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nsory-motor task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31초

다양한 임무 부여시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에서 관찰된 소뇌의 활성화 (Cerebellar Activation Related to Various Tasks Using fMRI)

  • 황승배;곽효성;이상용;진공용;한영민;김영곤;정경호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3권1호
    • /
    • pp.47-53
    • /
    • 2009
  • 목적: 기능적 자기 공명 영상을 이용하여 운동, 감각, 단어만들기, 듣고이해하기, 그리고 기억하기 등의 자극을 주어 소뇌 활성화를 평가하는 것이다. 대상 및 방법: 11명의 건강한 오른손잡이 지원자 (남: 여, 6:5, mean age: 27.4세)를 대상으로 1.5T 자기공명영상기기의 BOLD기법을 이용하여 뇌 전체를 축상면으로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을 얻었고 패러다임은 5번의 자극과 휴식을 반복 사용하였다. 왼쪽 손가락의 복잡한 운동, 감각 자극, 단어만들기, 듣고이해하기, 그리고 기억하기를 활성화 자극으로 사용하였고, 한계치는 p = 0.001를 사용하여, 소뇌 내 활성화를 SPM 5를 이용하여 활성화된 영역의 부위와 활성화정도를 평가하였다. 결과: 소뇌 활성화는 운동, 단어만들기, 그리고 기억하기에서 관찰되었다. 운동 자극에서는 949 영역이 활성화되었고 평균반응정도는 0.68이었고 단어만들기 자극에서는 319 영역이 활성화되었고 평균반응정도는 0.15이었으며 기억자극에서는 330의 영역이 활성화되었고 평균반응정도는 0.26이었다. 결론: 소뇌는 운동, 단어만들기, 그리고 기억하기등 다양한 기능적 자극에 관련이 되어 있으며, 이중에서도 운동기능에 가장 연관이 있었다. 기능적 자기 공명 영상은 소뇌 기능 연구하는 방법으로 이용이 가능할 것이다.

  • PDF

다양한 지지면에서 균형운동이 경직성 뇌성마비 양하지마비 아동의 대동작기능 및 균형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Balance Exercise on Various Support Surfaces on the Gross Motor Function and Balance Ability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 이은정;송주민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357-365
    • /
    • 2012
  • Purpose : The present study has been performed to find the effects on gross motor function and balance ability of applying a balance exercise program consisting of motions able to stimulate balance-related sensory systems on various support surfaces along with goal-oriented upper extremity tasks to enhance the balance ability. Methods : 10children diagnosed as having spastic diplegia were selected as the subject for this study, of whom 5children were randomly assigned to a control group (CG) and the remainder to a balance exercise group (BEG) to perform the upper extremity task on various support surfaces. Each intervention was executed 30minutes per session with 2sessions a week for 12weeks. To make comparisons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gross motor function measure; standing; demention D(GMFM;D), walking/running/jumping ;demention E (GMFM;E) and pediatric balance scale (PBS) were evaluated. Results : The CG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05) in GMFM;E. BEG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05) in GMFM;D as well as GMFM;E and in PBS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BEG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p<.05) in GMFM;D and the PBS compared with the CG whereas it did not indicate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GMFM;E. Conclusion :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has been shown that a balance exercise accompanied by upper extremity task on various support surfaces had an effect on improvement in the gross motor function and the balance ability of children with spastic diplegic cerebral palsy.

편마비 아동의 재활프로그램에 대한 양측성 전이 패러다임의 적용가능성 (Applicability of bilateral transfer paradigm to the rehabilitation programs for children with hemiplegic cerebral palsy)

  • 김미현;박상범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12권1호
    • /
    • pp.163-172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experimental evidence and theoretical background for the applicability of bilateral transfer paradigm to the rehabilitation programs for children with hemiplegic cerebral palsy. Children with hemiplegia, which means unilateral motor disabilities, display abnormal motor and postural patterns of the affected side due to hemiparesis, spasticity, and sensory disorders, resulting in a decreased motor abilities of the affected side compared to unaffected side. Accordingly, they tend to rely on the unaffected limb for everyday activities, which further deteriorates the functions of the affected side by causing associated reaction, abnormal postural patterns, and hypertonus. Rehabilitation programs developed for children with hemiplegic cerebral palsy include neurodevelopmental treatment, application of cast or splint to unaffected limb,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and task oriented model. These programs, however, have several drawbacks, such as discontinuity in treatment effect and psychological hatred to the force use of the affected side.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and enhance the efficiency of the rehabilitation programs, it is required to maximize the use of the affected side without hatred. Characteristics of the control system, such as temporal coupling and spatial assimilation between limbs and neural crosstalk at different levels of central motor pathway, suggest that the bilateral transfer paradigm may enhance the efficiency of the rehabilitation programs for children with hemiplegic cerebral palsy.

  • PDF

뇌성마비 아동의 신체기능 및 일상생활 향상을 위해 적용된 과제 중심 훈련의 체계적 고찰 (A Systematic Review of Task-Oriented Training to Improve the Physical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of Living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 박아름;이재신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54-68
    • /
    • 2021
  • 목적 : 본 연구는 뇌성마비 아동의 신체기능과 일상생활 향상을 위해 적용된 과제 중심 훈련 방법에 대해 정리하고 효과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검색 기간은 2008년 1월부터 2020년 8월까지로 하였으며, 자료 검색을 위해 CINAHL, MEDLINE, PubMed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였다. 총 18편이 선정되었으며, PICO(Patient, Intervention, Comparison, Outcome) 방법을 적용하여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과제 중심 훈련은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운동학습 및 운동조절 이론의 전략인 과제(Task), 실행(Practice), 피드백(Feedback)으로 분류하여 제시하였다. 결과 : 그 결과 13편의 연구가 운동기술 영역에서 유의한 결과를 보였으며, 그 중 2편의 연구에서 일상생활 영역에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과제는 개별 과제(discrete task)와 닫힌 과제(closed task) 형태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실행은 전체 실행(whole practice) 유형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부분 실행(part practice), 차단 실행(blocked practice) 순으로 사용되었다. 마지막으로 피드백은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않은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외재적 피드백(extrinsic feedback)이 사용되었다. 결론 : 본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에는 뇌성마비 아동의 운동조절을 촉진하는 기술의 체계적인 선택과 구체적인 방법의 제시를 통하여 과제 중심 훈련이 임상에서 더욱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Clinical Application of AR System in Early Rehabilitation Program After Stroke: 2 Case Study

  • An, Chang Man;Kim, Dae Hyun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31권3호
    • /
    • pp.141-146
    • /
    • 2019
  • Purpos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n augmented reality (AR) system on muscle strength and function level of the paretic lower limb and the balance ability in the early rehabilitation program of acute stroke patients. Methods: The participants (30 or fewer days after stroke) were randomly assigned to receive intervention with an early rehabilitation program using an AR system (n=1) or an early rehabilitation program consisting of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and tilt table use (n=1). Patients in both subjects received interventions 4-5 times a week for 3 weeks. Results: In the paretic limb muscle strength, AR subject was increased from 15 to 39.6 Nm and Control subject was increased from 5 to 30.2 Nm. The paretic limb function of AR subject motor function was increased from 8 to 28 score and Control subject motor function was increased from 6 to 14 score. But sensory function was very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 two subjects (AR subject: from 4 to 10 score, Control subject: from 3 to 10 score). In the balance ability, AR subject had more difference after intervention than control subject (AR subject: 33 score, Control subject: 22 score). Conclusion: The early rehabilitation program using the AR system showed a slightly higher improvement in the motor function of the paretic lower limb and balance ability measurement than the general early rehabilitation program. The AR system, which can provide more active, task-oriented, and motivational environment, may provide a meaningful environment for the initial rehabilitation process after stroke.

초등학생집단 다전문가 협업프로그램에서의 School AMPS 분석을 통한 작업치료와 감각통합접근의 의미 (Sensory Integration and Occupational Therapy for Elementary Students Collaborative Group Program : Implementing School AMPS)

  • 지석연;이성아;박소연;홍민경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1-27
    • /
    • 2013
  • 목적 : 학교기반 작업치료는 교육전문가와 협업하는 다전문가적 접근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일반 초등학교에 진학하는 고위험군 아동들을 대상으로 특수교사와 작업치료사가 함께 지역사회 기관에서 협업으로 실시하는 집단교육 시간의 작업수행변화를 분석하고, 감각통합 중재의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예비 프로그램으로 입학준비 프로그램을 특수교사와 작업치료사의 부분적인 협업을 통해 실시한 후, 초등학교 적응프로그램은 특수교사와 작업치료사가 전체과정을 협업하여 시행하였다. 연구대상은 6명이었다(7세 5명, 9세 1명). 프로그램 평가는 교육활동 참여에 대해 School AMPS를 실시하였고, 일정하게 구성된 자조활동에 대해 AMPS 수행기술을 관찰하여 중재전략에 활용하였다. 평가를 통한 중재전략과 그에 따라 진행된 변화를 교사와 치료사의 월간 기록을 토대로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부모설문을 통해 감각프로파일을 조사하였다. 결과 : 사전 프로그램에 참가한 아동 5명 중 4명이 감각통합적인 어려움으로 수행에 영향을 받는다고 평가되었고, 이 결과가 본 프로그램 구성에 기반이 되었다. 본 프로그램 구성은 참가 아동이 속한 학년의 교실에서 수업과제(school task)와 집단 활동, 기본 자조활동으로 이루어졌고, 수업과제활동평가 School AMPS는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하지 않으나 평균 운동기술은 0.14 로짓(logit), 평균처리기술은 0.07 로짓이 향상되었다. 협업적 중재로는 감각 통합이 주된 회복적 중재로 사용되었고, 과제수행을 통해 직접 어려움이 있는 기술을 향상하는 습득적 중재, 교사의 대응전략이나 도구 및 환경 조정을 시행하는 보상/적응적 중재가 적용되었다. 기본적 자조활동들은 도움이 필요한 수준에서 자립적인 수준으로 향상되어서 반복적인 자조활동의 경험과 중재가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개선된 수행기술들 이외에 새롭게 도전이 되는 수행기술이 발생하였고, 이런 문제들은 감정과 행동문제와 더불어 감각통합의 어려움 뿐 아니라 집단에서 일어나는 역동적 이유 때문으로 평가되었다. 결론 : 초기에는 감각통합 프로그램을 통하여 학생들의 참여가 향상될 수 있었다. 그러나, 집단 활동을 통해서 드러나는 초등학생들의 감정조절 문제, 역할 변화에 따른 수행변화, 또래에 대한 반응문제가 드러남에 따라 감각통합적인 중재에서 더 복합적인 개인-환경-과제에 대한 중재가 필요하였다. 특수교사와 작업치료사의 협업은 상호보완적이며 필요한 수행기술을 향상하는 데 시너지 효과가 있었다. 이 과정에서 School AMPS는 측정 가능한 결과를 일부 제시하는 데 유용하며, 향후에는 질적 분석을 보다 객관화 할 수 있는 방법들이 요구된다.

  • PDF

초등학교 지적장애아동의 자세조절 특성 (A Study of Postural Control Characteristics in Schoolchild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 이형수
    • 재활복지
    • /
    • 제14권3호
    • /
    • pp.225-256
    • /
    • 2010
  • 본 연구는 초등학교 지적장애아동의 자세조절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시각, 안뜰감각 그리고 몸감각을 조합하여, 실험 조건에 따라 자세유지를 위하여 어떤 감각을 활용하고 있는지, 부적절한 감각자극에 대해서 통합시스템에서 어떻게 반응하는지, 외부 동요에 대해 신경근육의 자세조절 전략 시 동원되는 근육의 수축 개시시간과 개시순서를 각각 측정하여, 지적장애 아동의 자세조절 특성을 살펴보고, 나아가 초등학교 지적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분석하여 자세조절능력 향상 프로그램에 적용 시 방향을 제시해주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성별과 연령을 고려하여 초등학교 지적장애아동 26명과 일반아동 26명의 아동으로부터 자세조절능력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자세조절과 감각계와의 관계를 파악한 평형점수와 감각활용 분석, 엉덩관절 전략에 의지하는 자세조절 전략, 근수축 개시지연과 근수축 개시순서의 변화 등을 종합해 볼 때 초등학교 지적장애아동의 자세조절의 문제는 운동시스템, 감각시스템, 통합시스템의 자세조절 시스템 전반에 걸친 총체적인 문제로 나타났다. 따라서 초등학교 지적장애아동의 자세조절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운동시스템, 감각시스템, 통합시스템을 포함하는 포괄적 자세조절 훈련 프로그램의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자세조절 프로그램을 구성할 때, 다양한 감각을 제공하여 주고, 제공된 감각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감각훈련과 함께 고위중추에서 입력된 감각들을 정상적인 자세조절 발달에 활용할 수 있도록 훈련 시켜주어야 한다. 적응 반응을 계획하고 조직화하여 의미 있는 활동을 통해 중추신경계의 처리능력을 향상시키는 치료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한다. 또한 자세조절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는 안정성 한계를 넓힐 수 있는 신경발달학적 치료와 함께, 근골격계에서 빠른 근수축 반응과 효율적인 근수축 개시순서를 유발 할 수 있도록 고유수용성 운동조절 프로그램, 자세반응 촉진 프로그램과 같은 훈련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정상성인의 시각 및 촉각 통합 작용 시 뇌신경세포의 전기생리적활동의 시간 및 공간적 특성: 예비실험 (Tempor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Visual and Somatosensory Integration in Normal Adult Brain)

  • 주유미;김지현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41-49
    • /
    • 2010
  • 목적 : 다감각 통합은 인지과제나 운동실행을 위해 다양한 감각정보를 사용하는 데 있어서 필수적인 처리과정이다. 특히 시각 및 체감각의 통합은 운동 행동의 주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는 감각통합 과정의 시간적 경로와 뇌의 담당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신경생리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시각과 체감각의 통합과정과 관련된 뇌의 시간적 및 공간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연구 방법 : 실험실 상황에서 시각과 촉각 자극을 독립적으로 또는 동시에 제시하고 유발전위검사(ERP: Event-Related Potentials)를 통해 통합작용 시 뇌에서 일어나는 신경세포들의 전기생리적활동을 측정하였다. 이때 시각 과 촉각을 각각 제시하여 얻은 유발전위신호들의 선형합과 두 개의 자극을 동시에 제공하였을 시 발생되는 유발전 위신호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 시각과 촉각을 독립적으로 각각 제시하여 얻은 유발전위신호(SUM)의 합과 두 개의 자극을 동시에 제공하여 얻은 유발전위신호(SIM)는 같지 않았다. 특히나 자극의 반대측인 오른쪽 일차체감각영역(C4)에서 SIM은 SUM 보다 특정시간대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Bilateral parietal areas(P3, Pz, P4) 뿐만 아니라 일차 시각영역(O1,O2)에서도 두 조건간 추가적인 통합관련 신경활동전기신호에 의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결론 : 뇌 속에서 2개 이상의 감각이 통합될 경우 이와 관련된 추가적인 신경세포활동이 일어나고 있으며, 이는 다 감각을 동시에 제공할 경우 뇌의 활동을 더욱 활발하게 촉진시키고 있음을 시사한다.

  • PDF

목적성 행동 모방학습을 통한 의도 인식을 위한 거울뉴런 시스템 계산 모델 (Computational Model of a Mirror Neuron System for Intent Recognition through Imitative Learning of Objective-directed Action)

  • 고광은;심귀보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606-611
    • /
    • 2014
  • The understanding of another's behavior is a fundamental cognitive ability for primates including humans. Recent neuro-physiological studies suggested that there is a direct matching algorithm from visual observation onto an individual's own motor repertories for interpreting cognitive ability. The mirror neurons are known as core regions and are handled as a functionality of intent recognition on the basis of imitative learning of an observed action which is acquired from visual-information of a goal-directed action. In this paper, we addressed previous works used to model the function and mechanisms of mirror neurons and proposed a computational model of a mirror neuron system which can be used in human-robot interaction environments. The major focus of the computation model is the reproduction of an individual's motor repertory with different embodiments. The model's aim is the design of a continuous process which combines sensory evidence, prior task knowledge and a goal-directed matching of action observation and execution. We also propose a biologically inspired plausible equation model.

Musculoskeletal Kinematics During Voluntary Head Tracking Movements in Primate

  • Park, Hyeonki;Emily Keshner;Barry W. Peterson
    • Journal of Mechan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7권1호
    • /
    • pp.32-39
    • /
    • 2003
  • In this study we examined connections between vertebral motion and patterns of muscle activation during voluntary head tracking movements. A Rhesus (Maraca mulatta) monkey was trained to produce sinusoidal tracking movements of the head in the sagittal plane while seated. Radio-opaque markers were placed in the cervical vertebrae, and intramuscular patch electrodes were implanted to record from eight neck muscles. Videofluoroscopic images of cervical vertebral motion, and EMG (electromyographic) responses were simultaneously re-corded. Experimental results demonstrated that head and vertebrae moved synchronously and that motion occurred primarily at skull-C$_1$, C$\_$6/-C$\_$7/ and Csub 7/-C$_1$. Our findings illustrate that although the biomechanical constraints of each species may limit the number of solutions available, it is the task requirements that appear to govern CNS (central nervous system) selection of movement behavi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