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rum free medium

검색결과 193건 처리시간 0.029초

해간전(解肝煎)의 항산화(抗酸化) 활성(活性) 및 간세포(肝細胞)의 산화적(酸化的) 손상(損傷)에 대한 보호효과(保護效果) (Antioxidative and Protective Effects of Haeganjeon Extract on Oxidative Damage of Hepatocytes)

  • 안병태;김종대;문진영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27-141
    • /
    • 2002
  • Objectives: Haeganjeon(HGJ) has been used for the treatment of liver disease in traditional medicine.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antioxidant and protective effects of HGJ extract on oxidative damage of hepatocytes by tert-butyl hydroperoxide(t-BHP). Methods: In the linoleic acid water-alcohol system, the levels of lipid peroxide(LPO) were determined by TBA method. The scavenging effect of HGJ on ${\alpha},{\alpha}-diphenyl-{\beta}-picrylhydrazyl$(DPPH) radical wa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Hatano. In the Fenton system(ferrous ion reaction with hydrogen peroxide), the levels of hydroxyl radical induced LPO in rat liver homogenate we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TBA. Inhibitory effect of HGJ on superoxide generation was measured by xanthine-xanthine oxidase system. In order to evaluate antioxidative activity of HGJ in the liver cell, cultured normal rat liver cells(Ac2F) were prepared and incubated with or without HGJ. After 18hr, cells placed in DMEM medium without serum, and then incubated with 1mM tert-butyl hydroperoxide(t-BHP) for 2hrs. Viable cells were detected by MTT assay. Conclusions: In the linoleic acid autoxidation system, HGJ extract significantly inhibited the time course of the lipid peroxidation. These effects were similar to those of BHA HGJ extracts showed about 70% scavenging effect on DPPH radical. And HGJ extract inhibited the lipid peroxide formation in rat liver homogenate induced by hydroxyl radical derived from Fenton system. In addition, HGJ extract protected the cell death induced by t-BHP and significantly increased cell viability in the normal rat liver cell. These result indicated that HGJ extract might playa protective role against oxidative hepatic cell injury by means of free radical scavenger.

  • PDF

Effect of Lysophosphatidic Acid on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Rat Skeletal Myoblasts in Culture

  • Kwon, Min-Seong;Cho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권4호
    • /
    • pp.641-646
    • /
    • 1997
  • Lysophosphatidic acid (LPA; 1-acyl-glycerol-3-phosphate) has been known as an intercellular phospholipid messenger with a wide range of biological activities. In this study, the effect of LPA on both the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rat E63 myoblasts has been investigated. In the serum-free Insulin-Transferrin-Selenium (ITS) media, the proliferation of E63 cells was largely restricted. Addition of LPA into the ITS media strongly promoted the cell proliferation and resulted in two to four fold increase of cell number. Furthermore, it appeared to increase the percent fus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up to 15 ug/ml. The synthesis of myosin heavy chain (MHC) was increased by LPA as wel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LPA is able to promote both cell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in rat E63 myoblasts. Suramin, known to have uncoupling activity on growth factor-receptor interaction, was tested for antagonistic activity in myoblast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Myoblasts grown in the ITS medium containing LPA were able to proliferate well even in the presence high concentration of suramin whereas myoblast differentiation was completely blocked by 30 ug/ml of suramin. The inhibitory effect of suramin on the myoblast differentiation was completely reversible by removing the suramin.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intracellular signaling pathway of LPA leading to cell proliferation might be distinct from that leading to cell differentiation on E63 myoblasts. Also, the antagonistic effect of suramin suggests that the differentiation activity elicited by LPA might be mediated by a specific G protein-coupled receptor.

  • PDF

Ginsenoside Rb2 Upregulates the Low Density Lipoprotein Receptor Gene Expression through the Activation of the Sterol Regulated Element Binding Protein Maturation in HepG2 Cells

  • Lim, Grewo;Lee, Hyunil;Kim, Eun-Ju;Noh, Yun-Hee;Ro, Youngtae;Koo, Ja-Hyun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9권4호
    • /
    • pp.159-166
    • /
    • 2005
  • Ginsenosides, a group of Panax ginseng saponins, exert the lowering effects of plasma cholesterol levels in animals. We had reported earlier that ginsenoside Rb2 upregulate low-density lipoprotein receptor (LDLR) expression via a mechanism that is dependent of the activation of sterol response element binding protein 2 (SREBP-2) express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ginsenoside Rb2 on the expression of the hepatic LDLR expression at cellular levels using HepG2 cells, and to evaluate whether the sterol response element binding protein 1 (SREBP-l) was involved in the regulation of LDLR expression. Incubation of HepG2 cells in serum-free medium supplemented with cholesterol $(10{\mu}g/ml)$ for 8 hours decreased the mRNAs of LDLR mRNA by $12\%$ and SREBP-l mRNA by $35\%$. Ginsenoside Rb2 antagonized the repressive effects of cholesterol and increased both LDLR and SREBP-l mRNA expression to 1.5- and 2-fold, respectively. Furthermore, Western blot and confocal microscopic analyses with SREBP-l polyclonal antibody revealed that ginsenoside Rb2 enhanced the maturation of the SREBP-1 from the inactive precursor form in ER membrane to the active transcription factor form in nucleus. These results suggest that ginsenoside Rb2 upregulates LDLR expression via a mechanism that is dependent of the activation of not only SREBP-2 expression, but also SREBP-1 expression and maturation, and also indicate that the pharmacological value of ginsenoside Rb2 may be distinguished from that of lovastatin which is reported that it upregulate LDLR through SREBP-2 only, not through SREBP-1.

RWPE-1 전립선세포에서 eritadenine을 함유한 신령버섯균사체 액체배양물의 항염증효과 및 항산화효과에 의한 전립선비대증 관련 biochemical marker 개선 효과 (Agaricus blazei Mycelial Liquid Culture Extract Containing Eritadenine Improves Benign Prostatic Hyperplasia-related Biochemical Markers in RWPE-1 Cells through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tive Actions)

  • 하영래;문연규;김나현;허정두;조민정;김예라;김영숙;김정옥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10호
    • /
    • pp.1147-1155
    • /
    • 2018
  • 신령버섯균사체 액체배양 추출물(Agaricus blazei mycelial liquid culture extract, ABMLCE)은 TM-3 mouse Leydig 고환세포에서 testosterone (TS)의 생성을 촉진하였다. 이번 연구에서는 eritadenine (EA, 15.3 mg/100 g)을 함유한 ABMLCE가 RWPE-1 전립선세포에서 전립선비대증(Benign prostatic hyperplasia, BPH) 관련 핵심 효소인 $5{\alpha}-reductase$ 2 ($5{\alpha}-R2$) 활성과 dihydrotestosterone (DHT) 함량을 감소시켰음을 보고한다. RWPE-1 전립선 세포는 24-well plate에서 ABMLCE (0~50 ppm), EA (0~10 ppm,), finasteride (FS $10{\mu}M$: positive Control)를 함유한 Keratinocyte serum-free medium (K-SFM)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시료처리 세포배양액에 대해 $5{\alpha}-R2$, superoxide dismutase (SOD), catalase (CAT), cyclooxygenase-2 (COX-2) 효소활성, TS, DHT,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와 $interleukin-1{\beta}$ ($IL-1{\beta}$)를 assay kit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5{\alpha}-R2$ 활성과 DHT 함량은 ABMLCE의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성(p<0.05) 있게 감소되었고, SOD와 CAT 효소활성은 유의성(p<0.05) 있게 증가되었다. 반면에 COX-2 활성과 $TNF-{\alpha}$$IL-1{\beta}$의 함량은 감소되었다(p<0.05). 마찬가지로 EA의 효과도 ABMLCE 효과와 유사하였다. ABMLCE 50 ppm과 EA 10 ppm의 $5{\alpha}-R2$ 및 DHT 감소효과는 FS $10{\mu}M$ 효과와 유사하였다. 이들 결과는 ABMLCE와 EA는 항염증효과와 항산화효과를 통하여 BPH 유발 핵심 인자인 $5{\alpha}-R2$ 효소활성과 DHT 함량을 감소시켰다. 또한 이 결과는 EA를 함유하는 ABMLCE는 인체 BPH 개선 소재로 활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Glycosaminoglycan이 생쥐 수정란의 체외 발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lycosaminoglycan on the Development of In vitro Fertilized Mouse Embryo)

  • 김정원;서동삼;윤산현;고용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69-279
    • /
    • 2000
  • 최근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무혈청 배양 체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해가고 있다. 이러한 연구 동향에 대한 접근의 일환으로 GAGs의 첨가는 무혈청 배양 체계 확립의 가능성을 제시해 주었을 뿐만 아니라 수정란 이식에 있어서도 동질의 수정란을 공급할 수 있는 배양 체계 확립으로의 접근이 가능해졌다. 특히, 배양액에 혈청인자의 대체물질로 hyaluronic acid 0.1, 0.5, 1.0mg/$m\ell$의 첨가와 chondroitin sulfate 0.5mg/$m\ell$ 을 첨가하였을 때 혈청의 대체효과가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과를 통해 혈청인자 대신 GAGs를 첨가함으로써 기존의 포유동물의 체외배양에 있어 혈청 첨가에 의해 발생되는 세포 이상과 기형을 줄이고, 각 혈청 인자간에서 생기는 조성분의 차이를 줄이므로 생명 공학 연구의 기초적인 연구 자료가 될 뿐 아니라 수정란 이식에 있어 더욱 체계적이고 보편적인 배양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므로 더 나아가 GAGs의 다양한 조합을 통한 배양액 첨가와 시기별로 다른 순차적 (sequencial) 첨가에 의한 수정란의 발달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식물성 에스트로겐이 MC3T3-El 골아세포의 성장과 Insulin-like Growth Factor-1(IGF-1)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hytoestrogen on Cell Growth and Insulin-like Growth Factor-I (IGF-I) Production in MC3T3-El Cells)

  • 권지영;남택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743-749
    • /
    • 2005
  • 식물성 에스트로겐은 에스트로겐의 대체물질로서 골 형성을 촉진하며, 다른 부작용 없이 폐경기 이후 여성의 골다공증 예방에 효과적인 물질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식물성 에스트로겐의 골 형성과 관련된 생리학적 기능을 확인하고자 식물성 에스트로겐인 genistein, daidzein 및 resveratrol을 각각 $10^{-5}$ M 농도로 세포배양액 에 첨가하여 MC3T3-El 골아세포의 증식과 성장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 하였다 그 결과 이들은 에스트로겐인 $17\beta$-estradiol과 마찬가지로 MC3T3-El 골아세포의 증식과 성장을 향상시켰으며, daidzein과 resveratrol의 효과는 genistein의 효과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골 형성 정도를 판단하는 생화학적 지표로 활용되고 골아세포의 증식과도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alkaline phosphatase(ALP) 활성 또한 genistein, daidzein 및 resveratrol에 의해 증가하였다. 에스트로겐은 세포성장인자인 IGF-I의 국소적 생산과 분비를 촉진하며 간접적으로 골 대사 촉진 효과를 유도해낼 수 있다고 보고되어 있었지만 식물성 에스트로겐의 투여에 의해 IGF-I의 농도가 증가하였다는 보고는 없었다. 그러나 본 실험 결과, 식물성 에스트로겐인 genistein, daidzein 및 resveratrol은 IGF-I의 단백질과 mRNA 수준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들은 식물성 에스트로겐의 골 형성 촉진 효과를 증명하는 것으로서 이들의 유용한 약리학적 기능을 뒷받침하는 하나의 근거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사람의 섬유아세포에서 glucose 농도가 물질대사 및 Insulin-like growth factor binding protein-3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lucose on metabolism and Insulin-like growth factor binding-3 expression in human fibroblasts.)

  • 류혜영;황혜정;김인혜;류홍수;남택정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687-693
    • /
    • 2007
  • 사람의 섬유아세포인 GM10을 사용하여 glucose의 배양조건에 다른 물질대사 및 IGFBP-3 발현을 살펴본 결과, glucose 농도에 따른 glucose 소비와 triglyceride 축적 수준은 고농도 glucose 배양 조건에서 증가한 반면, 총 단백질 함량은 고농도 glucose배양 조건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감소하였다. 또한 고농도 glucose 배양 조건에서 5일 동안 배양한 세포 배양액내의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저농도보다 고농도 glucose 배양 조건에서 높게 나타났다. IGFBP-3 단백질 수준과 mRNA수준은 저농도 glucose배양 조건에서 증가하였으나, IGFBP-3 단백질 분해효소에 따른 영향은 없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glucose 배양조건에 따른 물질대사는 부분적으로 세포를 이용한 당뇨병 모델 실험에서 in vivo와 같은 결과를 얻지 못하였지만, IGFs와 같은 세포 성장인자에 대한 연구를 통해 세포수준의 당뇨병 모델화가 가능하다고 여겨진다.

Open Pulled Straw(OPS) 방법에 의한 체외배양 동결수정란의 경산돈 이식 : 예비실험 결과 (Sow Transfer of Cultured Freezing Embryos by Open Pulled Straw(OPS) Methods : Preliminary Results)

  • 김인덕;안미현;허태영;홍문표;석호봉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55-163
    • /
    • 2004
  • 본 연구는 도축돈의 난소로부터 난자를 채취하여 체외배양시킨 후 세포 안정제와 원심분리 그리고 OPS를 이용한 유리화동결 하였다. 동결 융해한 수정란을 경산돈에 외과적 또는 비외과적으로 이식하여 자돈을 생산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cdot}$ 도축돈 난소로부터 채란되어진 돼지 미성숙난은 Funahashi 등(1994) 방법에 따라 체외 성숙-수정-배양하였다. 체외배양액은 glucose-free NCSU 23을 이용하였으며, 5일째에 10% Fatal bovine serum (FBS)을 첨가 배반포로 발달을 유도하였다. ${\cdot}$ 체외배양된 수정란은 7.5${\mu}$g.mL cytochalasin B에 30분 처리 후 13,000 rpm에 13분간 원심 분리하였고, ethylene glycol(EG) 동결액으로 처리한 뒤 OPS를 이용하여 동결${\cdot}$융해하였다. ${\cdot}$ 동결수정란과 비동결수정란을 plastic straw에 loading 한 후 3두에는 경산돈에 외과적 방법으로 각각 100개, 100개의 동결수정란과 대조군으로 34개의 비동결수정란을 이식하였고 다른 3두에는 비외과적 방법으로 각각 150개, 150개의 동결수정란과 대조군으로 100개의 비동결수정란을 각각 이식하였다. 외과적이식돈의 대조군에 사용한 신선수정란은 비경산돈 3두에서 채란하였다. ${\cdot}$이식 결과 6두 모두 지연성 발정을 보였으며 이중 동결수정란 이식돈은 임상적으로 정상이였으나 비동결수정란은 이식한 경우는 자궁내막염과 복강탈장이 관찰되었다. 주요 원인은 시술시 기술의 미숙과 야외수술에 의한 감염, 난자의 이동과 수송에 의한 영향 그리고 주입 미숙 등이 주요 원인인 것으로 생각되며 융해 후 생존효율이 높은 수정란의 준비, 이식 기술의 개선과 자궁상태가 청결한 비경산돈의 이식으로 임신율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sulin-like growth factor-I 이 치주인대세포의 생물학적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THE STUDY ON THE EFFECTS OF THE INSULIN-LIKE GROWTH FACTOR-I ON THE BIOLOGICAL ACTIVITY OF THE HUMAN PERIODONTAL LIGAMENT CELLS)

  • 김성진;이재목;서조영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4권2호
    • /
    • pp.219-237
    • /
    • 1994
  • 치주조직재생에 중요하게 생각되는 요건으로는 치근면의 상태, 전구세포의 증식, 치유 부의 상피조직배제, 치유부의 안정화를 들 수 있으며 이중 가장 중요한 요건중의 하나가 치유부에 치주조직재생을 도모할 수 있는 전구 세포가 실수부로 이주하여 부착과 증식, 분화를 통하여 교원질섬유를 포함한 결체조직의 부착과 백악질, 골조직을 재형성하는 것이다. 최근에 이러한 전구세포들을 자극하고 원치 하는 세포들을 저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성장 인자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골조직을 조절하는 인자로 알려진 인슐린유사성장인자- I (Insulin-like growth factor-I)는 폴리펩타이드계 성장인자로서 골세포의 증식, 기질합성 등을 촉진시킨다고 보고되고 있으나, 치주조직 재생에 대한 IGF- I 의 영향을 잘 규명되어 있지 않으므로 배양된 치주인대세포에 IGF- I 을 농도별로 주입하여 세포의 증식능, 교원질 및 단백질 합성능, 알카린인산효소활성도를 측정해 보므로써 IGF- I 이 치주인대세포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교정치료를 위해 내원한 환자로부터 건강한 제일소구치를 발거하여 치주인대세포를 분리, 배양하여 IGF- I 을 주입시키지 않은 군을 대조군으로 하고, IGF- I 을 각각 0.1, 1, 10, 100 ng//ml로 주입시킨 군을 실험군으로 하여 DNA합성능, 총단백질과 교원질 합성능 및 알카린인산효소활성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DNA 합성능에 미치는 IGF- I 의 효과는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0.1ng/ml를 제외하고는 DNA 합성능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대조군에 비해 10, 100ng/ml투여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를 나타내었다. 치주인대세포의 총단백질 합성양에 미치는 IGF- I 의 효과는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총단백질 합성양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대조군에 비해 1, 10, 100ng/ml 투여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P<0.001)를 나타내었다. 총단백질을 교원질(collagenase digestible protein : CDP)과 비교원성 단백질(non-collagenous protein : NCP)로 분류하여 비교하였을때 IGF- I 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비교원성 단백질 합성양과 교원질 합성양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비교원성 단백질 합성양이 교원질 합성양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고, 대조군에 비해 1, 10, 100ng/ml 투여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 P<0.001)를 나타내었다. 총단백질에 대한 교원질합성의 상대적 비율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각 군당 별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P>0.05)를 나타내지 않았다. 알카린인산효소활성도에 미치는 IGF- I 의 효과는 모든군에서 7일째보다 14일째에서 약간 높은 알카린인산효소활성도롤 나타내었으며, 7, 14일 모두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효소활성도가 증가하였으며, 7일째 대조군에 비해 100ng/ml 투여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를 나타내었다.

  • PDF

Development of Isolation and Cultivation Method for Outer Root Sheath Cells from Human Hair Follicle and Construction of Bioartificial Skin

  • Seo, Young-Kwon;Lee, Doo-Hoon;Shin, Youn-Ho;You, Bo-Young;Lee, Kyung-Mi;Song, Key-Yong;Seo, Seong-Jun;Whang, Sung-Joo;Kim, Young-Jin;Park, Chang-Seo;Chang, Ij-Seop;Park, Jung-Keug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8권2호
    • /
    • pp.151-157
    • /
    • 2003
  • Obtaining a sufficient amount of healthy keratinocytes from a small tissue is difficult. However, ORS cells can be a good source of epithelium since they are easily obtainable and patients do not have to suffer from scar formation at donor sites. Accordingly, the current study modified the conventional primary culture technique to overcome the low propagation and easy aging of epithelial cells during culturing. In a conventional primary culture, the average yield of human ORS tells is 2.↑ $\times$ 10$^3$cells/follicle based on direct incubation in a trypsin (0.1%)/EDTA(0.02%) solution for 15 min at 37$^{\circ}C$, however, our modified method was able to obtain about 6.9 $\times$ 10$^3$cel1s/follicle using a two-step enzyme digestion method involving dispase (1.2 U/mL) and a trypsin (0.1%)/EDTA (0.02%) solution. Thus, the yield of primary cultured ORS cells could be increasd three times higher. Furthermore, a total of 2.0 $\times$ 10$^{7}$ cells was obtained in a serum-free medium. while a modified E-medium with mitomycin C-treated feeder tells produced a total of 6.3 $\times$ 10$^{7}$ Cel1s over 17 days When Starting With 7.5 $\times$ 10$^4$cells. Finally, We Confirmed the effectiveness of our ORS tell isolation method by presenting their ability for reconstructing the bioartificial skin epithelium in vitr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