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nsory function

검색결과 543건 처리시간 0.032초

헛개열매 간장의 알코올 분해 활성 및 관능적 품질 특성 (Alcohol Dehydrogenase Activity and Sensory Evaluation of Hutgae (Hovenia dulcis Thunb) Fruit Soy Sauce)

  • 정수영;임정섭;송희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747-754
    • /
    • 2012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ree amino acid composition, antioxidant activity, alcohol dehydrogenase activity and the sensory quality attributes for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soy sauce using Hutgae (Hovenia dulcis Thunb) fruit, which is well-known for improving liver function and alleviating various negative physiological effects following heavy consumption of alcoholic beverages. Soy sauces adding six types of extract from Hutgae fruit (HF) were prepared (SSH1: HF 20%, SSH2: HF 10%, SSH3: HF 20%/40 days NaCl extract, SSH4: HF 20%/20 days NaCl extract, SSH5: HF 20% water bath extract, SSH6: freeze-drying powder from HF 20% aqueous extract), compared with soy sauce using the conventional method. These soy sauces were used for determining alcohol dehydrogenase activity by NADH absorbance, the antioxidant effect by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sensory evaluation by sensory scaling. Total free amino acid contents for most samples were in the range of 327.3 to 375.5 mg%, and then, aspartic acid and glutamic acid content of SSH1 and SSH5 were higher than that of others.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shown to be the highest in SSH4, also SSH1, SSH5 and SSF6 were shown to be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Alcohol dehydrogenase activity was shown to be the highest in SSH5. In sensory evaluation, the highest intensity of roast smell was observed in SSH4 while sweet taste was shown to be the highest in SSH5, and SSH3 and SSH5 revealed higher overall acceptability. From these results, Hutgae fruit soy sauces demonstrated antioxidant activity and alcohol dehydrogenase activity. In conclusion, soy sauces containing the water bath extract of Hutgae fruit may be used as a functional seasoning.

한국판 수정된 노팅엄 감각평가의 신뢰도 타당도 연구 (Translation and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Revised Nottingham Sensory Assessment)

  • 지은규;이상헌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9호
    • /
    • pp.511-519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수정된 노팅엄 감각평가(rNSA)를 한국판으로 번역하고 검증하는 것이었다. 수정된 rNSA를 한국어로 번역하기 위해 번안/역번안 과정을 사용하여 단면 연구가 수행되었고, 한국판 rNSA의 유효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평가자간 및 평가자내 신뢰도, 내적일관성 및 동시타당도를 조사하였다. 한국판 rNSA는 평가자간 신뢰도(r=0.92-1.00), 평가자내 신뢰도(r=0.93-1.00)로 높은 신뢰도를 확인하였고, 한국판 Fugl Meyer의 감각항목과의 유의한 상관관계(r=0.96)를 확인하였다. 한국판 rNSA의 내적일치도에 대한 Cronbach 값은 0.73-0.90의 범위이고, 한국판 Fugl Meyer의 감각항목의 Cronbach 값은 0.70-0.88의 범위였다. 이 결과로, 한국판 rNSA의 신뢰도 및 타당도를 확인하였으며, 임상환경에서 뇌졸중 이후 감각기능을 평가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Orofacial Thermal Quantitative Sensory Testing (QST): A Study of Healthy Korean Women and Sex Difference

  • Ahn, Sung-Woo;Kim, Ki-Suk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40권3호
    • /
    • pp.96-101
    • /
    • 2015
  • Purpose: Thermal sensory test as an essential part of quantitative sensory testing (QST) has been recognized as a useful tool in the evaluation of the trigeminal nerve function. Normative data in the orofacial region have been reported but the data on differences in the test site, sex and ethnicity are still insufficient. Thu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normal range of orofacial thermal QST data in the healthy Korean women, and assess sex difference of thermal perception in the orofacial regions. Methods: Thermal QST was conducted on 20 healthy women participants (mean age, 26.4 years; range, 21 to 34 years). The thermal thresholds (cold detection threshold, CDT; warm detection threshold, WDT; cold pain threshold, CPT; and heat pain threshold, HPT) were measured bilaterally at the 5 trigeminal sites (the forehead, cheek, mentum, lower lip and tongue tip). The normative thermal thresholds of women in the orofacial region were evaluated using one-way ANOVA and compared with the previously reported data from age- and site-matched 30 healthy men (mean age, 26.1 years; range, 23 to 32 years) using two-way ANOVA. One experienced operator performed the tests of both sexes and all tests were done in the same condition except the time variability. Results: Women showed significant site differences for the CDT (p<0.001), WDT (p<0.001), and HPT (p=0.047) in the orofacial region. The CDT (p<0.001) and the CPT (p=0.007) presented significant sex difference unlike the WDT and the HPT. Conclusions: The thermal sensory evaluation in the orofacial region should be considered in the context of site and sex and the normative data in this study could be useful for assessment of the sensory abnormalities in the clinical setting.

고유-전정감각 중심의 감각통합 중재가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글씨쓰기와 소운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ensory Integrative Intervention Focused on Proprioceptive-Vestibular Stimuli on the Handwriting and Fine Motor Function in Lower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 황지혜;김희정;정혜림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0-20
    • /
    • 2017
  • 목적 : 본 연구는 고유-전정감각 중심의 감각통합 중재가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글씨쓰기와 소근육 능력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부산 소재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저학년 아동 8명을 대상으로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를 사용하였다. 2016년 5월에서 10월까지 주 2회, 총 14회기의 고유-전정감각 중심의 감각통합중재를 실시하였으며 글씨쓰기와 소근육 능력에 대한 측정은 한글자모쓰기검사와 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 (BOTMP)의 Fine motor영역 검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 중재 후 한글자모쓰기검사 결과 자음쓰기와 전체 총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모음쓰기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점수의 향상을 나타내 글씨쓰기 능력의 향상을 나타냈다. BOTMP-Fine motor결과 Response Speed항목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Visual-Motor control항목은 중재 전후로 점수의 증가가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 본 연구는 고유-전정감각 중심의 감각통합 중재가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글씨쓰기와 소근육 능력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뇌성마비아의 병리$\cdot$심리적인 요인과 상지기능과의 연구 (A review about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pathological and psychological factors of cerebral palsy)

  • 이선명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14권4호
    • /
    • pp.367-384
    • /
    • 2002
  • Cerebral palsy refers to the neuromuscular deficit caused by nonprogressive defect or lesion in single or multiple locations in the immature brain resulting in Impaired motor function and sensory integrity. The pathophysiological events may occur during the prenatal intrapartum, perinatal, or early postnatal period. Cerebral palsy is the most common condition and it poses a challenge to practitioners due to the large variation in prognosis for motor function of children with this diagnosis. The objectives of this article are review to pathological and psychological factors of cerebral palsy and upper extremity function. Upper extremity and hand function are most important in activity of daily living in cerebral palsy This article hope to give the information for application in many therapists.

  • PDF

내수용 감각과 촉각처리 및 심박변이도 간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Interoceptive Awareness, Tactile Processing, and Heart Rate Variability)

  • 김지희;김은영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5-24
    • /
    • 2024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내수용 감각(interoception)과 감각처리, 그리고 자율신경계의 균형을 반영하는 심박변이도와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 젊은 성인을 대상으로 청소년/성인 감각프로파일(Adolescent/Adult Sensory Profile; AASP)과 다차원 내수용 자각 척도(Multidimensional Assessment of Interoceptive Awareness; MAIA)를 사용하여 감각처리와 내수용 감각을 평가하였다. 심박은 안정상태 심전도로 기록되었고, 심전도에서 심박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 of Normal to Normal interval; SDNN)를 추출하였다. AASP 감각영역과 MAIA 하위척도 간 상관을 분석하였고, 높은 SDNN과 낮은 SDNN 집단 간의 감각처리 및 내수용 감각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결과 : AASP 촉각 영역이 MAIA 하위척도와 상대적으로 강한 상관을 나타내었다. AASP 촉각 영역의 점수가 높을수록 MAIA 걱정하지 않음과 주의 조절 점수가 낮은 반면, 정서자각 점수는 높았다. 높은 SDNN 집단은 낮은 SDNN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내수용 감각이 높은 경향성을 나타냈다. 결론 : 본 연구는 촉각 처리와 내수용 감각의 관련성을 확인하였으며, 심박변이도가 높은 그룹은 내수용 자각이 높은 경향성이 있음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최근 작업치료와 감각통합에서 강조되는 내수용 감각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감각통합의 신경과학적 기전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킨다.

저학령기 아동의 감각통합 기능과 학업성취도간의 상관관계 (The Correlation Between Sensory Integration Function and Scholar Achievement in the Lower Classes Children)

  • 신중일;최영건;장우혁;김경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12
    • /
    • 2008
  • 서론: 본 연구의 목적은 COMPS를 사용하여 저 학령기 아동의 감각통합 기능 수준을 제시하고 감각통합 기능과 학업성취도와의 관련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연구는 2005년 12월 19일부터 20일까지 김해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56개 초등학교 중에서 무작위로 J초등학교와 S초등학교를 선정하였으며 저학년 중 학업성취도를 위한 지필고사를 실시하지않는 1과 3학년을 제외한 2학년 중에서 무작위로 반을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은 2학년에 재학 중인 아동으로 남아가 34명, 여아가 35명으로 총 69명이었다. 평가도구는 감각통합 기능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로 COMPS와 학업성취도 평가를 위한 국어, 수학 지필고사를 사용하였다. 결과분석은 SPSS 10.0을 사용하였으며 t-검정과 F-검정 그리고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저 학령기 아동의 COMPS 점수와 학업성취도간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성이 없었으나 산점도 그래프로 볼 때, 전완교환반복운동, 비대칭성 경반사에서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배와위 굴곡위에서는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전체, 국어, 수학과목의 학업성취도가 높은군과 낮은 군 사이에서 COMPS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국어과목에서는 학업성취도가 높은 군이 학업성취도가 낮은 군보다 환산점수 총점과 변환환산점수가 높았으며, 하위항목에서도 COMPS 점수가 높았다. 수학과목에서는 배와위 굴곡위를 제외한 나머지 항목에서 학업성취도가 낮은 군이 학업성취도가 높은 군보다 COMPS 점수가 높았다. 일반적 특성 중 나이에 따른 COMPS 점수의 차이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는데, 슬로모션과 배와위 굴곡위 두 개 항목을 제외하고는 나이가 많을수록 COMPS 점수가 높다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결론: 본 연구에서 감각통합기능과 학업성취도의 상관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는 않았으나 산점도 그래프 상에서는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에 제시된 저 학령기 아동에 대한 COMPS 점수는 일반 아동의 감각통합 문제를 판별하여 학습과 관련된 문제의 조기판별 및 조기치료를 통해 학습능력 향상을 위한 기회를 제공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만 7~9세 학령기아동의 감각통합 임상관찰평가의 발달기준에 관한 일연구 (Developmental Standard of the Short Sensory Profile for Korean Children of School Age (7 to 9 years old))

  • 지석연;김미선;금효진;김성희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27-36
    • /
    • 2009
  • 서론: 작업치료사들이 임상에서 아동의 감각통합 기능을 평가할 때, 기초적인 요소로써의 감각, 운동에 관한 신경근계 검사로써임상관찰을 사용하는 것은 표준화된 검사들을 보완하는 것과 더불어 보다 정확한 추론을 위해 중요한 것으로 여겨진다. COMPS(Clinical Observations of Motor and Postural Skills)는 임상관찰의 일부 내용을 7개 항목으로 정리하여 통계적으로 표준화 한 검사도구로서 아동의 문제가 신경근계와 감각통합에 기인한 것인지를 보다 간소한 과정을 거쳐 선별'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선행연구들에서 부분적으로 국내 아동의 점수가 외국규준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나는 등, 국내 적용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일반아동에게 COMPS를 실시하여 국내의 정상군 검사결과와 항목에 대한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에 맞는 발달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7~9세 남학생 76명, 여학생 7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령대별로는 7세군에서 남학생 21명, 여학생 29명, 8세군에서 남학생 32명, 여학생 22명, 9세군에서 남학생 23명, 여학생 19명이었다. 결과 분석은 COMPS 항목에 대한 성별, 연령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t 검정과 ANOVA를 실시하였다. 결과: 남녀 성별간에는 복와위 신전 항목을 제외한 나머지 6개 항목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연령별 결과는 7세와 9세간의 차이를 유의미하게 보이는 항목이 느린 동작, 손가락-코 짚기, 비대칭경반사, 배와위 굴곡이었고, 8세와 9세간에서는 느린 동작, 손가락-코 짚기, 비대칭경반사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7세와 8세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하여 국내의 7~9세 사이의 임상관찰검사를 통한 신경근계의 발달적인 특성을 살펴볼 수 있었다. 연구대상을 보다 확대하여 국내인구에서의 임상관찰평가를 표준화하는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것이다.

  • PDF

패턴화된 감각 증진(PSE)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에 미치는 즉각적 영향 (Immediate Effect of Patterned Sensory Enhancement (PSE) on Upper Limb Function after Stroke)

  • 한수정;권애지;박혜영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1권1호
    • /
    • pp.1-19
    • /
    • 2014
  • 본 연구는 패턴화된 감각 증진(Patterned Sensory Enhancement, PSE) 기법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에 미치는 즉각적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PSE와 단순 리듬 자극 간의 차이를 비교분석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와 수원시 소재의 재활병원에서 입원 치료 중인 뇌졸중 편마비 환자 16명이며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각각 8명씩 배치하였다. 본 연구의 종속변인은 뇌졸중 환자의 환측 상지 기능으로 6가지 동작의 관절가동범위(ROM, range of motion)와 장악력이며 실험군에게는 PSE를, 대조군에게는 메트로놈으로 제공되는 단순 리듬 자극을 제공하였다. 실험은 음악 자극이 없을 때와 있을 때의 같은 상지 기능을 측정하는 순서로 진행되었으며 측정한 값의 경향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동일한 실험을 총 2회 실시하여 평균값을 도출하였다. 연구 진행 결과, PSE를 제공받은 실험군은 음악을 들으며 동작을 수행할 때 상지 관절가동범위가 유의미하게 향상되는 즉각적인 효과를 보였으나(p < .05), 대조군은 즉각적인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단순 리듬 자극보다 PSE가 상지 운동 향상에 더 적절하게 적용될 수 있다는 것과 음악의 청각적 패턴이 운동 범위의 확장 즉, 운동 향상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PSE가 상지 운동 기능에 미치는 즉각적인 영향을 단순 리듬 자극과 비교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음악 요소의 특징이 유도하고자 하는 신체 운동의 목표와 밀접한 연관성을 가질 때 효과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기능적 전기자극이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의 상지 기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on Hand Function of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 방현수;김동현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10
    • /
    • 2016
  • 목적 : 본 연구는 목적은 기능적 전기자극이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의 상지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방법 : 11세에서 16세 사이의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 20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기능적 전기자극은 1회 20분, 주당 3회, 총 8주를 실시하였고, 기능적 전기자극이 상지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Jebsen Hand Function Test, 수정된 Ashworth 척도, 3차원 동작분석을 실시하였다. Jebsen Hand Function Test, 수정된 Ashworth 척도는 실험 전부터 8주간 각 2주마다 측정을 실시하였고 3차원 동작분석은 실험 전과 8주 후에 측정을 실시하였다. 결과 : 기능적 전기자극 후, Jebsen Hand Function Test에서 6개의 하위 검사 모두에서 각 과제의 수행을 위한 경과 시간의 유의한 감소가 나타났고(p<.05), 수정된 Ashworth 척도에서도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지의 경직도의 감소가 나타났다(p<.05). 3차원 동작 분석 결과 기능적 전기자극 적용 전에 비해 적용 8주의 경과 후 손바닥 두드리기와 검지 두드리기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고(p<.05), 아래팔의 회내-회외 운동에서는 기능적 전기자극 적용 전에 비해 적용 8주의 경과 후에는 통계학적으로도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기능적 전기자극은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의 상지 기능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치료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향후 기능적 전기자극을 위한 다양한 방법과 장기간의 적용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