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nior Welfare Centers

검색결과 172건 처리시간 0.033초

청주시 노인급식 관리지원 시범사업의 효과분석 : 위생관리개선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the Effect of the Pilot Project for the Management of the Elderly's Food Service in Cheongju City: Focused on improving hygiene control)

  • 이주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호
    • /
    • pp.431-441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청주시 사회복지 급식관리지원센터의 회원인 노인요양시설과 공동생활가정, 주간보호센터를 대상으로 시설노인을 위한 급식의 위생관리 현황을 조사하고, 조리원이나 시설장 대상 위생교육, 관련 지원물품과 정보제공 등 관리지원을 실시한 후 시범사업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급식위생관리 개선정도를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1차 지원을 실시한 후 전체 급식위생관리 평균점수가 63.13점(100점 만점)에서 75.10점으로(p<0.001), 2차 지원 후에도 75.10점(100점 만점)에서 80.89점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1). 1차 지원 후 체크리스트에서 평균점수의 유의한 차이를 보인 항목은 전체 29개 중 16개였고, 2차 방문 지원을 실시한 후에는 29개 중 7개 항목에서 유의한 개선을 보였다(p<0.05, p<0.01, p<0.001). 이상의 노인급식관리지원 시범사업의 효과가 있음을 토대로 보다 많은 노인복지시설들이 급식관리지원센터의 지원을 지속적으로 받도록 해야 할 것이다.

지역사회 거주 일반노인의 사회적지지, 사회적관계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ocial Support and Social Network on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in a Local Community)

  • 김형민;심경보;김환;김석범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1-20
    • /
    • 2013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일반노인들의 사회적지지, 사회적관계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은 부산광역시, 경상북도 경주시에 소재한 장애인복지관, 보건소, 노인복지관 13곳의 건강한 남 여 노인 7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일반적 특성, 인지능력, 사회적지지, 사회적관계망, 삶의 질이 포함된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였고, 대상자 선정 기준에서 제외된 12명을 제외한 63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상관관계를 분석 한 결과 접촉빈도(p<.05)와 친밀도(p<.001) 그리고 사회적지지(p<.001)에서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지역사회거주 일반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는 친밀도(p<.001)로 분석되었다. 결론 : 지역사회 거주하는 일반노인들의 친밀도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으로 파악되었다. 수동적인 삶을 살아가는 노인이게 있어 사회관계망의 질적 특성인 친밀도의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사물인터넷 기반 에너지 효율 진단 솔루션의 설계 및 진단 사례 (Design and Diagnosis Case of Energy Eefficiency Diagnostic Solution based on IoT)

  • 조광문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6권1호
    • /
    • pp.23-30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주택이나 건물의 에너지 손실 요인을 발견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에너지 관리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대중성과 편의성이 큰 강점인 스마트폰 탈부착형 열화상 카메라를 주택 전문가들만이 아닌 일반인들이 생활 속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생활 속 활용 진단 콘텐츠 앱을 설계하였다. 이 앱을 활용한 진단 결과를 에너지 효율 진단 솔루션인 에너지 파인더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에너지 복지 사각지대 주민 및 시설 중 특히 지역 노인들이 자주 이용하는 경로당을 대상으로 진단 조사하였다. 진단 대상은 전라남도 나주시에 위치한 경로당 600여개소 중 15년 이상 노후 시설 30개소를 선정하여 에너지 효율 진단을 실시하였다. 진단 결과는 전반적으로 양호한 편이었지만, 7등급으로 분류된 곳은 에너지 효율 개선을 위한 보완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도시 재가노인의 건강상태, 건강관리형태 및 일상생활수행능력 (Effects of Health Status and Health Management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mong Urban-Dwelling Older Koreans)

  • 정명실;임경춘;김연하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72-82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health status and health management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in older, urban-dwelling Koreans. Methods: A total of 206 subjects were recruited from one senior welfare center, six senior citizen centers, and subjects' home in two cities. Data was collected with self-reported questionnaires in order to measure health management, health status, and ADL. Data was analyzed by t-test, ANOVA, and stepwise multiple linear regression using SPSS/WIN 22.0. Results: ADL in this subject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ir age, education, marital status, type of family, and average monthly living expenses. Mult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age (${\beta}=-0.35$, p<.001), exercise ability (${\beta}=0.20$, p<.001), diabetes (${\beta}=-0.17$, p<.001), osteoarthritis (${\beta}=-0.15$, p<.001), caregiver (${\beta}=0.14$, p=.005), frequency of health management (${\beta}=-0.13$, p=.006), smoking (${\beta}=-0.11$, p=.019), hypertension (${\beta}=-0.10$, p=.027), and type of family (${\beta}=-0.10$, p=.036)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DL. Overall, approximately 60.2% of total variability in ADL could be explained by the 11 variables in this model ($R^2=0.602$, F=32.06, p<.001).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individualized health care should be continued for older, community-dwelling Koreans in order to improve their ADL. Moreover, we need to develop self-care programs and encourage them to participate in those programs.

입 체조 프로그램에 참가한 노인의 만족도에 관한 조사연구 (A study on elderly people's satisfaction level with oral exercise program)

  • 황윤숙;조은별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795-807
    • /
    • 2009
  • Objectives :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atisfaction level of participants in a oral exercise program geared toward the improvement of oral function, their reuse intention of the program and their willingness of recommendation in an effort to facilitate the advancement of the program. Methods :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85 senior citizens who used senior welfare centers and nursing homes in Seoul. A oral exercise program was implemented 24 times from April to June 2009, twice a week, and the selected elderly people participated in the program 20 times or more. An interview survey was conducted by two trained dental hygienist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Results : 1. As for satisfaction level with each part of the program, the elderly people investigated expressed the best satisfaction with the service supplier(a mean of 3.81), followed by the usefulness of the procedure of the program(3.77) and oral exercise(3.64). 2. The satisfaction level with oral exercis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ir overall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reuse intention and willingness of recommendation, and the entire satisfaction level with the program was correlated to reuse intention and willingness of recommendation(p<0.001). 3. Out of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marital status and whether to live with their families or not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to their satisfaction level with oral exercise(p<0.05). Conclusions : It took 20 minutes to get oral exercise, which consisted of warming-up, exercise for each part of oral and cooking-down, and they found it appropriate to spend that time and had no difficulties in repeating after the instructor.

  • PDF

도시의 물리적 환경이 중고령자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자본과 통합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Physical Environment on the depressive symptom of Middle-aged and Older adults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Capital and Sense of Coherence)

  • 정은희;채철균;문하늬;송나경
    • 사회복지연구
    • /
    • 제49권2호
    • /
    • pp.181-209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대도시 거주 중고령자의 물리적 환경과 우울증상의 관계에 사회적 자본과 통합성의 매개효과가 존재하는지에 대해 탐색적으로 검증하는 것이다. 분석을 위해 서울시의 각 동주민센터와 노인복지시설 및 중고령층을 위한 교육시설을 방문하거나 이용한 중고령층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총 331부의 설문이 회수되었고 주요변수에 대한 무응답 사례를 제외한 309부의 자료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물리적 환경의 직접 및 간접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물리적 환경은 대도시에 거주하는 중고령층의 우울증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물리적 환경은 통합성을 매개로 우울증상에 간접효과를 나타내었다. 즉 안전성, 쾌적성, 접근 편의성, 보행친화성과 같은 근린환경에 대한 주관적 만족도가 높은 사람은 통합성이 높고, 통합성이 높은 사람은 낮은 우울증상을 가질 것으로 예측되었다. 결과를 바탕으로 중고령층의 우울수준을 개선하기 위한 실천적 정책적 방안을 논의하였다.

주간보호센터 노인의 집단회상프로그램 효과성 검증에 관한 연구 : 정신건강 관련 삶의 질(MHRQoL)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Group Reminiscence Approach among the Elderly Using Daycare Center : Focusing on the Ment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MHRQoL))

  • 권오경;허준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592-608
    • /
    • 2022
  • 본 연구는 노인주간보호센터를 이용하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집단회상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정신건강 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효과성에 대해 검증하여 사회복지적 개입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유사실험설계로써 비동일성 통제집단 사전 사후 전후실험설계로 프로그램 참여 노인과 비참여노인을 비교하여 사전·사후 차이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집단회상프로그램 참여집단은 비참여 집단보다 삶의 질 정도가 높았다. 둘째, 참여집단의 활력과 정신건강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고, 감정적 역할 제한과 사회적 기능은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 결론 및 제언으로, 첫째, 노인들의 활력과 정신건강의 증진에 효과가 있는 집단회상프로그램을 더욱 활성화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연구와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사회적 기능과 감정적 역할 제한의 영역까지 포함한 전체 하위영역에 포괄적으로 효과성이 입증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및 개선이 필요하다. 셋째, 노인들의 심리·사회적 효과성이 입증된 다양한 프로그램이 노인주간보호센터에서 시행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활성화할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넷째, 서울시의 인증 제도를 도입하여 서비스 질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한다. 끝으로 지역사회와의 협력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The Effects of Elderly Diabetes Mellitus Patients' Self-care Behavior and Health Conservation on Cardiovascular Risk Factors

  • Sung, Kiwol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50-159
    • /
    • 2015
  •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among self-care behavior, health conservation,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n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elf-care behavior and health conservation on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mong Korean elders with diabetes mellitu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05 elders with diabetes mellitus using senior welfare centers and elderly leisure houses in Daegu.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during the period from April to May in 2014. Self-care behavior was measured with Kim's (1997) Self-care Behavior Scale, health conservation with Sung's (2005) Health Conservation Scale,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with the Arizona Heart Institute Cardiovascular Risk Factor Questionnair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one-way ANOVA, independent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SPSS/WIN 19.0 program. Results: A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self-care behavior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nd between health conservation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Self-care behavior explained 6% and health conservation did 49% of variance in elderly diabetes mellitus patients' cardiovascular risk.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in order to reduce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mong Korean elders with diabetes mellitus, we need nursing interventions for increasing health conservation and self-care behavior.

노인의 건강정보이해능력, 건강 관련 위험인식과 건강행위 (Health Literacy, Health Risk Perception and Health Behavior of Elders)

  • 정정희;김정순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65-73
    • /
    • 2014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level of health literacy, health risk perception and health behavior of Korean elders and to determine the impact of their health literacy and health risk perception on their health behavior. Methods: A 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was conducted with 188 elders aged 65 or older in senior welfare centers in Busan. Questionnaires were used to measure levels of health literacy, health risk perception, and health behavior.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Kruskal Wallis 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were performed. Results: 43.6% of the subjects had low levels of health literacy. There was a negative relation between health literacy and health risk perception, and between health risk perception and health behavior.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 between health literacy and health behavior. Health concern, health literacy affected health behavior. Health literacy independently accounted for 24% of health behavior. Health risk perception didn't affect health behavior. Conclusion: Many of the Korean elders had low levels of health literacy and health literacy was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health behavior. These findings show that interventions for improving health literacy are necessary to enhance health behavior of the elderly.

정보기술(IT)융합 콘텐츠가 노인의 작업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T Convergence-Contents on Occupational Performance in Elderly)

  • 김덕주;양영애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33-46
    • /
    • 2015
  • This study was done on the basis that IT convergence-contents can help the elderly. The effects of IT convergence-contents were analyzed on the occupational performance of the elderly. This investigation was done with 100 elderly people above 65 years of age who lived in local community and two senior welfare centers in Busan and Kyeongbuk. The 100 elderly people were split into two groups of 50: the one group who has experience with IT convergence-contents was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other group with no experience was the control group. In both groups, body functions, cognitive functions,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community participation were tested. The experimental group had higher scores for cognitive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In conclusion, future studies can support continued IT convergence-contents at the local business community level rather than with smaller samples. This work lays the groundwork for follow-up studie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IT convergence-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