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om River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26초

강원도 섬강 (횡성호) 유역의 하천생태계 조사 (A Survey of Ecosystem Structure in the Watershed of the Seom River and Hoengseong Reservoir, Kangwon Province, Korea)

  • 신재기;김영성;황순진
    • 생태와환경
    • /
    • 제49권2호
    • /
    • pp.130-141
    • /
    • 201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lucidate the structure of river ecosystem in the watershed of the Seom River and Hoengseong Reservoir located in Hoengseong of Kangwon Province from February to October 2007. Topics of the survey were mainly rainfall, discharge, water quality in abiotic factors and attached algae, benthic macroinvertebrates, fish, birds and mammals of flora and fauna in a biotic factors, respectively. Specifically, the Seom River could be seen as a typical flow rate of the stream is controlled to the effect of the dam. Basic water qualities were great to seasonal effects, it was relatively clean. Diatom Achnanthes, Cymbella, Gomphonema, and Navicula were distributed predominantly in the periphytic algae. Benthic macroinvertebrates were mostly aquatic insects and freshwater shellfish, the aquatic insects were abundant Ephemeroptera and Trichoptera. Freshwater fish was the dominant Zacco platypus, fish species varied toward the downstream. Birds were mainly observed in four species, and species Egretta garzetta, which was distributed in a wide area of the Seom River. In mammals, Lutra lutra of Mustelidae was identified that the number of inhabit widely. In aspects of the ecological trophic level, the Seom River was maintained at a relatively stable state in the producer and the consumer relationship.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expected to be utilized as a useful data for understanding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lotic and lentic ecosystems.

섬강유역 환경용량 및 수질 Modeling (Water Quality Modeling and Environmantal Capacity in the Seom River Basin)

  • 허인량;오근찬;최지용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80-86
    • /
    • 1998
  • Seom River was major branch of Namhan river, consist of primary basin that Wonjoo-city, Hoingsung-gun and primary contamination source was sewage from human lives. This study was evaluated production contamination loading of each branch basin and water quality grade and water quality simulation by QUAL2E to provide efficient contaminations source control. Rusult of survey, production loading of BOD, T-N, T-P were 26,591 kg/day, 4,560 kg/day, 731 kg/day resectively. Water quality analysis in 17 points of main stream were appeared that 1st grade(BOD 1 mg/l under) was 6 point, 2nd grade was 9 point and 3rd grade was 2 point. And result of water quality analysis for branch steram, first grade was evaluated 68.7%. Based of field data, calibration and verification result were in good agreement with mesured value within coefficient of variance were from 2.59% to 18.73%, from 6.39%, to 28.46%, respectively.

  • PDF

하천수질오염이 농업용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ater Pollution on the Irrigation Water)

  • 나규환;이장훈;김치년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6권3_4호
    • /
    • pp.155-161
    • /
    • 1991
  • The water quality in Wonju stream, Seom river in Kangwon province and Bokha, Shindun stream in Kyeonggi province was investigated between the season of irrigation on July, 1990 and of non-irrigation on September in 1989. The results of water quality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As for water quality of the Wonju stream and the Seom river, the concentration of COD, T-N, SS and Cu, and for the Bokha, Shindun stream, the concentration of T-N, SS and Cu were exceeded standard levels of quality guideline of agricultural water use in the season of irrigation. However, in the water quality of Wonju and Bokha stream, the concentration of T-N , SS and Cu, and in the Seom river, the concentration of T-N, SS, Cu and Zn were exceeded standard levels of agricultural water quality in the season of non-irrigation. And the average water quality of the 4 streams were not suitable for agricultural water use. The comparison of the annual average water quality of the 4 streams for pH, DO, T-N and SS were in statistics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p values less than 0.01. When the average water quality between the season of irrigation and non-irrigation in each stream was compared, DO and COD in the Wonju stream, COD in the Seom river, pH, DO, T-N, SS and Cu in the Shindun stream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p<0.01. The average in the sediment were; COD, 5.65∼26.53 ppm; Cu, 0.26∼0.49 ppm and Zn 0.95∼2.97 ppm. The concentration of three contaminants were markedly higher than the water quality. And the concentration of COD, Zn in the sedimen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p<0.01, and Cu showed a considerab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 p<0.05.

  • PDF

2차원 수치모형을 이용한 남한강과 섬강 합류부 구간의 흐름 및 하상변동 해석 (Numerical analysis of flow and bed change at a confluence of the Namhan River and the Seom River using a two-dimensional model)

  • 박문형;김형석;백창현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1권12호
    • /
    • pp.1273-1284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4대강 살리기 사업 후 퇴적현상이 지배적으로 발생하는 남한강과 섬강 합류부 구간을 대상으로 2차원 수치모형인 CCHE2D 모형을 이용하여 하천의 흐름 및 하상변동에 대한 해석을 수행하였다. 대상지점 합류부는 남한강 본류의 만곡부에 지류 섬강이 유입되는 특성을 갖는다. CCHE2D 모형은 비평형 유사이송을 해석하며 소류사와 부유사 조정거리가 중요한 입력변수로 대상지점에서는 소류사 조정거리가 하상변동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치모의 결과 유량비($Q_r$) 변화가 남한강과 섬강 합류부 지점에서 흐름 및 하상변동에 영향을 미쳤으며, $Q_r{\leq}2.5$인 경우에는 합류전 본류의 유속이 증가하여 흐름박리구역을 감소시켰으며 이로 인해 합류부 내측의 퇴적이 감소하였다. $Q_r$>2.5이면 합류부 구간에 퇴적이 증가하여 사주가 형성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치모의를 통해 2013년에 발생한 유량비 변화에 의해 합류부에 고정사주가 형성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도시 하천(원주천) 유입이 섬강 하류 부착규조 군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n Inflowing Urban Stream (Wonju stream) on Epilithic Diatom Assemblages in the Lower Seom River)

  • 윤성애;김난영;김백호;황순진
    • 생태와환경
    • /
    • 제43권2호
    • /
    • pp.232-241
    • /
    • 2010
  • 섬강 수계로 유입되는 도시하천(원주천)의 유입이 부착조류 군집에 미치는 생태학적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부착조류 및 수질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는 섬강 본류와 원주천을 포함한 지류 등 총 14개 지점을 선정하여 2007년 10월에서 2008년 9월에까지 계절별로 4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수온과 용존산소를 제외한 대부분의 수질항목은 계절 변이가 크지 않았고, 섬강 상류에서 가장 낮은 농도를 보였으며, 섬강 중류(원주천 유입부분)에서 가장 높은 농도를 보였고, 원주천 합류 이후 하류로 갈수록 점차 농도가 감소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가장 높은 빈도와 생물량을 보인 종은 Achnanthes convergens이었고, 원주천를 비롯하여 수질오염이 심한 지점에서는 Navicula goeppertiana, Navicula subminuscula, Nitzschia palea 등이 높은 밀도를 보였다. 각 조사지점의 TDI(trophic diatom index)에 의하면, 섬강 수계는 크게 3 그룹 - 섬강 상류와 지류하천(A 또는 B등급), 원주천(D등급), 합류후 섬강하류의 본류(C등급)로 구분되었으며, 대부분의 수질과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생물 및 수질요인을 근거로 하는 유사도 분석결과는 TDI 지수의 분포와 유사하였다. 따라서, 인구밀집과 공업단지를 관통하는 원주천은 섬강 수계에 서식하는 부착규조 및 수질에 큰 영향을 미치며, 원주천 합류 이후 하류로 갈수록 오염정도가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2007년 섬강 시험 유역의 운영 (Operation of Seom River Experimental Watershed in 2007)

  • 이민호;최흥식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08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699-702
    • /
    • 2008
  • In this study, it has observed the precipitation and stage data at each point every ten minutes for gaining the sustainable, reliable and high-quality hydrological data through operating the experimental watershed in mountainous areas such as Gyecheon located in the upstream of Seom river that is the tributary of Nam-Han river. And it has regularly surveyed the runoff and verified the reliability of data using the uncertainty analysis at the gaging station. So, this study has developed the stage-discharge curve(rating curve) and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d as fundamental data for analyzing the circulation of water through surveying evapotranspiration, soil moisture and level of groundwater in watershed.

  • PDF

원주시 섬강, 원주천의 비오톱유형별 야생조류 서식특성 연구 (Properties of Wildbirds Habitat according to Biotope Types at Seom River and Wonju Stream)

  • 노태환;피재황;최진우;이경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676-689
    • /
    • 2013
  • 본 연구는 강원도 원주시에 도심지를 통과하는 원주천과 외곽의 국가하천인 섬강 전 구간을 조사하여 비오톱유형화를 통해 하천 자연생태 현황을 파악하고, 야생조류 출현위치를 파악하여 비오톱과 야생조류 출현현황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비오톱유형은 규모, 형태, 경관에 따라 중분류하였으며, 수문, 물리환경, 식생에 따라 소분류하였다. 또한 하천공간, 물리환경, 식생, 토지이용에 따라 비오톱유형을 세분류하였으며, 조사 결과 섬강은 21개 유형, 원주천은 19개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야생조류는 2008년 1월과 5월에 조사를 시행하였으며, 각 조류의 출현위치를 표기하여 야생조류 출현지점의 비오톱 속성을 파악하였다. 야생조류 출현 현황은 섬강 전 구간에서 봄철 31종 795개체, 겨울철 49종 4,348개체이었고, 원주천에서는 봄철 34종 427개체, 겨울철 33종 3,442개체이었다. 섬강은 산지형 하천 중 합수부 퇴적지 자연하천 지역에 겨울철 26종 547개체, 봄철 12종 72개체이었으며, 농촌형 하천 중 퇴적지 및 습지식생이 넓게 형성된 자연하천 지역에 겨울철 34종 1,412개체, 봄철 24종 341개체이었다. 이에 농촌형 하천은 하폭이 넓고 유속이 느리며, 다양한 비오톱유형이 있어 야생조류 서식에 양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조사와 표현이 힘든 선형 하천구간에 정밀 비오톱 조사와 유형화를 통해 하천 전체 현황을 파악하였으며, 야생조류 출현현황을 조사하여 생물서식처 복원, 생태하천 조성, 하천정비 등의 기초자료로 활용되며, 원주시 도심 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한 자료로 활용 가능하다. 또한 하천은 강우에 의해 비오톱 속성이 빈번하게 변경되므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하천생태계가 유지될 수 있도록 관리해야 할 것이다.

섬강에 서식하는 멸종위기종 꾸구리 Gobiobotia macrocephala(Pisces: Cyprinidae)의 서식개체수 추정 (Population Estimates of the Endangered Species, Gobiobotia macrocephala (Pisces: Cyprinidae) in Seom River, Korea)

  • 고명훈;송호복;최승호;송하윤;강동원;문신주;이상준;방인철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77-182
    • /
    • 2012
  • 섬강에 서식하는 꾸구리의 서식개체수를 추정하기 위하여 2010년 9월부터 10월까지 강원도 원주시 섬강 일대에서 조사를 실시하였다. 꾸구리가 출현한 곳은 14개 지점이었으며, 자갈과 돌이 깔린 하류의 여울부에서 주로 서식하고 있었다. 출현개체수가 가장 많고 서식지가 안정된 두 개 지점에서 표지-재포획법과 방형구(족대조사와 수중관찰)를 이용하여 서식개체수를 추정한 결과 표지-재포획법으로 $8,295{\pm}4,922$개체와 $39,846{\pm}14,232$개체로 각각 추정되었고, 방형구의 족대조사는 9,216개체와 37,873개체로, 수중관찰은 5,593개체와 24,347개체로 추정되었다.

INTEGRATED WATER RESOURCES AND QUALITY MANAGEMENT SYSTEM USING GIS/RS TECHNOLOGIES

  • Shim, Kyu-Cheoul;Shim, Soon-Bo;Lee, Yo-Sang
    • Water Engineering Research
    • /
    • 제3권2호
    • /
    • pp.85-92
    • /
    • 2002
  • There has been continuous efforts to manage water resources for the required water quality criterion at river channel in Korea. However, we could obtain the partial improvement only for the point sources such as, waste waters from urban and factory site through the water quality management. Therefore, it is strongly needed that the best management practice throughout the river basin fur water quality management including non-point sources pollutant loads. This problem should be resolved by recognizing the non-point sources pollutant loads from the upstream river basin to the outlet of the basin depends on the landuse and soil type characteristics of the river basin using the computer simulation by a distributed model based on the detailed investigation and applic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onsisted of the three major distributions, which are the investigation of spread non-point sources pollutants throughout the river basin, development of the base maps to represent and interpret the input and outputs of the distributed simulation model, and prediction of non-point sources pollutant loads at the outlet of a up-stream river basin using Agricultural Non-Point Sources Model (AGNPS). For the validation purpose, the Seom-Jin River basin was selected with two flood events in 1998. The results of this application showed that the use of combined a distributed model and an application of GIS was very effective fur the best water resources and quality management practice throughout the river basin

  • PDF

중규모 하천에서의 식생 증가 현황에 대한 분석 (Analysis of the riparian vegetation expansion in middle size rivers in Korea)

  • 김원;김시내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2권spc2호
    • /
    • pp.875-885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중규모 하천에서의 식생 확장 현상을 분석하는 것이다. 상류에 댐이 있는 섬강, 댐이 없는 청미천, 댐이 있지만 운영이 되지 않고 있는 내성천 등 세 개 하천의 약 1 km 구간에 대해 항공사진 분석을 통한 식생 면적 확장 현상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해당 구간 면적 대비 섬강 54.7% (2016), 청미천 77.5% (2016), 내성천 49.7% (2017)를 식생이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010년 이후 청미천과 섬강에서 약 2배, 내성천에서 약 17배로 급격하게 식생이 증가하였고 이에 따라 사주나 수면적은 그만큼 감소하였다. 하천의 위치나 댐 유무에 관계없이 최근들어 하천내 식생이 크게 확장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천내 식생 면적의 급격한 증가는 하천의 물리적 구조 뿐만아니라 생태계에도 변화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원인의 규명과 이에 대한 대책의 수립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