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oul Metropolitan

검색결과 3,493건 처리시간 0.028초

화장품 중 포름알데히드 함유량 조사 (Monitoring of Formaldehyde in Cosmetic Products)

  • 정보경;박원희;김동규;최은정;김연천;황인숙;채영주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51-55
    • /
    • 2012
  • 포름알데히드는 그 자체가 보존제로 또는 다른 보존제로부터 유리된 형태로 화장품에 일반적으로 존재한다. 포름알데히드는 낮은 농도로도 민감한 피부 반응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화장품에서 그 사용을 규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팩 및 마스크와 같은 화장품 114 품목을 시중에서 구입하여 포름알데히드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검사 품목의 36%에서 $0.3{\sim}9.7{\mu}g/mL$ (ppm) 수준의 포름알데히드가 검출되었다. 포름알데히드 유리 보존제를 함유한다고 표시되어 있는 12개 제품의 포름알데히드 함량을 조사하였다. Imidazolidinyl urea를 사용한 화장품 10품목과 1,3-Dimethylol-5,5-dimethylhydantoin (DMDM hyantoin)을 사용한 화장품 2품목에서 평균 $1.7{\mu}g/mL$ (ppm)의 포름알데히드가 검출되었다. 식품의약품안전청 고시 최대 허용 포름알데히드 농도 0.2 % (2,000 ppm)을 고려할 때, 이번 조사에서 분석한 화장품에서는 비교적 낮은 수준의 포름알데히드 함량을 보였다.

유통되는 코코아함유 가공품의 항산화능과 폴리페놀 함량에 관한 연구 (Comparative Study on Antioxidant Capacities and Polyphenolic Contents of Commercially Available Cocoa-containing Products)

  • 이은순;금진영;황영옥;두옥주;조한빈;김정헌;채영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0호
    • /
    • pp.1356-1362
    • /
    • 2012
  • 코코아가공품이나 초콜릿은 영양적으로 고에너지 식품이며 간식이나 후식으로 과다하게 섭취할 경우 비만이나 다른 부작용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건강에 유익하다는 인식이 점차 확산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코코아가공품이나 초콜릿의 건강에 유익성은 코코아가공품, 초콜릿의 코코아로 부터 얻어지는 폴리페놀류와 그 항산화능에 있다. 이 연구에서는 코코아자체의 폴리페놀류와 그 항산화능보다는 실제로 사람들이 날마다 먹는 제품에서의 폴리페놀류와 그 항산화능과 연관성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수많은 폴리페놀류가 존재하고, plant-derived product의 폴리페놀류의 정량과 항산화능의 분석에 관한 표준화된 방법이 아직 확립되지 않아 연구에 어려움이 있으며, 더구나 이 연구에서는 코코아함량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제품이 많지 않았다. 그러므로 이 연구 결과의 약간의 불확실한 결론은 당연한 것으로 보인다. 코코아 추출물에서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가장 높은 군은 코코아함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추정하는 다크초콜릿이었다. 코코아 추출물의 epicatechin은 정량적으로 catechin보다 높았으며, 다크초콜릿에서 그 함량이 가장 높았고, 다크초콜릿에서만 epicatechin gallate, caffeic acid, quercetin 등이 소량 검출되었다. 항산화능은 밀크초콜릿과 다크초콜릿이 코코아믹스와 초코시럽과는 유의하게 높았고, 밀크초코릿과 다크초콜릿의 비슷한 항산화능을 보였으며, 이 결과는 더 정밀하고 확실한 항산화능 실험법의 확립의 필요성을 보여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코코아로 만들어지는 초콜릿이 항산화능이 있음을 암시하며, 건강과의 관련 있음의 가능성을 나타내었다.

글리터를 포함한 네일 에나멜 제품의 유해 금속 분석 (Determination of Hazardous Metals in Nail Enamel Containing Glitter)

  • 고숙경;정삼주;박영혜;박애숙;김현정;박건용;오영희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03-110
    • /
    • 2017
  •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re-establishment of standards (criteria) and analytical methods for hazardous metals in nail enamel. Methods: Ten metals (lead; Pb, arsenic; As, cadminum; Cd, antimony: Sb, cobalt; Co, nikel; Ni, copper; Cu, chromium; Cr, aluminum; Al, and mercury; Hg) were measured in 67 commercial nail enamels containing glitter and/or pearls. The content of hazardous metals (excepting Hg) was determined by using an inductively coupled plasma-optical emission spectrophotometer (ICP-OES) after microwave digestion. Mercury content was measured by a mercury analyzer without any preparation. Results: The detected ranges of the intact samples were as follows: $ND-1.756{\mu}g/g$ for Pb, $ND-1.24{\mu}g/g$ for As, ND for Cd, $ND-20.41{\mu}g/g$ for Sb, $ND-12.36{\mu}g/g$ for Co, $ND-7.908{\mu}g/g$ for Ni, $0.088-79.27{\mu}g/g$ for Cu, $0.281-18.54{\mu}g/g$ for Cr, $13.78-3563{\mu}g/g$ for Al, and $ND-0.044{\mu}g/g$ for Hg. After centrifugation, the detected ranges of supernatant were as follows: $ND-0.435{\mu}g/g$ for Pb, $ND-0.504{\mu}g/g$ for As, ND for Cd, $ND-0.035{\mu}g/g$ for Sb, $ND-13.17{\mu}g/g$ for Co, $ND-0.232{\mu}g/g$ for Ni, $0.117-90.07{\mu}g/g$ for Cu, $0.174-2.787{\mu}g/g$ for Cr, and $9.459-1565{\mu}g/g$ for Al.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showed that the levels of heavy metals such as Pb, As, and Sb were much higher in the intact samples than those of supernatant. Conclusion: In the present study, we found that the levels of hazardous metal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status of the presence of glitter. Based on the results, we recommend that the product consumer refrain from prolonged application of nail enamel, avoid biting or chewing the nails, and wear gloves during cooking and washing dishes.

EBDC계 살균제 mancozeb와 metiram의 ETU 전환 특성 (Characteristics on the Conversion of EBDCs Fungicides to ETU for Mancozeb and Metiram)

  • 장미라;황광호;이은순;김은희;육동현;김정헌;박석기
    • 농약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30-36
    • /
    • 2010
  • EBDC계 살균제 중 국내에서 사용하고 있는 mancozeb와 metiram을 사용하여 실험실 조건에서 이들의 반감기 및 분해대사 산물인 ETU로의 전환특성을 조사하였다. EBDC계 살균제 및 분해대사 산물인 ETU에 대한 분석은 상온에 보관한 시료를 0, 1, 2, 5, 7, 9, 12, 15, 19, 22, 26일 경과 후에 HPLC~DAD로 분석하였다. EBDC계 살균제인 mancozeb, metiram과 그 분해산물인 ETU에 대한 정량회수율은 각각 86.9-90.2, 85-98.6 및 64.1-80.0% 범위를 나타내었다. Mancozeb와 metiram의 반감기는 각각 7.5일,27.8일이었다. Mancozeb 의 ETU 전환율은 4.7-67.2% 수준이었고,metiram의 ETU 전환율은 7.5-34.6% 수준이었다.

어류 중 Fluoroquinolone계 항균제의 분석 및 잔류량 조사 (Analysis of Residual Fluoroquinolones Contents in Fish)

  • 박영애;육동현;김수언;김진아;박애숙;김연천;김무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93-299
    • /
    • 2012
  • 어류 및 갑각류 중에 잔류하는 fluoroquinolone계 항균제를 조사하기 위하여 HPLC-FLD와 LC-MS를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HPLC-FLD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을 때 검출한계와 정량한계는 각각 0.0030-0.0083, 0.0090-0.0252 mg/kg이었고, LC-MS는 각각 0.0019-0.0040, 0.0059-0.0122 mg/kg으로 나타났다. ofloxacin, norfloxacin, pefloxacin, ciprofloxacin and enrofloxacin의 회수율은 76.4-104.6% 범위로 분석되었다. 총 268건에 대하여 fluoroquinolone계 항균제의 잔류량을 조사한 결과 7.5%의 검출율을 나타내었고, 동자개 1건에서 enrofloxacin과 ciprofloxacin의 합이 허용 기준치인 0.1 mg/kg보다 높게 검출되었다. Ofloxacin, norfloxacin과 pefloxacin은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고 ciprofloxacin과 enrofloxacin은 각각 3.4%와 6.7%의 검출율을 보였다. 어종별 검출율은 장어(2.6%), 미꾸라지(2.2%), 동자개(1.5%), 붕어(0.7%), 가물치(0.4%) 순서로 나타났다.

HPLC-MS/MS를 이용한 어린이 기호식품중의 감미료 분석 (Determination of Six Sweeteners in Children's Favorite Foods by HPLC-MS/MS)

  • 김일영;두옥주;이성득;박영혜;김미선;배청호;채영주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18-121
    • /
    • 2010
  • 아세설팜칼륨, 싸이클라메이트, 삭카린나트륨, 수크랄로스, 스테비오사이드, 아스파탐을 HPLC/MS/MS를 이용하여 동시 분석한 결과 각 감미료 별로 고유한 스펙트럼을 얻어 정량하여 머므름 시간은 2.26~9.96로 10분 이내로 분석이 가능하였다. 각각 감미료의 상관계수($R^2$)은 0.9986~0.9999로 양호한 직선상의 그래프를 얻을 수 있었고 각각의 감미료를 단계적으로 희석하여 분석한 결과 검출한계는 아세설팜칼륨, 싸이클라메이트 삭카린나트륨, 수크랄로스, 스테비오사이트, 및 아스파탐의 경우 0.02 mg/kg이었다. 시료에 대한 6종의 감미료에 대한 분석법의 회수율은 과자 87.4~106.9%, 캔디 99.8~114.7%로 전반적으로 좋은 회수율을 보여 어린이기호식품에서의 감미료 분석에 적용하였다.

시판 냉동식품에서 분리한 장구균의 항생제 내성 양상 (Antibiotic Resistance Patterns of Enterococcus spp. Isolated From Commercial Frozen Foods)

  • 박선희;김경식;유영아;이재규;정성국;한기영;김무상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22-128
    • /
    • 2010
  • 2009년 4월부터 12월까지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 미생물 관리팀에 의뢰된 냉동식품 100건을 대상으로 일반세균수, 대장균군수, 대장균과 장구균의 오염도를 조사였으며, 분리된 장구균을 대상으로 하여 항생제 감수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일반세균수는 평균 검출량이 $4.3{\times}10^4CFU/g$ 이고 대장균군수는 평균 검출량이 $4.3{\times}10^3CFU/g$ 이고 대장균은 100건 모두에서 불검출되어 0.0%의 검출률을 보였다. 100건의 검체 중 총 22건에서 장구균이 분리되었으며 이 가운데 12주는 E. faecium, 7주는 E. faecalis, 2주는 E. gallinarum, 1주는 E. hirae이었다. 분리균주의 항생제 내성률을 검사 한 결과, 내성을 나타내는 항생제들은 erythroycin, rifampin, teracycline ciprofloxacin, chlorampenicol, penicillin이며, vancomycin, ampicillin, gentamicin, strepomycin, linezolid에 대해서는 모두 감수성이었다. 또 22건의 분리 균주 중에서 2종 이상의 항생제에 다제 내성을 나타낸 균주가 15주나 되며 가장 많은 형태로는 6균주의 장구균에서 나타난 E-RA에 대한 것이었다.

식품 포장재 중의 퍼플루오르옥탄설포네이트 분석 (The Determination of Perfluorooctane sulfonate in Food Packing Materials by HPLC-MS/MS)

  • 김일영;김애경;정보경;신영;김지영;김정헌;채영주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76-380
    • /
    • 2013
  • 퍼플루오르옥탄설포네이트를 LC/MS/MS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분석 대상물질의 고유한 스팩트럼을 얻어 정량하여 머므름 시간은 4.33분이었으며 상관계수($R^2$)은 0.9998로 양호한 직선상의 그래프를 얻을 수 있었다. 퍼플루오르옥탄설포네이트에 대한 분석법의 회수율은 99.84%로 전반적으로 좋은 회수율을 보였으며 또한 이 연구에 적용되기에 충분한 정밀도와 정확도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퍼플루오르옥탄설포네이트 정량한계 및 검출한계는 0.03, 0.009 ug/L이었다. 따라서 식품 용기포장재에서의 분석에 적용이 가능하였다.

시판 축산물가공품의 보존료 사용에 관한 조사 (A study on the sorts and dosage of preservatives used in processed meat and milk products)

  • 최효정;홍인석;최윤화;이윤희;김창기;이덕주;이정학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37-443
    • /
    • 200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sorts and the quantity of preservatives in 2,575 samples of 10 kind products which had been sold in the markets from 2004 to 2006. These analyses were done using HPLC. By the result of Investigation, the most frequently detected preservative was sorbic acid in 222 cases. Detection rate of sorbic acid was 8.62%. Dehydroacetic acid (DHA) was detected in 8 cases among 36 butter samples and one of 278 sausage samples. Detection rate of DHA was 0.0035%. In detail, the detection rate was 71.5% (88/123) in dried meat, 22.2% (8/36) in processed butter, 17.3% (48/278) in sausage, 10.4% (17/163) in canned meat etc., 7.9% (49/619) in ham, 7.48% (19/254) in processed cheese and 4% (2/49) in bacon, respectively. The content range of sorbic acid and its average in each of the processed meat and milk products are as follows: $ND{\sim}1.64 g/kg$, 0.26 g/kg in dried meat, $ND{\sim}1.34 g/kg$, 0.114g/kg in sausage, $ND{\sim}0.41g/kg$, 0.015 g/kg in canned meat etc., $ND{\sim}1.37 g/kg$, 0.038g/kg in ham, $ND{\sim}1.63g/kg$, 0.056 g/kg in processed cheese, $ND{\sim}0.57 g/kg$, 0.022 g/kg in bacon, respectively. Amount of detected DHA was less than 0.23 g/kg, and its average was 0.022 g/kg in processed butter.

유통 두족류의 중금속(Hg, Pb, Cd, Cu) 함량과 위해성 평가 (Contents of Heavy Metals (Hg, Pb, Cd, Cu) and Risk Assessment in Commercial Cephalopods)

  • 김수언;황영옥;박애숙;박영애;함희진;최성민;김정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606-612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저서성 두족류 낙지를 중심으로 주꾸미, 문어, 오징어 144건에 대해 생체에 강한 축적 경향으로 식품 안전상 중요시 되는 수은, 납, 카드뮴, 구리의 중금속 함량을 분석하였다. 두족류 가식부의 중금속 함량은 수은 $0.017{\pm}0.063\;mg$/kg, 납 $0.024{\pm}0.004\;mg$/kg, 카드뮴 $0.030{\pm}0.027\;mg$/kg, 구리 $2.536{\pm}0.653\;mg$/kg이었으며, 내장에서는 수은 $0.063{\pm}0.016\;mg$/kg, 납 $0.579{\pm}0.304\;mg$/kg, 카드뮴 $15.200{\pm}6.189\;mg$/kg, 구리 $201.706{\pm}129.7\;mg$/kg이었다. 낙지 가식부와 내장의 비로 중금속의 축적정도를 파악해보면, 카드뮴이 가장 높았고 다음이 구리, 납, 수은 순이었으며, 낙지 무게에 따른 중금속의 축적 정도와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우리나라 국민이 낙지를 통해 섭취하는 수은, 납, 카드뮴, 구리 등의 중금속 주간 섭취량은 FAO/WTO에서 중금속 안전성 평가를 위해 정한 잠정주간섭취허용량인 PTWI의 0.0~0.20% 수준으로 안전한 것으로 판단 되며, 비가식부(내장)의 경우는 0.05~92.28%로 높게 나타나 낙지 섭취 시 낙지 내장을 제거한 후 섭취하는 것이 안전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