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omaeyakssuk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9초

섬애약쑥 (Artemisia argyi H.) 추출물의 미백활성 (Whitening Activities of Extracts of Seomaeyakssuk (Artemisia argyi H.))

  • 이해진;임미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41-249
    • /
    • 2020
  • 본 연구는 섬애약쑥(Artemisia argyi H.)의 미백활성을 평가하였다. 섬애약쑥은 증류수와 70% 에탄올로 추출하였으며, 세포에서의 독성평가로 안전함을 확인하였다. 미백활성은 세포내 티로시나아제, 세포외 티로시나아제, 멜라닌 합성저해 및 미백관련 전사인자 감소로 평가하였다.그 결과 50, 100, 200 ㎍/㎖에서 유의한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각 시료의 200 ㎍/㎖ 농도에서 세포 외 멜라닌 생성량의 경우 AAD 45.0%로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나 AAE는 1.3%로 미미하게 감소되었으며, 세포 내 멜라닌 생성량의 경우 AAD 37.2%, AAE 24.6% 감소되었다. 세포 내 tyrosinase 활성의 경우 200 ㎍/㎖ 농도에서 AAD 49.2%, AAE는 35.6% 감소되었다. 또한 tyrosinase, TRP-1, TRP-2 전사인자 각각은 AAD 63.0%/AAE 58.0%, AAD 60.0%/AAE 56.0%, AAD 59.0%/AAE 53.0%로 감소되었다. 추출물 모두 미백활성에 효과가 있었으나 상대적으로 AAD가 AAE에 비하여 미백효능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향 후 미백 기능성화장품의 원료로써 응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항가려움증 활성에 섬애약쑥(Artemisia argyi H.) 추출물이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omaeyakssuk (Artemisia argyi H.) Extracts on Anti-pruritic Activities)

  • 이해진;임현지;임미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1292-1301
    • /
    • 2021
  • 본 연구는 섬애약쑥(Artemisia argyi H.)의 항가려움증 활성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한 연구로써 가려움증 관련인자 등을 측정하였다. 섬애약쑥은 열수로 추출(Artemisia argyi H. distilled water extract 이하, AAD)하여 MTT assay로 세포독성을 측정하였고 항 가려움증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IL-4와 IL-31 관련 전사인자 발현 및 단백질 생성을 측정하였으며, 히스타민의 발현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25, 50, 100 ㎍/㎖의 농도에서는 유의한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가려움증 연관 유전인자인 IL4의 경우 25 ㎍/㎖의 농도에서 약 12%, 50 ㎍/㎖의 농도에서 약 26%, 100 ㎍/㎖의 농도에서 약 61%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IL31의 경우 50 ㎍/㎖의 농도에서 약 33%, 100 ㎍/㎖의 농도에서 약 33%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연관된 단백질 측정의 경우 각각 50 ㎍/㎖와 100 ㎍/㎖의 농도에서 IL-4는 약 34% 및 약 69%, IL-31은 약 36% 및 약 37%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 결과는 ADD가 항가려움증을 위한 소재로써 가능성을 보여 소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섬애약쑥 식초가 고지방-고콜레스테롤 급이 흰쥐의 체내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omaeyakssuk (Artemisia argyi H.) Vinegar on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a High-Fat and High-Cholesterol Diet)

  • 신정연;강재란;신정혜;서원택;변희욱;최진상;강민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7호
    • /
    • pp.779-789
    • /
    • 2017
  • 섬애약쑥 가공품 개발 및 그 활성 규명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섬애약쑥 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식혜를 제조해 당화시킨 후 알코올 발효와 초산발효를 차례로 거쳐 식초를 완성하였다.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를 제공한 흰쥐에 섬애약쑥 식초를 경구 투여하여 체내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실험군은 일반식이를 급이한 정상군(N),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를 급이한 대조군(C), 대조군 식이 급이 후 콜레스테롤 치료 약물인 lovastatin을 20 mg/kg B.W. 투여한 양성대조군(PC), 섬애약쑥 추출물 대신에 물을 첨가하여 동일하게 제조한 맥아식초(TM)와 섬애약쑥 식초(TS)를 체중 kg당 2 mL씩 경구 투여한 군으로 나누었다. 4주간의 실험식이 급이 후 혈청 내 총 지질과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식초 급이군이 양성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낮았으나 중성지질은 양성대조군과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대조군 보다는 유의적으로 낮았다. HDL-콜레스테롤은 식초 급이군과 양성대조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 없이 정상군보다 낮았으나 대조군보다는 유의적으로 높았다. LDL-콜레스테롤은 섬애약쑥 식초 급이군에서 190.68 mg/dL로 정상군을 제외한 실험군 중 가장 낮은 함량이었고 동맥경화지수와 심혈관계 질환 위험지수도 동일한 경향이었다. 혈청 총 단백질과 알부민 함량은 맥아식초와 섬애약쑥 식초 급이군이 대조군이나 양성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 간 손상 지표가 되는 AST는 정상군과 식초 급이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섬애약쑥 식초의 급이는 간장 내 지질 농도 개선에도 효과가 있어 간장 내 총 지질, 총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질의 농도를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혈청 내 지질과산화물의 함량은 섬애약쑥 식초 급이군에서 정상군과 유사한 수준으로 감소하였으며, 간 조직에서는 대조군보다는 낮았으나 정상군보다는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평가에서도 유사한 경향으로 섬애약쑥 식초 급이군 혈청의 항산화 활성이 55.69%로 정상군과 유의차가 없었으며, 간 조직의 활성은 52.39%로 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섬애약쑥 식초는 혈중 지질 농도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식초 자체의 활성과 자체에 함유되어 있던 유효성분 및 발효과정에서 새로이 생성된 성분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판단된다.

전처리 방법을 달리한 섬애약쑥 에탄올 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Ethanol Extract from Artemisia Argyi H. Using Different Preparation Methods)

  • 강재란;강민정;최명효;변희욱;신정혜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23-31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전처리 조건(음건, 숙성, 덖음)과 추출 용매 중 에탄올의 혼합비율(30, 50, 70, 90%)에 따른 섬애약쑥 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여, 최적의 전처리 조건 및 추출용매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추출물의 수율은 음건쑥추출물에 비해 숙성쑥과 덖음쑥 추출물이 더 높았고, 에탄올 농도에 따른 경향은 확인되지 않았다. 색도는 L, a, b값 모두 음건쑥 추출물에서 가장 높았고 열처리 시간이 가장 길었던 숙성쑥 추출물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덖음쑥, 숙성쑥, 건조쑥 순으로 높고 에탄올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그 함량 또한 증가하였다. 총 페놀, jaceosidin, eupatilin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또한 덖음쑥, 숙성쑥, 건조쑥 순으로 높았으며, 전반적으로 50%와 70% 에탄올 추출물이 30%와 95% 에탄올 추출물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이었다. DPPH radical 소거 활성과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덖음쑥 추출물이 음건쑥과 숙성쑥 추출물에 비해 높았는데, DPPH radical 소거 활성은 덖음쑥 70% 에탄올 추출물이 77.71%로 유의하게 가장 높았으며, ABTS radical 소거 활성은 덖음쑥 30%, 50% 및 70% 에탄올 추출물이 96% 이상의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섬애약쑥은 음건한 것을 덖음 처리를 한 후 50%~70% 에탄올로 추출할 때 유효성분의 함량과 라디칼 소거활성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섬애약쑥 용매별 추출물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ies of Various Solvent Extracts of Seomaeyakssuk (Artemisia argyi H.))

  • 김동규;강재란;신정혜;강민정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11호
    • /
    • pp.1241-1250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섬애약쑥(Artemisia argyi H.)의 생리활성 규명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6종의 용매(butanol, chloroform, ethyl acetate, ethyl ether, hexane, methanol)로 추출하여 총 페놀화합물과 플라보노이드 함량, 항산화 및 파골세포 분화 억제 활성을 검증하였다. 섬애약쑥 용매별 추출물의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은 methanol 추출물에서 함량이 가장 높고 다음으로 butanol 추출물이 높으며, ethyl ether 및 hexane 추출물은 여타추출물보다 그 함량이 낮았다. ABTS 및 DPPH 라디칼 소거활성과 FRAP법에 의한 항산화력을 측정한 결과 methanol 추출물의 항산화활성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고 hexane 추출물의 활성이 유의적으로 가장 낮았다. NO 생성억제능은 비교적 저농도인 $2.5{\mu}g/ml$에서 6종 추출물 모두 확인되었으며, $20{\mu}g/ml$ 농도에서는 ethyl acetate가 가장 활성이 높고 다음으로 butanol 추출물에서 높게 측정되었다. ROS 생성 억제능은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20{\mu}g/ml$ 농도에서 ethyl acetate 추출물과 butanol 추출물이 다른 4종의 추출물 대비 활성이 높았다. TRAP 염색을 통해 용매별 추출물들의 파골세포 분화 활성을 확인한 결과 6종 추출물 모두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분화 억제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butanol 추출물에서 분화 억제 활성이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하여 볼 때 섬애약쑥 용매별 추출물 중 butanol 추출물이 항산화 활성과 파골세포 분화억제 활성이 모두 높기 때문에 향후 골다공증의 치료 및 예방에 있어서 유효할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