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rum Physico-chemical Parameters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6초

Effects of Bedding Material Composition in Deep Litter Systems on Bedding Characteristics and Growth Performance of Limousin Calves

  • Meng, J.;Shi, F.H.;Meng, Qingxiang;Ren, L.P.;Zhou, Z.M.;Wu, H.;Zhao, L.P.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8권1호
    • /
    • pp.143-150
    • /
    • 2015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different litter mixture compositions on bedding system temperature, pH and volatile fatty acid and ammonia-N ($NH_3$-N) content, and the serum physico-chemical parameters and growth indices of calves. Thirty-two Limousin calves ($280{\pm}20kg$) were randomly assigned to four groups (n = 8 for each group) according to the bedding system used: i) control with soil only (CTR); ii) mixture with 50% paddy hulls (PH), 30% saw dusts (SD), 10% peat moss (PM) and 10% corn cobs (CC) (TRT1); iii) mixture with 15% PH, 15% SD, 10% PM, 40% CC, and 20% corn stover (CS) (TRT2); iv) mixture with 30% PH, 10% PM, 40% CC, and 20% CS (TRT3). The litter material combinations of different treatments were based on the cost of bedding system materials in China. The cost of four treatments from low to high: Control$NH_3$-N level (271.83 to 894.72 mg/kg) was lowest for TRT1 (p<0.0001) and highest for TRT2 (p<0.0001). The acetate, propionate and butyrate levels were highest for the control group (p<0.0001). In all the groups, the pH value (6.90 to 9.09) increased at the beginning and later remained stable at below 9.09. The temperature of deep litter increased at the first week and reached the maximum ($42.1^{\circ}C$) on day 38. 3,5,3'-Triiodothyronine ($T_3$) levels in the TRT1 group animals (p<0.0001) were lower than those in the control and TRT2 animals. 3,5,3',5'-Tetraiodothyronine ($T_4$) in the TRT1 group (p = 0.006) was lower than that in the other treatment groups. Cortisol (COR) in the control and TRT1 group was lower (p<0.0001) than that in the TRT2 and TRT3 groups. Corticosterone (CORt) in the control group was higher (p<0.0001) than that in the treatment groups.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deep litter bedding systems provided better conditions for animal health and growth performance compared with the control system. Furthermore, the litter composition of TRT1 was found to be optimal among the three treatment groups.

동일 조건에서 사육한 수컷 백세미, 브로일러 및 산란종 병아리에 있어서 도체 특성의 비교 (Comparisons of the Carcass Characteristics of Male White Mini Broilers, Ross Broilers and Hy-Line Brown Chicks under the Identical Rearing Condition)

  • 안병기;김재영;김지숙;이보근;이소연;이완섭;오성택;김종덕;김은집;현영;김희성;강창원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49-155
    • /
    • 2009
  • 본 실험은 동일한 실험사료를 급여한 유사한 생체중의 백세미, 실용 육계와 산란종 수평아리의 도체 생산 효율 및 육질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계종간의 육질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각각 100수의 백세미 수평아리, 실용 육계 수평아리, 산란종 수평아리를 펜당 25수씩 총 12개 펜에 임의 배치 하였다. 옥수수와 대두박 위주로 배합된 동일한 사료를 급여하여 사육한 후 동일한 날짜에 도계하기 위해 백세미는 35일, 실용 육계는 18일, 산란종 수평아리는 49일간 사육하였다. 계종에 따른 도체 성적과 혈액 성상, 가식성 근육의 물리적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또한 근육 내 과산화물 생성, 항산화 활성, pH 변화 및 계육의 관능적 특성에 대해 평가하였다. 도체율은 백세미와 육계가 산란종 수평아리보다 유의하게 높았고(P<0.05), 산란종 수평아리에서 날개와 다리 비율이, 백세미와 육계에서는 가슴육 비율이 유의하게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P<0.05). 혈액 내 총 콜레스테롤, GOT 및 GPT 활성에는 처리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육질 분석에서 전단력가, 보수력 및 가열 감량에서 계종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가슴 근육의 명도는 백세미가 가장 높았고, 가슴 근육의 황색도와 다리근육의 적색도에서 백세미와 육계가 산란종 수평아리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항산화 활성과 pH 변화에서는 백세미와 육계가 산란종 수평아리보다 다소 높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다. 육질의 관능적 특성에 대한 조사에서는 백세미가 산란종 수평아리보다 육색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으나(P<0.05), 풍미, 연도 및 전체적인 선호도에서는 계종간에 유의한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유사한 체중의 세계종을 비교하였을 때 산란종 수평아리에서 계육의 물리 화학적 특성 및 관능적 특성은 백세미 및 실용 육계와 유의적으로 큰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도체 생산 효율, 성장 및 사료 요구율이 낮은 점을 감안한다면 산란종 수평아리의 활용 가능성은 그리 크지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