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quential Supply of Samples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8초

시료가 축차적으로 공급되는 상황에서의 신뢰성 샘플링검사 계획 (Reliability Acceptance Sampling Plans with Sequentially Supplied Samples)

  • 구정서;김민;염봉진
    • 대한산업공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76-85
    • /
    • 2007
  • A reliability acceptance sampling plan (RASP) consists of a set of life test procedures and rules for eitheraccepting or rejecting a collection of items based on the sampled lifetime data. Most of the existing RASPs areconcerned with the case where test items are available at the same time. However, as in the early stage ofproduct development, it may be difficult to secure test items at the same time. In such a case, it is inevitable toconduct a life test using sequentially supplied samples.In this paper, it is assumed that test items are sequentially supplied, the lifetimes of test items follow anexponential disthbution, failures are monitored continuously, arrival times of test items are known, and thenumber of test items at each arrival time is given. Under these assumptions, RASPs are developed by deter-mining the test completion time and the critical value for the maximum likelihood estimator of the mean lifetimesuch that the producer and consumer risks are satisfied. Then, the developed plans are compared to thetraditional Type-I censored RASPs in terms of the test completion time. Computational results indicate that thetest completion time of the developed RASP is shorter than that of the traditional Type-I censored plan in mostcases considered. It is also found that the superiority of the developed RASP becomes more prominent as theinter-arrival times of test items increase and/or the total number of test items gets larger.

남해 표층 퇴적물에서의 인의 존재상 (Phosphorus Phases in the Surface Sediment of the South Sea)

  • 손재경;이동섭;양한섭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680-687
    • /
    • 1999
  • 남해 대륙붕 퇴적물에서 인의 생지화학적 순환을 이해하기 위해 남해에서 채취한 14개 퇴적물 주상시료에 포함된 인의 형태와 공극수를 분석하였다. 건조시킨 퇴적물에서 순차추출을 통해 5 가지 상의 인을 정량화하였다: 1) 약하게 결합되었거나 교환 가능한 인, 2) 철 광물-인, 3) 자생광물-인, 4) 쇄설성 무기인 5) 잔류 유기인. 총 인의 함량은 공극수로 인을 용출시킨 결과로 퇴적물 깊이에 따라 감소하였다. 반응성 인은 총 인의 $20\~50\%$를 차지하며, 철광물-인이 반응성 인의 $70\~80\%$를 차지하여 가장 중요한 상으로 나타났다. 철 광물-인은 퇴적물의 깊이에 따라 감소하였다. 공극수에 용존된 인은 철 광물-인과 거울상으로 대비되어 철 광물이 해수로 되돌려지는 인의 양을 제한하는 인자로 드러났다. 자생광물-인은 총 인의 $5\%$ 미만으로 가장 적은 양을 차지하여 해수로 공급된 반응성 인을 퇴적물로 제거하는 데 크게 기여하지 못하였다. 이것은 대륙붕 퇴적물이 반응성 인을 잠시 보관하고 있지 영구히 제거하고 있지 못함을 의미한다. 분석결과는 해역간에 차이를 보였다. 낙동강 하구역 정점은 육지에서 공급이 많은 까닭에 총 인과 반응성 인을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었다. 이곳에서 퇴적물 표층에 있는 수산화철은 인이 해수로 공급되는 양을 조절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남해 연안역과 동중국해의 표층퇴적물에 포함된 총 인의 농도는 500$\~$600 ${\mu}g{\cdot}g^{-1}$ dry-sediment로 비슷한 수준이었다. 남해 연안역에서는 동중국해역에 비해 철 광물-인을 많이 함유한 대신 쇄설성 무기인의 함량이 적었다. 이러한 차이는 퇴적입자의 물리특성과 생물생산력이 다름에서 비롯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 두 요인은 육지에서 떨어진 거리에 지배될 것으로 예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