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nior's satisfaction of life

검색결과 103건 처리시간 0.023초

우리나라 노인 정책 방향 제언을 위한 탐색적 연구 : 노인 연령규범과 희망활동의 융복합적 관점을 중심으로 (A Study on Proposal to Develop Senior related Policies : Convergence Approach of both Age Norm and Hoping Activities)

  • 구혜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4호
    • /
    • pp.101-110
    • /
    • 2016
  • 본 연구는 노인복지법 제5조에 근거하여 3년마다 실시되는 노인실태조사의 2014년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노인을 연령규범 인식에 따라 유형화 하고, 각 유형별 특성을 파악하고 이들의 삶의 만족도와 희망활동에 대한 요구도 차이를 분석하였다. 현재의 노인은 과거 20~30년 전의 노인과 건강, 교육수준, 경제수준 등이 더 높으며 과거 노인을 대상으로 수립한 노인 관련 정책들은 이제 사회, 문화, 산업, 복지, 고용, 참여 등 융합적인 관점에서 재논의 되어야 하는 시점으로 본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노인은 크게 체념형, 진취형, 체면형의 3개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이는 노인의 연령규범 인식에 따른 구분이며, 이에 따라 삶의 만족도 및 희망하는 활동에 대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향후 우리나라 노인 관련 정책은 기존 취약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복지적 관점만이 아니라, 고용, 사회참여, 생활 만족, 자원봉사 등 다양하고 융합적인 관점에서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노-노 케어 및 친분이 있는 소규모 노인 집단을 대상으로 정책을 접목하는 시도 등도 필요할 것으로 본다.

노인복지관 서비스 만족과 주관적 삶의 질 간의 관계: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Satisfaction of Senior Center and Subjective Quality of Life: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Empowerment)

  • 최정민;이수애;박민서;권구영
    • 한국노년학
    • /
    • 제31권1호
    • /
    • pp.63-77
    • /
    • 2011
  • 본 연구는 노인복지관 서비스 이용자를 대상으로 하여 노인복지관 서비스 만족과 삶의 질 간의 관계구조에서 임파워먼트 매개효과가 있는지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하기 위해 측정모형과 구조모형의 적합도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Bootstrapping 방식을 사용하여 매개효과를 검증 후, X2 차이 검증을 통해 경쟁모형 즉, 부분매개모형과 완전매개모형 중 최종 모형을 선택하였다. 연구결과, 노인복지관 서비스 만족과 삶의 질 간 관계에서 임파워먼트가 완전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노인복지관 운영과 관련하여 노인복지관 서비스의 이용자 참여 확대, 직원의 임파워먼트 실천을 촉진하기 위한 교육기회와 인센티브 제공, 임파워먼트 실천 모델개발과 매뉴얼화, 임파워먼트 실천에 대한 정부의 평가체계 반영 등을 제안하였다.

스칸디나비아 노인용 코하우징 주민의 이주동기와 생활만족도의 성별 차이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in Moving Motiva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Senior Cohousing Residents in Scandinavia)

  • 최정신;조재순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4권1호
    • /
    • pp.117-128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find out the differences in the moving motiva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senior cohousing communities between male and female residents in Scandinavia, especially in Sweden and Denmark. Senior cohousing is an attractive housing alternative for the aged 55 and over who looks for sharing one's life with neighbors. The 655 survey questionnaires out of 960 had replied from 14 Seniorbofrellesskaber in Denmark and 11 seniorhus within SABO sector and 8 housing cooperatives initiated by the Seniorgarden Housing Company in Sweden during April to May, 2002.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 win program, using frequencies, percentiles, cross-tabulations, and Pearson's correla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enior cohousing residents were generally healthy and age of 70's years old and nearly half lived with a spouse. The male residents lived with a spouse about 2 times more than did the female. The residents had very strong motivation to move into the community and very high life satisfaction. Most aspects of moving motivation were not differed by the sex of the residents. However, male residents were more likely than female to be motivated to move in by becoming a pensioner, while female residents were more likely than male to be motivated by being a widow, looking for safety, or avoiding loneliness. These different motivation to move in by sex become more clear when general characteristics such as age, health status, living with or without a spouse, or country were controlled. Female residents were more likely than male to live' dream life' in the senior cohousing community. The stronger the moving motivation, the higher the life satisfaction in the community.

The effect of senior academic programs by type on life satisfaction

  • Son, Myoung-Dong;Park, Cheon-Gyu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179-187
    • /
    • 2016
  • In this paper, we propose that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programs in the future, Iand it should be possible to activate and to participate the programs continuously, because the higher the participation in leisure program is, the higher life satisfaction.. The Korean Senior Citizens Association has a branch in each province and is used as a place where voluntarily provide friendship activities, hobbies for elderly people aged 65 and information exchange with other leisure activities. However, it was considered to be only a cursory space a few years ago, unlike the activation of leisure programs for the elderly welfare cent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atisfaction of leisure program by type on life satisfaction of users who have experience in elderly university.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the residential type of participating elderly people differ in their life satisfaction. Therefore, it is important for the elderly to have regular health checkups and to maintain a stable residential style. And also, the experiment results show that life satisfaction was higher when leisure program use satisfaction was higher - especially, satisfaction with health program and health care program was higher.

농촌 노인의 일.여가활동 유형에 따른 삶의 만족감 (Study on Life Satisfaction of Groups According to Farm Work and Leisure Activity in Rural Elderly)

  • 김종인;김윤정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19권2호
    • /
    • pp.321-353
    • /
    • 2012
  • This study aims to find out ways of improving life satisfaction of rural elderly by investigating their work and leisure activity, two significant axis of the life in later life. For this purpose, researchers and one assistant researcher visited house, senior citizen's center and health center, in order to have interviews with senior citizen above 65, who are currently working in the field. The summary of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size of the farm land which each senior citizen works on is $9,237.92m^2$ and they mostly work for economic reason. During farming season, they work on average 8.62 hour per day. As primary reasons for why farming work is difficult, "insufficient income" was picked. In fact, the average annual income senior citizens earn from farming is about 15.4 million won. 49.1% of sample senior citizens work both on watered farm and farm, and they are engaged in farming 48.82 years on average, showing that most of their lives have been spent on farming. In spite of these difficulties, most senior citizens showed high intention to continue farming work further. Second, senior citizens turn out to spend their leisure time mostly on public leisure activities such as watching TV, hearing radio and gatherings with families, relatives. However, individual activities such as meditation, yoga, drawing and calligraphy turn out to be low because they require foundations to enjoy. Third, senior citizen in rural area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by farm work and leisure activity: group separated from work and leisure activity(27.09%), group centered to leisure activity(24.42%), group centered to work(23.75%), and group integrated work and leisure activity(23.75%). Fourth, the group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Namely, male senior citizen, higher educational level, living in elderly couple households, and satisfied with their economic level belonged to the group integrated work and leisure activity. But senior citizen aged above 65 years old and working for their livelihood belonged to the group centered to work, and most of female and senior citizen aged above 80 years old belonged to the group separated from work and leisure activity. Finally, as the result of analysis of differences in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farm work and leisure activity of senior citizen in rural areas, the group integrated work and leisure activity, and group centered to leisure activity were higher in life satisfaction than the group separated from work and leisure activity, and group centered to work. The above result indicates that life satisfaction of senior citizen depends upon leisure activity rather than work.

노인공동생활주택의 선호개발유형에 따른 주거사용 특성 (Residential Use according to the Preferred Developer Type for Senior Congregate Housing)

  • 김양현;홍형옥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3권5호
    • /
    • pp.133-143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ain understanding about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preference of the members of the future elderly generation who have an intention to develop senior congregate housing.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600 participants who were in their 40s to 60s, residing in Seoul, and who have an intention to develop senior congregate housing. The data collection spanned from December 1st to 20th, 2004.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the respondents who had a higher level of education, higher income, and a high-ranking job showed relatively higher residential satisfaction with their present house. Similar satisfaction level came between their present house and expecting ones in their later life. Financial responsibility was the most serious expected problem when they continue living in the present house in the later life. It means that the economic ability is the primary factor that determines whether they will have a stable life later. Secondly, as for the preference for the senior housing developer type, the group who preferred collectively developed senior congregate housing far outnumbered the other who preferred independent developer type. Also, the group who preferred collective developer type had higher economic ability than that of the oth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bove all, economic competence is the must significant variable, which should be considered in the future life and residential planning for the elderly. Korean senior congregate housing models should be developed based upon elaborate research. It is also necessary to develop different types of housing, such as a more practical type and a high quality type, as well as to respond to different kinds of developmental objectives, such as marketability and public benefit.

노인일자리의 고용유사성이 참여노인의 삶에 미치는 영향 (Impacts of Employment Continuity on Life of the Elderly Participating the Senior Employment Project)

  • 최혜지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5권1호
    • /
    • pp.247-270
    • /
    • 2013
  • 본 연구는 은퇴 전 고용과 노인일자리의 고용유사성이 노인의 삶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했다. 연속이론과 유사모델에 근거해 고용유사성이 첫째, 우울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과 둘째, 직무만족과 자아효능감을 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간접적 영향을 분석하고자 했다. 비례층화표집을 통해 추출한 노인일자리사업 참여 노인 700명의 자료를 분석했다. 분석결과, 고용유사성 가운데 직종유사성만이 삶의 만족도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급여유사성과 표현된 유사성은 자아효능감을 매개로 참여노인의 우울은 낮추고 삶의 만족도는 높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고용안정성과 삶의 질 간의 관계에서 고용 관련 만족도의 매개효과 검증 : 고령 근로자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job stability on senior citizen's quality of life : mediated effect of job satisfaction)

  • 정우진;정승철
    • 벤처혁신연구
    • /
    • 제3권1호
    • /
    • pp.67-85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노인 일자리의 고용 안정성과 노인의 전반적인 삶의 질이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지 살펴보고 나아가 고령층의 고용 안정성과 전반적인 삶의 질 사이에서 임금 만족도, 근무 환경 만족도, 전반적인 직무 만족도의 변인으로 이루어진 고용 조건 만족도의 매개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7차 고령화연구조사패널(KLoSA) 조사 데이터에서 임금 근로자만을 추출하여 변인들 사이의 상관관계와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고용 안정성과 고용 조건 만족도는 정적관계를 가진 반면, 고용 안정성과 고용 조건 만족도 모두 전반적인 삶의 질과는 부적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하여 고용 안정성이 향상될수록 고용 조건에 대한 만족도는 올라가지만, 전반적인 삶의 질은 하락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고령층을 대상으로 한 연구를 진행할 경우 다른 연령층과는 다른 시각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점과 노인 일자리의 질적 측면을 통하여 고령층의 삶의 질을 분석하려고 했다는 점에서 기존의 연구들과의 차별성 및 시사점을 가진다.

건강타운 이용노인의 삶의 질 변화 결정요인 (Factors Determining the Quality of Life of Elders Using the Health Town)

  • 이형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201-209
    • /
    • 2012
  • 이 연구는 지역사회 노인 여가시설의 이용에 따른 삶의 질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을 위해 광주광역시 노인건강타운을 이용하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건강타운의 시설환경, 직원과 강사의 역량, 프로그램 만족도 등의 요인이 이용노인들의 삶의 질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여, 이용노인들의 삶의질 변화에 기여할수 있는 다각적이고 실천적 대안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조사방법은 광주광역시 노인건강타운을 이용하는 만60세 이상의 1,038명을 대상으로 설문지에 의한 자기기입방식과 조사원의 면접조사를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조사기간은2010년 12월 10일부터 12월15일까지였다. 분석결과, 노인들의 삶의 질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학력(B=-.074, p<0.05), 강사만족도(B=.172, p<0.001), 직원만족도(B=.104, p<0.01), 시설 및 환경만족도(B=.217, p<0.001)였다. 즉, 학력이 낮은 노인일수록, 강사만족도가 높을수록, 직원만족도가 높을수록, 시설 및 환경만족도가 높을수록 삶의 질 변화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시설 및 환경만족도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 노인들의 삶의 질 변화를 위해서는 지역사회 노인이용 문화여가시설의 현대화와 쾌적한 환경조성이 병행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노인의 성에 대한 인식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Senior Citizens' Perception of Sex on the Life Satisfaction)

  • 임동호;박경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187-196
    • /
    • 2018
  • 본 연구는 노인의 성에 대한 인식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의 성에 대한 인식 개선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라남도 K, S시의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유의표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 불성실 응답을 제외한 168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을 이용하여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빈도분석, Pearson 상관관계 분석, t/F-test,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성에 대한 지식과 정보 제공을 위한 노인 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노인의 성을 전담으로 하는 전문가와 상담기관의 구축,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사회교육 실시 및 홍보를 제언하였다.