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rum CA 19-9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24초

Clinical Application of Serum Tumor Abnormal Protein (TAP) in Colorectal Cancer Patients

  • Wu, Xue-Yan;Huang, Xin-E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8호
    • /
    • pp.3425-3428
    • /
    • 2015
  • Objective: To explore the association of serum tumor abnormal protein (TAP) with other serological biomarkers e.g. carcinoembryonic antigen (CEA), carbohydrate antigen 125 (CA125), carbohydrate antigen 19-9 (CA19-9) and its clinical application in colorectal cancer (CRC) patients. Methods: Patients (N=98) were enrolled into this study with histologically or cytologically confirmed CRC. Using a test kit, the level of TAP was determined, while chemiluminescence was used to measure the levels of some other common serological biomarkers e.g. CEA, CA125 and CA19-9. Results: The area of TAP condensed particulate matter decreased after chemotherapy compared with before chemotherapy when CT or MRI scans showed disease control. In contrast, it increased with disease progression (P<0.05). Furthermor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confirmed in monitoring of TAP and common serological biomarkers e.g. CEA and CA19-9 (p<0.05). Conclusions: Detecting TAP in CRC patients has high sensitivity and specificity and can be used as a new independent indicator for clinically monitoring CRC patients in the course of chemotherapy.

The Value of Postoperative Serum Carcinoembryonic Antigen and Carbohydrate Antigen 19-9 Levels for the Early Detection of Gastric Cancer Recurrence after Curative Resection

  • Lee, Eung-Chang;Yang, Jun-Young;Lee, Kyung-Goo;Oh, Seung-Young;Suh, Yun-Suhk;Kong, Seong-Ho;Yang, Han-Kwang;Lee, Hyuk-Joon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14권4호
    • /
    • pp.221-228
    • /
    • 2014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value of serum carcinoembryonic antigen (CEA) and carbohydrate antigen 19-9 (CA19-9) levels to detect gastric cancer recurrence.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154 patients who developed recurrence within 2 years after curative gastric cancer surgery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operative CEA and CA19-9 levels and recurrence. We readjusted the cut-off values to improve the detection of recurrence. Subgroup analysis according to clinicopathologic variables was performed to further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recurrence and CEA and CA19-9 levels. Results: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for elevated CEA levels to detect recurrence were 40.6% and 89.5%, respectively, and those for CA19-9 were 34.2% and 93.6%, respectively.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for elevation of either tumor marker were 54.3% and 84.0%, respectively; those for elevation of both tumor markers were 19.2% and 98.4%, respectively. By readjusting the cut-off values from 5.0 ng/ml to 5.2 ng/ml for CEA and from 37.00 U/ml to 30.0 U/ml for CA19-9, the sensitivity was increased from 34.2% to 40.2% for CA19-9, while there was no increase in sensitivity for CEA. In subgroup analysis, the sensitivity of CEA was higher in patients with elevated preoperative CEA levels than in patients with normal preoperative CEA levels (86.7% versus 33.7%; P<0.001). Furthermore, the sensitivity of CA19-9 was higher in patients with elevated preoperative CA19-9 levels than in patients with normal preoperative CA19-9 levels (82.61% versus 26.83%; P<0.001). Conclusions: CEA and/or CA19-9 measurement with the readjusted cut-off values allows for more effective detection of gastric cancer recurrence.

일부 농촌지역 주민에서 혈청 CA19-9 및 CA125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관한 연구 (Factors Related to Serum Level of Carbohydrate Antigen 19-9 and Cancer Antigen 125 in Healthy Rural Populations in Korea)

  • 이수근;유근영;박수경;강대희;김진규;정준기;이명철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71-80
    • /
    • 1998
  • 우리 나라의 일부 지역 주민에서 혈청 CA19-9과 CA125 농도의 분포를 관찰함으로써 경계치 설정 이전에 미리 예비적 자료를 확보하고, 두 종양표지자의 측정치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 특히 음주와 흡연 습관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을 평가하기 위해 단시적 조사연구를 시도하였다. 1995년에 일부 농촌지역 성인 171명(남자 76명, 여자 95명)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와 혈청 검사를 통해 개개인의 음주, 흡연습관 및 생식요인에 관한 정보 및 혈청 CA19-9 및 CA125 농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혈청 CA19-9 농도의 평균 및 표준편차는 남녀 각각 $10.4{\pm}11.1{\mu}/ml$, $10.1{\pm}10.0{\mu}/ml$로 남녀간의 차이가 없었으나, 혈청 CA125 농도의 평균 및 표준편차는 각각 $2.5{\pm}12.2{\mu}/ml$, $11.2{\pm}7.4{\mu}/ml$로 여자에서 높았다. 한편 현재 임상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양성판정치를 근거로 하여 판정한 혈청 CA19-9 및 CA125 양성률은 각각 2.9%, 1.8%이었으며, 각각 남녀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2) 혈청 CA19-9 농도는 일일 흡연량(r=0.23, p=0.054) 및 총 흡연량(r=0.28, p=0.017)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성별로는 여자에서만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일일흡연량 r=0.59, p=.0.026 ; 총흡연량 r=0.74, p=0.003). 3) 혈청 CA125 농도는 흡연시작연령(r=0.51, p=0.000) 과는 양의 상관관계를, 총흡연기간(r=-0.23, p=0.051) 및 총흡연량(r=-0.23, p=0.057)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성별로는 남자에서만 흡연시작연령(r=0.28, p=0.031)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4) 혈청 CA125 농도는 여자에서 연령(r=-0.20, p=0.058), 생리중단 연령(r=-0.28, p=0.030), 총수유기간(r=-0.29, p=0.014)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5) 혈청 CA19-9 및 CA125 농도는 비만, 학력, 그리고 음주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여자에서는 혈청 CA19-9 및 CA125 농도간에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20, p=0.047). 6) 연령 및 비만의 교란효과를 통제하기 위한 중회귀분석 결과, 혈청 CA19-9 농도와 유의한 회귀관계를 보이는 변수는 없었다. 이에 비해 혈청 CA125 농도는 전체대상례에선 흡연시작연령이 빠르거나(p=0.000), 총 흡연기간이 길거나(p=0.001), 총흡연량이 많거나(p=0.020), 생리중단연령이 늦거나(p=0.035), 수유를 오래 할수록(p=0.050)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성별로 분석하였을 때 여자에서 흡연인자들의 유의한 회귀관계가 모두 소실되었다. 결론적으로, 혈청 CA19-9 농도는 흡연, 음주, 월경-출산관련 변수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 않는 것으로 보여 실제 임상에 적용할 때 이들 변수를 고려하지 않고도 이용될 수 있는 비교적 안정된 종양표지자로 생각된다. 이에 비해 혈청 CA125 농도는 흡연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연령과 비만지수에 따라 흡연량이 교란영향을 받고 있는 지표임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여성에서는 폐경연령과 총수유기간이 유의한 관계를 보여 향후 정상치역 결정시 생리, 수유 등의 변수를 고려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Elevated Carbohydrate Antigen 19-9 Level in a Patient with Horseshoe Type Pulmonary Sequestration

  • Na, Bub-Se;Park, Sungjoon;Cho, Sukki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9권6호
    • /
    • pp.475-477
    • /
    • 2016
  • Elevated carbohydrate antigen (CA) 19-9 can indicate malignancies of the gastrointestinal, pancreatic, and biliary tracts, and be found in a pulmonary sequestration. A 30-year-old man visited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due to elevated CA 19-9 levels, representing pulmonary sequestration of the bilateral lower lobes, which were connected with each other. We performed left lower lobectomy and division of the systemic arteries. After operation, CA 19-9 levels decreased to normal range, even though a small amount of sequestrated lung remained in the right lower lobe. It is not uncommon that presence of pulmonary sequestration might elevate serum CA 19-9 levels; however, horseshoe type bilateral pulmonary sequestration is very rare.

Clinical Application of Serum Tumor Abnormal Protein from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 Liu, Jin;Huang, Xin-E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9호
    • /
    • pp.4041-4044
    • /
    • 2015
  • Background: To verify whether serum tumor abnormal protein (TAP) would correlate with the responsiveness of palliative chemotherapy in patients with advanced gastric cancer, and the variation of conventional serum tumor markers e.g., carcinoembryonic antigen (CEA), antigen 125 (CA125),carbohydrate antigen19-9 (CA19-9) of adjuvant chemotherapy in patients with early gastric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Patients with histologically confirmed gastric cancer and treated with chemotherapy were enrolled into this study. TAP values of these patients were determined by detecting abnormal sugar chain glycoprotein in serum, combined with the area of agglomerated particles. For patients with advanced gastric cancer, responsiveness of palliative chemotherapy was compared with variation of TAP and the relation between variation of TAP and tumor markers in patients with early gastric cancer was analyzed. Results: Totally 82 gastric cancer patients were enrolled into this study. The value of TAP is more closely related to responsiveness of palliative chemotherapy for patients with advanced gastric cancer. The correlation between TAP and responsiveness to palliative chemotherapy is stronger than the correlation between several conventional serum tumor markers (CEA, CA125 and CA199). The variation of TAP was also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trend of CA125 in adjuvant chemotherapy. Conclusions: TAP is sensitive in monitoring the responsiveness to palliative chemotherapy in patients with advanced gastric cancer. But this result should be confirmed by randomized clinical trials for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특발성 저신장증 환자에서 IGF-I 프로모터 cytosine-adenine repeat 유전자 다형성의 분석 (Analysis of cytosine adenine repeat polymorphism of the IGF-I promoter gene in children with idiopathic short stature)

  • 문재훈;정우영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3호
    • /
    • pp.356-363
    • /
    • 2009
  • 목 적 : 특발성 저신장증 환자에서 IGF-I 유전자 다형성의 역할에 대한 연구는 아직 보고되지 않았다. 저자들은 한국인 특발성 저신장증 환자를 대상으로 IGF-I 프로모터 CA repeat 유전자 다형성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방 법 : 신장 계측에 의해 2007년에 제작된 한국 소아 발육 표준 신장표에 의거하여 나이와 성별에 따른 신장백분위수가 3백분위수 미만인 13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성장호르몬 치료의 분석은 최소한 6개월 이상 성장호르몬 치료를 받은 37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유전자형의 분석은 유전자 염기서열분석을 통하여 실시하였다. CA repeat 횟수에 따른 대립유전자의 분포를 조사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유전자형을 분석하였다. CA repeat의 heterozygous의 분석은 Gene Mapper software를 이용하였다. 혈청 IGF-I 농도는 RIA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결 과 : 국인 특발성 저신장증 환자에서의 CA repeat의 분포는 15부터 22까지였으며, 19 repeat가 40.6%의 빈도로 가장 높았다. 유전자형에 따른 분포는 131명 중 17명(13.0%)이 19 CA repeat homozygous 였으며, 74명(56.5%)은 heterozygous, 40명(30.5%)은 19 CA repeat noncarrier 였다. 유전자형에 따른 키, 체중, BMI는 세군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유전자형에 따른 혈청 IGF-I 농도는 19 CA repeat noncarrier군에서 $435.67{\pm}160.29$ ng/mL로, 19 CA homozygous 군에서의 $435.60{\pm}131.51$ ng/mL, 19 CA heterozygous 군에서의 $473.76{\pm}185.01$ ng/mL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나이와 혈청 IGF-I 농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세군 모두에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유전자형에 따른 첫 1년 동안의 성장호르몬 치료 효과를 분석한 결과 성장호르몬 치료 후 12개월로 환산한 성장속도는 19 CA homozygote군에서 $7.6{\pm}3.4$ Cm, 19 CA heterozygote군에서 $7.9{\pm}2.6$ cm 그리고 19 CA noncarrier군에서 $7.7{\pm}2.8$ cm로 세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성장호르몬 치료 전후의 신장표준편차점수 차이도 19 CA homozygote군에서 $0.6{\pm}0.2$, 19 CA heterozygote군에서 $0.5{\pm}0.4$ 그리고 19 CA noncarrier군에서 $0.5{\pm}0.4$로 세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결 론 : 특발성 저신장증 환자에서의 IGF-I 프로모터 CA repeat 유전자 다형성의 분포는 15부터 22까지였으며, 19 repeat가 40.6%의 빈도로 가장 높았다. 키, 체중, BMI 그리고 혈중 IGF-I농도는 유전자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유전자형에 관계없이 나이와 혈중 IGF-I 농도 사이에는 모든 군에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유전자형에 따른 첫 1년간의 성장호르몬 치료 효과도 유전자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므로 특발성 저신장증 환자에서는 IGF-I 유전자 다형성은 기능적 역할을 하지 못한다고 생각한다.

Carbohydrate Antigen 19-9 Levels Associated with Pathological Responses to Preoperative Chemoradiotherapy in Rectal Cancer

  • Yeo, Seung-Gu;Kim, Dae Yong;Kim, Tae Hyun;Kim, Sun Young;Baek, Ji Yeon;Chang, Hee Jin;Park, Ji Won;Oh, Jae Hwa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3호
    • /
    • pp.5383-5387
    • /
    • 2014
  • Purpose: To investigate whether pretreatment serum carbohydrate antigen 19-9 (CA 19-9) levels are associated with pathological responses to preoperative chemoradiotherapy (CRT) in patients with rectal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In total, 260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rectal cancer (cT3-4NanyM0) who underwent preoperative CRT and radical surgery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CRT consisted of 50.4 Gy pelvic radiotherapy and concurrent chemotherapy. Radical surgery was performed at a median of 7 weeks after CRT completion. Pathological CRT response criteria included downstaging (ypStage 0-I) and ypT0-1. A discrimination threshold of CA 19-9 level was determined using a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s analysis. Results: The median CA 19-9 level was 8.0 (1.0-648.0) U/mL. Downstaging occurred in 94 (36.2%) patients and ypT0-1 in 50 (19.2%). The calculated optimal threshold CA 19-9 level was 10.2 U/mL for downstaging and 9.0 U/mL for ypT0-1. On multivariate analysis, CA 19-9 (${\leq}9.0U/mL$)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ownstaging (odds ratio, 2.089; 95% confidence interval, 1.189-3.669; P=0.010) or ypT0-1 (OR, 2.207; 95%CI, 1.079-4.512; P=0.030), independent of clinical stage or carcinoembryonic antigen. Conclusions: This study firstly showed a significant association of pretreatment serum CA 19-9 levels with pathological CRT responses of rectal cancer. The CA 19-9 level is suggested to be valuable in predicting CRT responses of rectal cancer cases before treatment.

Significance of CA19-9 in Predicting the Prognosis of Urothelial Carcinoma: A Hospital Based Study from Nepal

  • Jha, Dipendra Kumar;Mittal, Ankush;Gupta, Satrudhan Pd;Sathian, Brijesh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7호
    • /
    • pp.4067-4069
    • /
    • 2013
  • Background: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establish any correlation of elevated levels of CA19-9 with tumor stage or grade of urothelial carcinoma. Materials and Methods: This hospital based study was carried out in the Department of Biochemistry of Nepalese Army Institute of Health Sciences between $1^{st}$ July 2012 and $31^{st}$ December 2012. Approval for the study was obtained from the institutional research ethical committee. CA19-9 was assayed with an ELISA reader for all cases and expressed in U/ml with 37U/ml taken as the cut-off upper value for normal. Results: Out of 20 cases enrolled, 15 were of urothelial carcinoma and the remaining 5 were controls. There was marked difference between the mean values of CA19-9 in cases $40.2{\pm}19.3U/ml$ of urothelial carcinoma and controls $7.98{\pm}7.34U/ml$. The number of cases in Ta, TI, T2, T3, T4 stages of urothelial carcinoma were 2, 6, 3, 3, 1 respectively. The percentage rise in CA19-9 was less with low grade tumors (22.2%) when compared with high grade tumors (66.6%) (p value $0.001^*$). The percentage of rise in CA19-9 for muscle invasive tumors was very high when compared to superficial tumors. Similarly, the percentage of rise in CA19-9 for metastatic disease was very high when compared to non-metastatic disease and it was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p value $0.001^*$). Conclusion: Serum CA19-9 levels predicts the prognosis of urothelial carcinoma as it is almost invariably raised in tumors having metastatic spread.

대장암 치료 후 추적 검사로서 F-18 FDG PET/CT의 역할: 혈청 CEA, CA 19-9 및 Computed Tomography와의 진단 성능 비교 (Diagnostic Role of F-18 FDG PET/CT in the Follow-up of Patients with Colorectal Cancer: Comparison with Serum CEA, CA 19-9 Levels and Computed Tomography)

  • 강성민;송봉일;이홍제;서지형;이상우;유정수;안병철;이재태;최규석;전수한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제43권2호
    • /
    • pp.120-128
    • /
    • 2009
  • 목적: 대장암 재발의 조기진단은 생존율을 증가시키는 중요한 인자이다. 대장암의 재발이나 전이를 진단하는데 있어 혈청 CEA, CA 19-9 등의 종양표지 자와 CT 등의 가장 많이 이용되어 왔고 최근 새로운 진단기술로서 PET/CT의 이용이 증가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근치적 수술을 포함한 치료를 시행하고 재발이나 전이의 증거가 없었던 상태에서 추적관찰을 받았던 대장암 환자에서 FDG PET/CT의 정기 추적 검사로서의 진단 성능을 혈청 CEA, CA 19-9, CT와 비교하고자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수술적 치료 후 추적관찰 중인 대장암 환자 18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PET/CT상에서 관찰된 비정상적인 FDG 섭취 증가 병소는 생검이나 6개월 이상 방사선학적 검사의 추적관찰로서 전이여부 판단하였다. PET/CT시행시기에서 6주 이내에 모든 환자에서 혈청 CEA, 174명의 환자에서 CA 19-9를 측정하였다. 115명의 환자에서 PET/CT 시행 시기 2개월 이내에 CT를 시행하였다. PET/CT 상에서 관찰된 비정상적인 FDG 셥취 증가 병소는 생검이나 6개월 이내의 방사선학적 검사와 임상적 진단의 추적 관찰로 재발이나 전이 병소로 진단하였다. 결과: 국소적 재발 및 전이가 발견된 환자는 76명(40.2%)이었다. 재발 또는 전이 병소는 총 81개였고 간과 폐에서 29개와 16개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PET/CT의 민감도, 특이도, 양성예측도, 음성예측도는 94.7%, 91.1%, 87.8%, 96.2%이고 혈청 CEA 치수는 44.7%, 97.3%, 91.8%, 72.3%였다. 종양표지 자와 PET/CT와의 비교에서는 PET/CT가 종양표지 자보다 민감도(94.2%, 52.1%)와 특이도(90.4%, 88.5%)가 높았다. 종양표지자와 CT를 종합하여 PET/CT와 비교하였을 때 민감도는 92.9%로 동일하였지만 특이도는 PET/CT가 91.3%로 높았다. 결론: 이러한 결과로 보아 FDG PET/CT가 근치적 절제술 후 대장암의 정기적 추적 관찰에도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위암 환자에서 수술 전 복막전이 예측을 위한 혈청 종양 표지자의 유용성: CA 19-9와 CEA (The Usefulness of Serum Tumor Markers as a Predictor of Peritoneal Metastasis in Patients with Gastric Carcinoma: CA 19-9 and CEA)

  • 정오;주재균;박영규;유성엽;정미란;김호군;김동의;김영진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8권3호
    • /
    • pp.129-135
    • /
    • 2008
  • 목적: 다른 소화기계 악성종양에 비하여 위암에서 종양표지자의 역할은 매우 제한적이다. 여러 연구들에서 종양표지자는 예후 및 재발과 밀접한 연관이 있음이 보고되었으나, 종양표지자를 이용한 수술 전 원격전이 예측의 유용성에 관한 보고는 매우 드물다. 대상 및 방법: 2004년부터 2006년까지 본원에서 위암으로 수술을 시행 받은 환자 중 종양 표지자의 비특이적 증가를 초래하는 요인을 가진 환자를 제외한 78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전 CEA, CA 19-9와 임상병리학적 특성간에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CEA 양성여부는 연령, 성별과 같은 종양과 무관한 비특이적 인자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으며, 림프절 전이여부와 독립적인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종양의 침윤도와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원격전이의 예측에서 CEA는 복막전이나 혈행성 전이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이에 비해 CA 19-9는 종양의 침윤도 림프절 전이와 각각 독립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원격전이 중 복막 전이여부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특히, 증가 정도에 따라 CA 19-9가 5배 이상 증가 시에 복막전이에 대한 위험도가 유의하게 증가함을 보였다. 결론: CA 19-9는 측정이 간편하고 용이할 뿐만 아니라, 수술 전 비치유인자인 복막전이를 예측하는데 도움을 줌으로써, 이에 따른 환자의 추가적인 검사를 통하여 적절한 치료 방침을 세우는데 임상적으로 유용한 도구라고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