Kim, Byung Ki;Kim, Minah;Bae, Eun Hui;Ma, Seong Kwon;Kim, Soo Wan
    • 대한전해질대사연구회지
    • /
    • 제16권2호
    • /
    • pp.23-26
    • /
    • 2018
  • A 22-year-old male patient was diagnosed with autosomal dominant polycystic kidney disease (ADPKD). He received conservative treatment with an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inhibitor. Two years later, oral therapy, consisting of 60 mg tolvaptan per day, was initiated. Compared with height-adjusted total kidney volume, the rate of kidney growth reduced significantly from 7.33% to 0.66% annually, since commencement of the tolvaptan therapy. The liver enzyme profile and serum sodium level and osmolality were constantly within normal ranges. In Korea, this is the first reported case of a patient with ADPKD who received tolvaptan treatment for more than 1 year. This case demonstrates that long-term tolvaptan treatment appears to be safe, well tolerated, and effective for ADPKD.

비태인의 급여가 산란계의 생산성과 지질대사 관련인자, 소화물의 삼퉁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Betaine on Performance, Lipid Metabolic Parameters, and Blood and Ileal Osmolality in Laying Hens)

  • 류명선;박재홍;신기형;나종삼;류경선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259-267
    • /
    • 2003
  • 비태인의 산란계 급여가 산란율과 지질 대사, 삼투압 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18주령 ISA Brown 산란계를 이용하여 42주령까지 두 번의 사양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1에서, 산란계 360수를 공시하여 조단백질 16%와 대사에너지 2,800 kcal/kg, methionine 0.33%를 함유한 옥수수-대두박 위주의 실험사료에 비태인 0, 300, 600, 1200 ppm을 첨가 급여하였다. 8주마다 산란율과 난중, 사료섭취량, 사료 요구율, 난품질을 측정하였으며 간과 계란의 비태인 함량과 복강지방, 혈중 cholesterol, total protein, albumin 함량을 측정하였다. 실험 2에서 33주령 ISA Brown 산란계 20수를 케이지에 개체수용하여 2주간 사료와 물 섭취량을 측정하였으며 급여한 사료는 실험 1과 같다. 실험 종료후 산란계를 모두 희생시켜 혈청과 회장 내용물의 삼투압, arginine vasotocin(AVT), 간의 수분함량을 측정하였다. 실험 1에서, 초기 8주간은 산란율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산란율이 최고에 달한 이후 비태인 600ppm 이상 급여구에서 산란율이 현저히 증가하였다(P<0.05). 그러나 난중은 초기 8주간은 현저히 감소하였으나 이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사료요구율은 비태인 급여구에서 개선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난품질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간의 비태인 함량은 비태인의 급여로 대조구보다 증가하였으나 계란의 비태인 함량은 비태인의 급여로 감소하였다. 비태인의 급여는 혈중 총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을 증가시켰으나 비태인 급여 수준에 따라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복강지방 함량은 비태인의 급여로 증가하였으나 간 지방은 감소하였다. 실험 2에서 음수량은 비태인 300과 600ppm 급여구에서 현저히 증가하였으며(P<0.05) 회장 소화물의 삼투압도 증가하였다. 그러나 간의 수분함량은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AVT는 비태인의 급여로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비태인의 급여는 산란율을 증가시키고 지질 대사를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Comparison of Renal Function and Clinical Outcomes between Diabetic and Non-diabetic Patients Underwent Off-Pump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Surgery

  • 문성민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37-345
    • /
    • 2011
  • It is well recognized that conventional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ONCAB) often leads to major organ dysfunction including renal injury. Diabetes mellitus is a major cause of nephropathy and poor clinical outcomes. The aim of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to evaluate the occurrence of adverse outcomes including renal impairment between diabetic (n=75, DM group) and non-diabetic patients (n=72, Non-DM group) underwent off-pump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surgery (OPCAB). Fasting glucose, hemoglobin A1c, fructosamine, fibrinogen and serum osmolality levels in the DM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Non-DM group at pre-operative (Pre-OP) period ($P$ <0.05). History of hypertension and renal impairment in the DM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Non-DM group ($P$ <0.05). Potassium ($K^+$), blood urea nitrogen and creatinine levels were higher, whereas sodium ($Na^+$) and glomerular filtration rate (GFR) levels were lower in the DM group than the Non-DM group at peri-operative period ($P$ <0.05). Fasting glucose levels at Pre-OP period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blood urea nitrogen and creatinine levels at peri-operative period, but negative correlations with GFR levels at peri-operative period in the DM group ($P$ <0.05). Incidences of renal impairment, diuretic therapy or 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and fever in the DM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Non-DM group at post-operative period ($P$ <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blood glucose level should be tightly controlled at peri-operative period to avoid renal dysfunction in diabetic patients.

외상 환자와 비외상 환자에서 삼투압차와 에탄올 농도의 상관관계 및 추정 에탄올 농도의 정확도 (Correlation Between the Osmolar Gap and Serum Ethanol Level and the Accuracy of Estimated Ethanol Level in Trauma Patients and Non-Trauma Patients)

  • 장형우;심민섭;한상국;송형곤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22권2호
    • /
    • pp.148-153
    • /
    • 2009
  • Purpose: The osmolar gap increases in proportion to the ethanol level. Some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osmolar gap and the ethanol level is weak in trauma patient by using an indirect comparison with other patients. We conducted a direct comparison of the correlation of the osmolar gap to the ethanol level between trauma patients and non-trauma patients. We also analyzed the accuracy of the estimated ethanol level between the two groups. Methods: The research candidates were adult patients who had visited the emergency department of our hospital from December 2003 to November 2008. By using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we classified them into three subgroups: non-trauma without shock, trauma without shock, and trauma with shock. In each group, we compar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osmolar gap and the measured ethanol level, and we analyzed the accuracy of the estimated ethanol level by using Lin's concordance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s: Four hundred forty-seven patient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For correlation of the osmolar gap and the measured ethanol level,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as 0.916 in all patients, 0.939 in non-trauma without shock patients, 0.917 in trauma without shock patients, and 0.844 in trauma with shock patients. In the analysis of the accuracy of the estimated ethanol level by using Lin's concordance correlation coefficient, the accuracy in trauma with shock patients was lower than that in non-trauma without shock patients. Conclusion: We found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osmolar gap and the measured ethanol level in the patient group with trauma was lower than it was in the patient group without trauma. Moreover trauma patients with shock had a lower accuracy of the estimated ethanol level than non-trauma patients.

대두피로부터 분리한 식이섬유가 설사개선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Fiber from Soybean Hull on the Recovery of Diarrhea in Rats)

  • 임지혁;정일환;박태화;이윤복;한재흠;박점선;이균희;이상화;안준배;김광엽;이근하;손헌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588-592
    • /
    • 2007
  • 대두 가공 부산 폐기물로부터 발생되는 대두피에서 식이섬유를 분리하여 대두 자엽 및 타 식물 유래 식이섬유와 설사개선에 미치는 효능을 비교 평가하였다 설사를 유발시킨 Sprague Dawley 수컷 흰쥐를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CON), 불용성과 수용성 식이섬유가 혼합된 대두 자엽 유래 식이섬유(S-COTL), 불용성 대두피 추출 식이섬유(S-HULL) 및 수용성인 치커리 식이섬유(CHI)가 각각 동량 함유된 식이의 네 군으로 나누어 24시간 동안 실험 식이를 공급한 결과 CON과 S-HULL에서 S-COTL과 CHI보다 약 10-20% 가량 높은 변수분 감소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탈수 증상의 척도인 혈청 삼투압 변화 측정 결과 역시 네 군 중 CON과 S-HULL에서 가장 높은 감소율을 보였다. 이 결과를 통해 대두피에서 추출한 식이섬유의 설사 개선 효과가 기존의 타 식이섬유에 비해 우월하다는 사실을 생화학적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나아가 현재 경관급식 환자식에 대두 자엽 유래 식이섬유 및 기타 수용성 식이섬유 등이 사용되고 있음에도 자주 발생하는 잠재적이고도 심각한 위협이 되는 설사증상을 본 연구 결과에서 제시한 대두피 추출 식이섬유원으로 대체하는 것에 의해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