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nsory Garden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19초

Determining Correlation between Experiences of a Sensory Courtyard and DAS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 Nam, Jinvo;Kim, Keunho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03-413
    • /
    • 2021
  • Background and objective: There is growing concern about the effects of modern society on mental health, coming with Covid-19-related caveats on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DAS). This can be a subject to provide alternative methods which alleviate DAS. In line with this context, sensory gardens are widely acknowledged to stimulate the five major senses (sight, sound, taste, touch, and smell) and can have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mental health. However, there is limited empirical evidence on the effect of these gardens with regard to alleviating DAS - particularly with respect to urban society This is a gab in knowledge how such limits can be addressed. Accordingly, this present study is clearly needed in order to verify if there are any correlations between sensory gardens and (positive) effects on DAS. The aim of this study was therefore to understand current levels of DAS in a high density building with a sensory garden in a courtyard and determine correlations between experiences in the sensory courtyard and levels of DAS. Methods: The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Scale (DASS-21) was employed to test the level of DAS. Results: Additionally, 13 different factors associated with experiences in the building, including the stimulation of the five major senses in the sensory courtyard, were measured to reveal their contribution to mitigating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It is noted that the average levels of DAS were 7.91, 7.77 and 9.01 respectively indicating that the mental health of participants requires mental health management. However, results show that factors associated with the sensory courtyard could improve mental health. For example, new social relationships, walking with colleagues, and the stimulation of each of the five major senses in the sensory garden could improve DAS. Conclusion: This illustrates that external experiences are more effective at mitigating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than internal ones. Factor analysis revealed four components: stimulating the five senses; internal and external facilities; internet-based device use; and new social relationships. There was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new social relationships and walking with colleagues. There were also strong positive correlations among the stimulation of each of the five senses. In conclusion, there are strong indications that sensory courtyards can help alleviate DAS and should therefore be promoted, particularly in the current Covid-19 situation wherein the physical and mental health of the public at large are threatened. Accordingly, courtyard design should be rethought in ligh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sitive impact of sensory gardens and mental health.

인지장애 노인의 환경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Environments for Older People with Cognitive Impairments)

  • 문창호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5권9호
    • /
    • pp.107-116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reference materials for the planning and research of related environments by introduc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samples of the environments for older people with cognitive impairments. Major contents of the study include cognitive impairments and residential facility of older people, model environments for special care unit, therapeutic dimensions of environments, outdoor garden, activity calendar, and site-visits of the sample facilities. Some results of the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 1) Special care unit for the people with cognitive impairments has been required and developed. 2) Weiss Institute, Corrine Dolan Alzheimer Center, and Wood Place in Oakmont were analyzed as model environments. 3) Therapeutic dimensions such as safety & security, awareness & orientation, opportunities for socialization, regulated sensory stimulation, provisions for privacy, ties to the healthy & familiar, and autonomy & control were proposed. 4) The advantages of outdoor garden for the people with cognitive impairments were explained. 5) Activity calendar for a facility was introduced and recognized as a essential guide for environment planning. 6) Sample facilities showed small size households and various ideas of environments for the older people with cognitive impairments.

  • PDF

Analysis of Preference of Environmental Image for the Increase and Promotion of Rose Consumption

  • Jeong, Sun Jin;Gim, Gyung Mee;Kim, Jae Soon;Jang, Hye Sook;Lee, Geun Woo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53-63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ference of plant environmental images for flower plant consumption. This study came up with a total of four treatments including one image without plants and three images with flower plants (three roses, rose gift, rose garden). We conducted a survey on 104 men and women through the Google (online) survey and analyzed the data. The preference was higher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for environmental images with plants than the image without plants. The preference for environmental images of roses was highest in the order of rose gift > rose garden > three roses. As a result of the cross-tabulat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ference for environmental images of rose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such as educational background and residence type. In terms of educational background, 2-year college graduates showed higher preference for the three environmental images of roses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compared to high school graduates, university graduates and masters or higher. As a result of determining the difference in preference according to residential types, residents of multiplex houses showed higher preference for the "rose garden" environment image than residents of detached houses (p < .05). As a result of examining stress and depression in everyday life, 48.1% (the highest)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were "under daily stress" and 48.1% (the highest) of the respondents claimed not to be "under much depress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 in preference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existence of plants, preference in environmental images using roses, correlation with daily stress and depression, and utility of publicity using photographic images of plants.

치유경관의 개념을 적용한 병원 옥외공간 조경설계 - 창원 경상대학교 병원을 사례로 - (Healing Landscape Design for Hospital Outdoor Space - A Case of the K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in Changwon -)

  • 민병욱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82-92
    • /
    • 2013
  • 본 설계안은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삼정자동 555번지 일대에 건립예정인 부지의 면적 약 $79,743.1m^2$의 경상대학교병원 주변 옥외공간 설계의 기본계획안이다. 이 설계안의 목적은 환자의 회복과 일반 대중의 웰빙(well-being)을 돕고, 지역사회에 기여하며 주변 환경을 존중하는 생태적인 공간을 조성하는데 있었다. 이 목적을 위하여 세 가지 설계 목표가 설정되었는데, 첫 번째는 경관의 치유기능을 높이는 것이고, 두 번째는 생태적으로 재생이 가능한 경관을 조성하고, 세 번째는 그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경관의 미적인 가치를 드러내는 것이었다. 먼저 치유의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서 주변의 양호한 수림대와 연계를 하고, 치유의 기능이 있는 식물재료를 선별하여 식재하고, 다양한 감각 치유원, 명상의 공간, 약초원 등 치유프로그램을 공간에 도입하였다. 또한, 많은 연구에서 병원의 공간조성에 있어서 환자의 프라이버시가 중요하다고 강조한대로 환자의 유형과 일반인들을 고려하여 공간과 동선을 구분하는 것을 고려하였다. 생태적인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소나무 숲과 지형을 보존하고, 부지내로 연장할 것을 제안하였으며, 또한 자연 수체계를 복원하고, 그 물을 재활용하여 조경 등의 용수로 사용하게 하였다. 마지막으로 이용자의 미적인 체험을 위해서는 주변 상록수림에 대비하는 활엽수와 각종 초화류를 식재하여 계절감을 강화시키고, 열매가 열리는 수종을 배치하여 산새가 날아들고 동물이 찾아오는 "자연속의 치유공간"이라는 분위기를 연출하였다. 더불어 모든 공간과 시설물은 유니버설 디자인 원칙에 따라 계획 및 설계되어 환자들에게 장애물이 없는 환경을 제공하려 하였으며, 생태적이고 경제적이며 관리가 용이한 유지관리를 위하여 지속가능한 관리계획을 제안하였다.

대구 세계육상선수권대회 마라톤 구간의 열환경변화분석 (Analysis on Thermal Environment of Marathon Course in 2011 Daegu World Championship in Athletics)

  • 백상훈;오상학;정용훈;정응호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0권7호
    • /
    • pp.881-890
    • /
    • 2011
  • In this study, thermal environment changes for a marathon course of IAAF World Championship, Daegu 2011 were modeled to provide improvements of thermal environment, so that runners could have the maximum condition and citizens pleasant streets. The three biggest size of intersections were selected for the study. Envi-met, 3G microclimate model, were used for a thermal environment analysis and three different cases - present status, planting roadside tree scenario, and roof-garden scenario - were compared.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e study. 1. The highest thermal distribution were shown at 1 p.m.,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 thermal distribution at 1 p.m. and that at 5 p.m. since a heat flux from buildings affects thermal distributions rather than insolation does. 2. Tree planting or adding environmental friendly factors might lead a temperature drop effect, but the effect was not significant for areas covered with impermeability packing materials such as concrete or asphalt (especally, for Site case 2) 3. The combination of tree planting and adding environmental friendly factors also brought a temperature drop effect (Site 1 and 2) and this case showed even better result if green spaces (especially, parks) were closed.

Effect of Biophilic-Horticultural Education on Children's Multisensory Enhancement

  • Kwack, Hyeran;Chae, Meeyeoun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501-514
    • /
    • 2018
  •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program that can be linked to gardening education activities in elementary students' curriculums and creative experience learning courses, and to apply the developed program to 6th graders in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Research was conducted in a large category called biophilia, which named the instinct of human nature and nature throughout the research. The curriculum revised in 2015 was selected for the purpose of the garden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objectives and contents of the unit, and for the purpose of the class.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and implementing the program, experience properties and elements were divided into direct and indirect experience of nature, including shapes and forms found in nature, air, water, plants, weather, animals, and natural material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biophilic horticultural education program was effective in promoting students' multi senses. In the case of the experimental group, all the multi-sensory area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especially in the area of environmental literacy, environmental effect and emotional balance including plant cultivation knowledge. There was a relatively smaller difference in the dietary effect area than other areas because of no directional dietary program was included in the developed program. As a result, first, it is expected that the data can be utilized on site as a program or place of activity for students in upper grades. Second,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a more diverse program using other biophilic elements that were not covered in this study in order to maximize the effects of biophilic education.

초사(楚辭)에 나타난 식물 소재의 활용 및 향유 방식 - 굴원(屈原)의 시문을 중심으로 - (A Study on Utility and Appreciation of the Plants in "Poetry of the South" - Focusing on Qu-Yuan's Poetry -)

  • 윈쟈옌;성종상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50-60
    • /
    • 2014
  • 본 연구는 초사에 수록된 굴원의 시 속에 등장하는 식물을 대상으로 B.C. 340부터 B.C. 277 사이의 식물 활용 형태, 향유방식 등을 상징적인 구사의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사에는 총 80분류군(taxa), 56종의 식물이 등장하는데, 기원전에 이미 이런 식물들이 존재했고 생활 속에서 향유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둘째, 정원에서 쓰이는 식물은 향수란, 바질, 적작약, 큰까치수영, 구릿대, 백목련, 국화, 창포, 지치, 자목련 등이 있고, 장식용으로 쓰이는 식물은 천궁, 구릿대, 등골나무, 연꽃, 마디풀, 바질, 여라, 금채석곡, 두형 등이 있으며, 선물용으로는 고량강과 삼이 있고, 제사용으로는 바질, 향수란, 파초가 있었다. 셋째, 식물 향유 방식의 고찰을 통해 미각적으로 향유하는 식물은 백목란, 국화, 목서, 바질, 화초, 천궁 등이 있고, 촉각적으로 향유하는 식물은 백목련, 마미송, 백목 등으로 나타났다. 넷째, 식물의 상징적 구사의 고찰을 통해 고결한 품격을 상징하는 식물은 화초, 구릿대, 향수란, 바질, 창포가 있고, 악인을 상징하는 식물은 남가새, 조개풀, 야애, 우미호, 도꼬마리였다. 초사에 대한 고찰을 통해 전국시대에 주로 사용된 식물 소재와 각 식물의 활용 및 향유 형태를 알 수 있었다. 또한 몇몇 식물은 현재에도 유사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소쇄원 48영』에 나타난 바이오필릭 디자인 특성분석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Biophilic Design in 『Soswaewon 48 Yeong』)

  • 이형숙;최미선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58-66
    • /
    • 2022
  • 바이오필릭 디자인은 인간의 정신적 건강과 심리적 안정, 치유와 회복을 경험할 수 있도록 공간과 장소를 창조하는 작업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바이오필릭 디자인 분석틀을 적용하여 소쇄원의 치유·회복적 환경요인과 특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바이오필릭 디자인 분류체계를 정립한 후 『소쇄원 48영』을 대상으로 내용분석과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48영에는 대나무, 소나무, 매화를 비롯한 식물 단어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시냇물, 폭포, 연못 등의 다양한 물 형태의 단어 뿐 아니라 역동적인 물흐름이나 물과의 상호작용 등에 관한 단어도 높은 순위로 나타났다. 또한, 시각적 경관요소와 미기후적인 요인, 후각이나 청각, 촉각 등의 감각적 자극요인, 계절적 변화를 통해 자연을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하는 공감각적이고 감성적인 요소들이 다양하게 표현되었다. 공간적 경험요소와 관련하여 경관 조망 및 감상, 사색과 소통, 풍류를 가능하게 공간 및 동선 배치는 소쇄원의 풍부한 감각자원들을 감상하고 경험할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바이오필릭 디자인 관점에서의 소쇄원의 치유회복적 가치를 48영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전통공간의 치유요인들에 대한 추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소쇄원에 나타나는 전통 색채 분석과 의미 해석 (Interpretation of the Meaning of Korean Traditional Colors Symbol Found out in Soswaewon)

  • 한희정;조세환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63-73
    • /
    • 2014
  • 본 연구는 조선시대의 대표적 별서정원인 소쇄원을 사례로 전통 공간에서 나타나는 기호 및 기표로서의 상징적 색채발현 분석 및 그 의미 해석을 통해 작정 의도와 색채와의 관련성 분석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전통 색채 및 소쇄원의 작정배경 등에 대해서는 관련 문헌연구를 통해 수행하였으며, 실증적 분석 대상으로서의 내용은 소쇄원도와 소쇄원 48영 시문에서 나타나는 경관 및 공간 요소 그리고 음양오행사상(陰陽五行思想)에 근거한 오정색과 관련한 작시의 내용을 대상으로 하였다. 특히, 소쇄원에서 나타나는 공간적 요소를 크게 시각적, 공감각적, 상징 인식적 공간 요소로 구분하여 시각적 공간으로 공간 및 경물의 위치와 방위, 공감각적 공간으로 계절과 시간 및 오관, 상징 인식적 공간으로 칠정과 사단 등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공간요소에 대해 오정색 체계 분석을 통해 작정 의도와 공간 의미의 상관성 여부를 분석하는 방법을 통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소쇄원의 3개 공간 구성을 기준으로 색채를 분석한 결과, 모두 74개의 오정색 항목이 도출되었다. 첫째, 시각적 공간 구성요소에서는 청색 2회, 적색 1회, 황색 6회, 백색 4회, 흑색 5회 등 모두 18회의 오정색 요소가 나타났다. 이 분석 결과에서 자연과 생명을 상징하는 청색과 적색보다도 만물의 근본을 상징하는 황색과 깨끗함과 순결을 상징하는 백색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 것은 양산보의 소쇄원 작정 의도가 자연을 즐기는 데 우선을 두기보다는 오히려 정의롭지 못한 세상에 대한 작정자의 순결한 의지를 상징하기 위한 의미와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었다. 둘째, 소쇄원 48영에서 주로 추출된 공감각적 공간 구성 요소에서는 청색 11회, 적색 8회, 황색 4회, 백색 5회, 흑색 10회 등 38회의 오정색 요소가 나타났다. 여기서는 자연과 생명을 상징하는 청색과 적색이 세상의 근본과 순결 그리고 지식을 상징하는 황색과 흑색보다 높게 나타남으로써 비록 작정자의 세상에 대한 순결성을 지키고자한 의지로 공간을 작정하였지만, 별서정원에서 자연 즐김과 지식 탐구에 대한 감정을 누리려는 별서 고유의 기본적 기능에 충실하고 있음을 의미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마지막으로 역시 48영에서 주로 추출된 상징 인식적 공간 요소에 대한 오정색은 청색 4회, 적색 5회, 백색 9회 등 18회가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색채 분석 결과에서는 정치적 순결을 상징하는 백색이 자연과 생명을 상징하는 청색과 적색과 같은 빈도로 출현하고 있음으로써 소쇄원의 작정 의도가 시를 통해 정치적 순결성 강조와 자연 즐김을 동일한 비중으로 감정적으로 드러내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특히, 이 3종류의 분석에서 공감각적 공간 구성요소에 대한 오정색의 빈도가 38회로 약 51%로 가장 높게 나타나고, 시각적 공간 구성 요소와 인지 상징적 공간 구성 요소가 각각 18회로 각 24.5%의 빈도 분포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양산보의 소쇄원 작정 의도는 전체적으로 보면, 정의롭지 못한 세상에 대한 작정자의 순결성을 지키고자 함과 함께 별서정원의 기본인 자연과 자연의 생명력을 즐기려는 의도가 같은 비중으로 숨어있음을 상징하고 있다고 해석을 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소쇄원 작정의 상징적 의미와 공간 구성 요소와의 상관성을 음양오행설(陰陽五行說)에 근거한 오정색을 기준으로 분석함으로써 전통 별서정원에서 숨어있는 전통 색채를 밝히고자 하였지만, 이러한 이론이 다른 별서정원에서도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인지를 탐색하는 것은 소쇄원과는 다른, 순수한 자연 즐기기나 강학, 기능 등 뚜렷한 작정 의도가 숨어 있는 다른 사례의 별서정원에 대한 연구를 통해 밝혀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